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2013년 CJ그룹 물류 통합법인으로 새 출발한 지 10년 만에 매출액 3배, 영업이익 6배의 성장을 이뤘다. CJ대한통운은 2008년 대한통운 시절 법정관리 상황에서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됐다가 2011년 말 CJ그룹으로 대주주가 바뀌었다. 2013년 4월에는 CJ그룹 내 물류 계열사인 GLS와 합병하며 그룹을 대표하는 통합물류기업이 됐다. 1일 CJ대한통운에 따르면 CJ그룹 통합법인 출범 이래 매출은 2013년 3조7000억 원에서 지난해 12조1000억 원으로 3배 이상이 됐고, 영업이익은 641억 원에서 4118억 원으로 6배 가까이 증가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10년간 매해 최대실적 기록을 갈아치웠다. CJ대한통운의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인수 초기부터 물류를 신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그룹의 강한 의지가 작용했다는 평가다. CJ그룹은 대규모 투자와 글로벌화라는 '쌍끌이'로 대한통운을 세계적인 물류기업으로 탈바꿈시켰다. 대표적인 투자 사례는 2016년 대규모 택배 분류센터인 '곤지암 메가허브터미널' 착공이다. 당시 업계에서는 4000억 원이 넘는 CJ그룹의 대규모 투자를 두고 '무모하다'고 평가했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신의 한 수'가 됐
"저비용 고효율 광고 가능"…중소상공인 무료활용·만족사례 늘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광고문구를 작성하는 'AI 카피라이팅' 서비스가 저비용 고효율이라는 업계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는 최근 AI기반 광고창작지원시스템인 '아이작'(AiSAC)에 AI 카피라이팅과 마케팅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추가했으며 실제로 활용 사례가 늘었다고 1일 소개했다. AI 카피라이팅 서비스는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AI KoGPT에 25만 건 이상의 실제 문구로 강화 학습한 결과다. 광고 문구 내용뿐 아니라 다양성 면에서도 챗GPT 성능에 견줄만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특히 이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돼 식음료·의류·가구·인테리어·도자기·펫 미용실·트레이닝센터·커피 전문점 등 다양한 업종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활용하고 있다고 코바코는 설명했다. AI 카피라이팅 업계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한창이다. 해외는 재스퍼·카피스미스 등 영어 광고문구 서비스만 50여 개가 넘는다. 국내에서도 지난 3월 현대백화점과 CJ그룹이 자사의 프로모션과 계열사 마케팅에 활용하기 위한 AI 카피라이팅 서비스를 발표했다. 스타트업 뤼튼, 타입잇, 라이팅젤
조성 목표액 2,810억원, 애초 목표 3.5배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펀드 모집에 6개 중견·대기업 계열 벤처캐피탈이 신청했다고 6일 밝혔다. CVC는 공급망 강화와 협업기업 발굴, 신시장 개척 등 전략적 목적을 갖고 금융기관이 아닌 일반기업이 출자해 설립한 벤처캐피탈을 말한다. 운용사 모집 결과 중견기업에서는 조선기자재·기계 산업의 선보유니텍, 오토닉스, 현대공업 등이 공동으로 설립한 '라이트하우스 컴바인인베스트',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기업인 에스엔에스텍이 설립한 '에스엔에스 인베스트', 종합무역상사인 현대코퍼레이션이 설립한 '프롤로그벤처스'가 지원했다. 대기업에서는 CJ그룹 소속의 'CJ인베스트먼트', 포스코를 모기업으로 둔 '포스코기술투자', 일반지주회사 체제 내 벤처캐피탈이 허용된 이후 출범한 '효성벤처스'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운용사별로 제시한 펀드 조성 목표 금액을 합치면 총 2천810억원으로, 애초 조성 목표인 800억원의 3.5배에 달했다. 산업부는 이들 기업을 상대로 7일부터 심사·평가를 진행한 뒤 이달 중 2개 운용사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심사에서는 투자 역량 외에도 기술개발, 사업화 네트워크, 수요 연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