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고코리아가 DC 회로 보호를 위한 전자 회로 차단기 ‘WAGO ECB’를 출시했다. WAGO ECB는 새로운 24 VDC용 멀티 채널 ECB는 4채널과 8채널 버전으로 제공되고, 프로세스 및 제조 산업·자동차 생산·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센서 및 액추에이터와 함께 사용된다. 32mm 폭의 컴팩트한 멀티 채널 모듈로 만들어진 전자 회로 차단기로, 8채널 모듈은 싱글 채널 모듈보다 최대 50%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4채널 모듈은 8채널 모듈로 교체 가능하다. LED로 표시되는 온·오프·리셋 버튼과 DIO 신호는 각 ECB 채널의 직관적이고 안정적인 제어를 지원한다. 트립 전류 설정 조정이 용이하고, 플러그인 커넥터는 오 배선을 방지하여 설치 시간을 단축한다. 또한 조정 가능한 사전 경고 기능으로 과전류 발생을 사전에 경고하여 다운타임을 줄인다. 와고코리아는 이번 출시에 이어 통신 기능을 갖춘 멀티채널 ECB 제품도 출시 예정이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와고(WAGO)코리아는 와고 커넥터가 50주년을 맞았다고 밝혔다. 와고 커넥터는 빠른 작업 속도와 안정적인 결선, 유지 보수가 필요 없어 유럽 전기 전문가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 되며 와고 제품의 인지도를 높였다. 와고는 나사 연결 기술이 아닌 스프링 프레셔를 사용해 전선을 고정하는 혁신적인 방식을 도입하면서 시간과 비용 절감이라는 목표를 이뤘다. 와고 관계자는 “와고 커넥터는 국제 시장에서 표준으로 자리 잡았고 현재까지도 필수적인 전기 결선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며 “‘간단하지만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이라는 슬로건은 와고의 철학을 잘 나타낸다”고 전했다. 와고는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놓치지 않았다. 특히 인기 제품인 221 시리즈에 새로운 친환경 요소를 더했다. 와고 221 시리즈 그린 레버 커넥터는 재생 가능한 식물성 원료(Bio-circular) 및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생태계를 보호한다. 와고의 제품과 솔루션은 전기 분야를 넘어 다양한 산업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전기 결선 작업에 필수적인 와고 커넥터는 물론 마운팅 캐리어, Gelbox와 같은 액세서리, 케이블 결선 키트 등 다양한 제품이 그 예다. PU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와고(WAGO)는 글로벌 전기·전자 및 오토메이션 산업의 전반적인 경제 성장과 업계 수요를 활용하여 올해 11월 초에 1조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인 Munich Strategy의 ‘Top 100’ 순위에 따르면, 와고는 Handelsblatt 신문에서 보도한 독일의 기업들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100대 중견기업 중 하나로 발표했다. 와고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IT 인프라 및 유연한 작업 환경 적응을 포함한 디지털 전환을 통해 많은 인력이 짧은 기간 내에 모바일 환경으로 전환했다. 그 결과 어려운 상황에서도 성과를 개선할 수 있었다. 글로벌 브랜드인 와고는 원자재 수급 상황에 어려움을 직면해 왔다. 특히, 많은 주문량과 함께 생산 및 공급망의 모든 부문에서 당면한 과제이다. 그러나 신중한 계획과 부서 간의 탁월한 팀워크로 상황을 극복해가고 있다. 와고의 CEO인 Dr. Heiner Lang은 “와고의 모든 수치는 성장을 나타낸다. 우리는 또 다른 1조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와고는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와고 관계자는 엔지니어부터
[첨단 헬로티] 와고의 레버형 단자대 TOPJOB®S가 출시됐다. 이로써 컨트롤 패널, 배전반 배선 시 공구 없이 손으로 쉽고 빠르게 결선이 가능해졌다. 레버를 올리고, 전선을 밀어 넣고 다시 레버를 닫으면 배선이 완료된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WAGO 221 레버형 와이어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이 레버형 단자대는 독창적이면서 심플한 결선 방식이 특징이다. 특히나 필드 결선 시 작업자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레버를 오픈 한 상태에서는 결선 포인트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결선 오류를 줄이고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결선 지점을 잊어버리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추가로 작업 당시 작업 공구를 통해 접속점(Clamping unit)을 오픈해두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 와고의 레버형 단자대 TOPJOB®S 와고의 신형 레버 타입 단자대는 단선, 굵은 연선, 가는 연선 등 모든 전선 유형에 적용이 가능하다. TOPJOB®S 단자대의 푸시-인 결선 기술은 이미 업계에서 믿고 쓸 수 있는 제품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이 제품은 기존 제품에 레버가 추가된 타입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셀프 컨트롤되며 자원을 최적화하는, 스마트한 생산은 인더스트리 4.0 그리고 스마트 팩토리의 핵심 시나리오이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업체들은 인더스트리 4.0 이 제공하는 여러 장점에도 해결되지 않은 질문을 던진다. 왜 스마트팩토리가 필요한가? 제품 생산에 있어 인더스트리 4.0을 어느 정도 달성해야 하는가? 스마트팩토리를 향한 첫 걸음은 무엇인가?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생산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인더스트리 4.0은 현재보다는 미래 제조 설비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인더스트리 4.0을 강조하는 독일의 경우 인건비는 해외와 비교할 때 과도하게 높은 편이며 여전히 고임금 국가이다. 그럼에도 선진국들 사이에선 GDP에서 산업 생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국가들중 하나로 꼽히며, 자동화에 기반한 생산운영 강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기업들은 자동화, 최신 인프라, IT 전문가, 지역 시장과의 근접성이 높아짐에 따라 노동 집약적인 작업을 독일로 이전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을 두고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과 유사하게 재산업화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조사 각각의 미래를 향한 아이디어 치열한 글
[헬로티] 인더스트리 4.0은 산업용 벨류 체인의 완전한 통합 및 디지털화를 말한다. 산업자동화 전문업체인 WAGO(와고)는 독일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 인더스트리 4.0 흐름에 맞춘 다양한 솔루션을 제안해 관심을 모았다. 와고는 특히, 자동화 분야에서 즉시 실행할 수 있는 실용적인 솔루션을 3가지 포인트로 소개했다. 그 내용은 이렇다. 첫째, 빠른 애플리케이션 모듈 변경 가능 ‘Batch size 1시대’ 와 같은 맥락으로 기업들은 변동하는 생산량과 시장 상황, 다변화되고 있는 각 지역별 시장 수요에 따라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이 필요하다. 와고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DIMA(Decentralized Intelligence for Modular Applications) 솔루션을 개발했다. ▲사진 1. 와고는 애플리케이션 시연을 통해 DIMA 콘셉트의 실용성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 모듈을 3분 이내로 빠르게 교체할 수 있음을 선보였다. DIMA란 지난 수년간 시스템 운영자들이 바라던 솔루션으로, 전체 제어 시스템 내에 프로그램 변경 없이 각 단위 모듈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이 가능한 솔루션이다. Plug-and-produce 원리
와고에서 기존의 WAGO-I/O SYSTEM 758/750 IPCs와 PLC 제품군에 새로운 컨트롤러 ‘PFC200 시리즈’를 추가했다. 실시간 리눅스 운영체제 기반 WAGO PFC200 시리즈는 WAGO 특유의 콤펙트함과 강력함 그리고 고도의 다목적 자동화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다. 이 새로운 컨트롤러를 통해, 와고는 표준 PLC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하위 및 상위 레벨 간의 통신을 하나의 제어기에서 수행함으로써 공간절약형 제어기 필요성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게 되었다. PFC200의 Cortex-A8 프로세서 구조는 기존 WAGO-I/O-System의 모든 컨트롤러와 모듈들에 완벽하게 호환할 수 있다. 또한, PFC 200 시리즈는 SDHC 메모리, 지극히 낮은 발열량과 배터리 미장착 시스템을 특징으로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극한의 견고성을 보여 준다. ▲ 모든 PFC200 컨트롤러는 두 개의 이더넷 포트와 제품 모델에 따라서 특징이 다른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와고의 PFC200 컨트롤러 설정은 임베디드 웹서버, CODESYS 프로그래밍 환경(IEC61131-3) 또는 설정 다이얼로그(Linux cons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