AI 반도체 '에리스', '레귤러스' 중심으로 라이브 데모 선보여 모빌린트가 지난 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 참가해 유럽 시장 진출의 기반을 다졌다. 모빌린트는 이번 전시에서 온프레미스 환경에 최적화한 AI 반도체 '에리스(ARIES)'와 온디바이스 AI용 시스템온칩(SoC)인 '레귤러스(REGULUS)'를 중심으로 다양한 라이브 데모를 선보였다. 특히 에리스를 탑재한 MLA100(NPU PCIe 카드)을 이용해 복잡한 언어 모델을 실시간으로 구동하며 저전력과 높은 안정성을 갖춘 엣지 기반 대규모 언어모델(LLM)과 음성인식(STT) 기술 시연을 진행했다. 이와 함께 모빌린트는 레귤러스를 활용해 얼굴 감지, 객체 탐지, 자세 추정 등의 응용 기술을 공개했다. 드론과 로봇, AI CCTV, AIoT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적의 성능을 구현하는 저전력, 고성능 AI 솔루션을 강조하며, 유럽 현지 기업으로부터 기술 문의와 샘플 요청을 받았다. 특히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스포츠 영상 분석, AI 콜센터 등 유럽 주요 산업 분야 관계자가 부스를 방문해 관심을 보였다. 국내 정부 관계자들 역시 모빌린트 부스
KT가 3월 3일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 ‘MWC 2025’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KT는 이번 전시에서 AI·6G·양자통신 등 차세대 기술을 기반으로 변화할 대한민국의 미래 모습을 선보였다. KT는 이번 MWC 2025에서 ‘K-STREET’를 테마로 한 전시관을 운영하며 AI와 K-컬처가 융합된 미래 일상을 구현했다. 특히 AI 실시간 번역을 활용한 경기장 중계, AI기반 스마트 홈 솔루션, AI영상 분석 보안 기술 등 실제 생활 속에서 활용될 AI 서비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해 관람객들의 호평을 받았다.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은 것은 단연 K팝 댄스 챌린지였다. AI와 AR기술을 활용해 실제 유명 가수의 댄스 동작에 맞춰 현장에 있는 관람객이 직접 가수와 함께 춤을 추는 듯한 몰입감을 제공해 주목을 받았다. 스페인에서의 한류 인기와 AI 기반 K-Pop 댄서 콘텐츠가 조화를 이룬 것이 주효했다. 개막 첫날인 3일 KT 전시관을 방문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상임 장관은 차세대 기술인 6G·AI 네트워크 설명을 듣고 7개 테마 공간에서 생활 속 다양한 AI를 체험했다. 또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뱅크
SK텔레콤은 3월 3일(현지시각)부터 6일까지 나흘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25에서 혁신적인 AI 기술을 전시했다고 7일 밝혔다. ‘융합. 연결. 창조. (Converge. Connect. Create.)’를 주제로 한 이번 행사에서 SKT는 792m² 규모의 단독 전시관을 마련, AI 데이터센터 솔루션과 이동통신의 가치를 높이는 AI 기술들을 선보였다. 이번 MWC 2025의 SKT 전시관은 각각 ‘네트워크 AI’, ‘AI DC’, ‘AI 플랫폼’, ‘AI 서비스’, ‘AI 얼라이언스’ 구역으로 다양하게 구성됐으며, AI를 접목한 첨단기술 및 서비스를 소개하는 전시 아이템들이 배치됐다. 특히 전시장 메인 입구에 배치된 대형 미디어아트는 움직이는 18개의 LED 패널을 통해 ‘AI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전략을 감각적으로 소개해 많은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SKT에 따르면 행사 기간인 나흘 동안 총 7만 여명이 SKT 전시관을 방문하며 성황을 이뤘으며, AI 데이터센터를 형상화한 구조물 곳곳에 배치된 첨단 기술에 관람객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구슬을 활용한 레이싱 게임을 통해 ‘AI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전략을 표현한 체험존에는 게임을 즐기는
SK텔레콤과 엘리스그룹은 MWC 2025가 열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AI 데이터센터 모듈러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SKT는 AI 데이터센터 토털 솔루션 시장에서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GPU 렌털부터 소규모 모듈러(Modular), 고객 맞춤형 전용(Dedicated), 하이퍼스케일 급까지, 모든 유형의 AI 데이터센터 수요를 충족하는 전방위 솔루션 사업으로 고도화해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AI Infra Super Highway)’ 구축을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2015년 설립된 엘리스그룹은 AI 교육 솔루션 기업으로, 대면·비대면 교육에 가상화 실습 환경을 구현해 다양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 실습 서비스를 위한 자체 AI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 역량도 갖추고 있으며,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SKT는 엘리스그룹이 AI 서비스와 클라우드 소프트웨어는 물론, 소규모 AI 데이터센터 인프라와 하드웨어까지 독자 개발이 가능한 점에 주목해 양사 사업 성장에 도움이 되는 영역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SKT는 신속하게 AI 인프라를 확보하고자 하는 고객이 사업 초기 적은
버넥트가 MWC 2025에 참가해 차세대 AI 기술을 적용한 VisionX와 Robosim을 공개했다. MWC(Mobile World Congress) 2025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정보통신 박람회로, 3월 3일부터 3월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다. 매년 글로벌 IT·통신·AI·모빌리티 기업들이 참가해 최첨단 기술을 선보이며 최신 산업 트렌드를 공유하는 자리로 주목받고 있다. VisionX는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과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개발된 AI 기반 스마트 보안경이다. 음성 제어 AI 에이전트를 탑재해 작업자가 음성 명령만으로 정보를 검색하고, 실시간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해 산업 현장에서 즉각적인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며, 작업 절차 매뉴얼을 AR 형태로 표시해 효율성을 높인다. 이 제품은 특히 AI 코파일럿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직면한 문제를 빠르게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VIRNECT Remote 솔루션과 연동해 원격 협업이 가능하다. 현장에서 촬영한 영상을 공유하며 실시간으로 전문가의 AR 가이드를 받을 수 있어 문제 해결이 더욱 수월해진다고 버넥트는 강조했다. R
HPE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5(Mobile World Congress 2025)’에서 네트워킹 분야의 혁신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통신사가 기업 고객 대상 네트워크 엣지와 클라우드를 연결하는 신규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신규 솔루션과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필 모트람 HPE 아루바 네트워킹 총괄 겸 수석부사장은 “AI가 가져올 시장 변화는 통신 업계의 네트워킹, 엣지, 데이터센터 혁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AI는 통신사들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수익원, 서비스, 역량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열고 있고 HPE 아루바 네트워킹은 이러한 AI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기업(SP)이 차세대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혁신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비스 제공기업이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한 네트워크 및 서비스 수요에 직면한 상황에서, HPE는 네트워크의 역할을 재정의하고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데 선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PE는 MWC 2025에서 AI 기회를 극대화하도록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는 리더십을 강조하는 한편 개방형 랜(Open RAN) 기술의 성장과 성공을 지원하고
SK텔레콤은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서 열린 ‘GSMA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글로모 어워드) 2025’에서 4관왕을 차지하며 6년 연속 수상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SKT는 ▲고성능·고효율 클라우드 플랫폼 ‘페타서스 AI 클라우드’ ▲사칭 문자 탐지·차단 시스템 ‘AI APS’ ▲AI 기반의 가상환경 상담 서비스 ‘메타 포레스트’ ▲AI 분리배출 가이드 ‘해피해빗’으로 총 4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최고의 클라우드 설루션 부문에서 수상한 페타서스 클라우드는 통신사의 효율적인 AI 데이터센터 운영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커넥티드 소비자를 위한 최고의 이동통신 서비스 부문에서 수상한 AI APS는 언어 AI 모델을 활용해 문자 메시지와 이미지 파일을 분석해 피싱 문자를 탐지하고 차단하는 기술이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삶을 향상한 최고의 혁신상을 받은 메타 포레스트는 AI 기술을 활용한 메타버스 심리 상담 서비스로, 상담사와 내담자가 실시간 표정 인식이 가능한 아바타를 통해 상호작용하며 상담을 진행하는 플랫폼이다. UN 지속가능 발전 목표 기여 우수 모바일상을 받은 해피 해빗은 SKT의 자체 LLM(대형 언어 모델)인 에이닷엑스와 딥러
MWC 2025서 AI 기반 디지털 혁신 사업 확대 및 AI 인프라 강화 전략 공개 KT가 대한민국의 AI 혁신을 주도하기 위한 전략을 공개했다. 3월 4일(현지 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25’ 기자간담회에서 KT는 AI 기반 디지털 혁신(Ax, AI Transformation) 사업 확대 및 AI 인프라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김영섭 대표가 2025년 경영 전략을 발표했으며, 이어 KT 기술혁신부문장 오승필 부사장이 ‘KT의 기술 혁신 방향’을, 전략·사업컨설팅부문장 정우진 전무가 ‘AX 사업 실행 가속화 전략’을 소개했다. KT는 단순한 통신 사업자를 넘어 AI와 ICT를 결합한 AICT 기업으로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KT는 한국 시장에 최적화한 ‘한국적 AI’와 보안성을 강화한 클라우드 서비스 ‘KT Secure Public Cloud(SPC)’를 올해 2분기 중 상용화할 계획이다. ‘한국적 AI’는 한국어 이해를 넘어 한국의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반영한 모델로, 국내 법·제도 및 규제에 부합하는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KT는 자체 개발한 AI 모델 ‘믿음’, 마이크로소프트
펭귄 솔루션스, SK텔레콤과 AI 데이터 센터 경쟁력 강화 나선다 리벨리온은 3월 4일(현지 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Mobile World Congress) 2025’에서 펭귄 솔루션스, SK텔레콤과 AI 인프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리벨리온은 NPU(신경망처리장치) 기술력을 기반으로 AI 데이터 센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대규모 인프라 운영을 위한 기술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리벨리온은 에너지 효율성을 갖춘 AI 반도체를 개발해 온 기업으로, 칩뿐 아니라 서버 및 랙 수준까지 제품 라인업을 확장해 왔다. 펭귄 솔루션스는 8만5000대 이상의 GPU를 운영하며 AI 인프라 구축과 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며, SK텔레콤은 최근 AI 인프라 사업에 집중 투자하며 관련 기술 및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MOU를 통해 3사는 AI 인프라 구축과 최적화, 기업 대상 테스트 환경 제공 등을 공동 추진한다. 리벨리온의 NPU 하드웨어와 풀스택 소프트웨어 기술, 펭귄 솔루션스의 인프라 운영 역량, SK텔레콤의 AI 인프라 사업 노하우를 결합해 기업 고객이 NPU 기반 AI 인프라
CSP가 유무선 및 위성 네트워크 통합하도록 지원해 브로드컴이 새로운 컨버지드 네트워킹 솔루션 ‘VeloSky’를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통신 서비스 공급업체(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CSP)가 단일 플랫폼을 통해 유선, 무선 및 위성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는 5G 및 위성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새로운 수익 모델을 개발할 것으로 보인다. VeloSky는 브로드컴의 ‘VeloRAIN(Robust AI Networking)’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구축됐다. 이 기술은 네트워크 운영의 가시성을 높이고, 트래픽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조정하며, 네트워크 관리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기업 고객은 안정적인 네트워크 성능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산제이 우팔(Sanjay Uppal) 브로드컴 VeloCloud 부문 부사장 겸 제너럴 매니저는 “VeloSky는 네트워크 통합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는 솔루션”이라며 “AI 기반 최적화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공급업체가 기업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연결성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AI 기반 통신사 혁신, AI 활용한 고객 경험 개선, AI 인프라 구축 전략 논의 SK텔레콤(SKT)은 3일(현지 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25에서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Global Telco AI Alliance)’ 총회를 열고 AI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이앤(e&) 그룹 전시관에서 개최됐으며, 유영상 SKT CEO, 팀 회트게스 도이치텔레콤 회장, 하템 도비다 이앤 그룹 CEO, 위엔 콴 문 싱텔 그룹 CEO, 아나 입 싱텔 그룹 인터내셔널 디지털 서비스 CEO, 타다시 이이다 소프트뱅크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또한, 얼라이언스를 상징하는 공식 로고도 처음 공개됐다. 같은 날 열린 ‘글로벌 텔코 AI 라운드테이블’에는 전 세계 이동통신 및 모바일 업계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AI 기반의 통신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라운드테이블은 AI 기반 통신사 혁신, AI를 활용한 고객 경험 개선, AI 인프라 구축 전략을 주제로 진행됐다. SKT 정석근 GPAA사업부장, 에릭 데이비스 AI 테크
인지도 상승 및 에이전틱 AI 솔루션 사업 기회 발굴 노려 크라우드웍스가 3월 3일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MWC 2025'에서 에이전틱 AI 종합 솔루션 'Alpy(알피)'를 처음으로 해외에 공개한다. 크라우드웍스는 이번 전시를 통해 글로벌 AI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고, 에이전틱 AI 솔루션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 기회를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특히 2025년 글로벌 AI 시장의 핵심 트렌드인 에이전틱 AI 기술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크라우드웍스 측은 이번 전시회 참여가 에이전틱 AI 시장을 선점하는 중요한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MWC 2025를 통해 해외 최초로 공개하는 Alpy는 데이터 전처리부터 Agentic RAG, 모델 성능평가까지 에이전틱 AI 도입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종합 솔루션이다. 누구나 손쉽게 에이전트 환경을 구축하는 Alpy Agent Studio(알피 에이전트 스튜디오)'와 서비스 사용량, 토큰 사용현황과 LLM 사용에 따른 비용을 모니터링하는 Alpy admin(알피 어드민) 등이 시장의 호평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크라우드웍스는 생성형 AI 시장에서 주목받는 기술 파트너로 자리
KT가 다음 달 3~6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5’에서 중소벤처기업과 함께 ‘KT 상생협력관’을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상생협력관에 참여하는 협력사는 사이버텔브릿지, 코아소프트, 셀렉트스타, 파이온코퍼레이션, 베슬에이아이, 비전스페이스, 일만백만, 임팩티브AI, 진인프라, 에이아이오투오의 10곳이다. KT 상생협력관은 피라 그란 비아(Fira Gran Via) 8.0홀 4YFN(4 Years From Now) 특별관에 단독 부스로 마련된다. 4YFN 특별관은 4년 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잠재적인 역량을 보유한 혁신 기업들이 중심이 되는 MWC 전문 전시관이다. KT는 자체적으로 보유한 대내외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KT 상생협력관 참여 기업이 실질적인 투자 유치와 수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유럽 현지 VC 초청 투자상담회 등 실효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바르셀로나 현지에서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벤처투자, GSMA 등과의 협력으로 기획됐다. 더불어 KT는 GSMA 공식 스폰서 피칭 세션(Start-up Pitching Sessions)을 통해 KT 상생협력관 참여사들이 4YFN Investor Club 등 현지 투자자 앞에서 IR
KT가 글로벌 이동통신 장비 제조사인 에릭슨과 손잡고 저대역 FDD 주파수용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연구 협력을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저대역 FDD 주파수에서 활용되는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기술은 기존 LTE 기지국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 포트를 사용해 고속 전송하는 것이다. 5G-Advanced 및 6G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중대역 주파수를 통해 초고속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저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안정적인 커버리지 제공이 필요하다.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기술은 저대역 주파수의 커버리지 및 무선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멀티무선 지원 및 1.8G/2.1G 듀얼밴드를 단일 안테나에서 동시 지원 ▲빔포밍(Beamforming)과 업링크에서의 셀 간섭제어로 커버리지 확장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사용자 다중전송 등의 기능으로 전송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KT는 다음달 3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서 에릭슨과 협력한 FDD 기반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장비와 기술을 전시할 계획이다. 또 양사는 멀티무선 주파수 공유 기술 등 저대역 주파수를 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