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화로 기초소재산업 선도하다 1984년에 설립, 올해로 창립 33주년을 맞는 특수 동합금 제품과 발전설비 부품 소재 개발 및 생산·정비 전문 기업 해강알로이. 해강알로이는 대기업, 정부 연구기관과 함께 특수 동합금 및 소재 국산화에 성공해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을 비롯해 30여개 국가에 수출하고 있다. 또한 한국수력원자력 및 발전 5개사에 정비적격업체 등록을 하고 발전설비 정비수리분야 사업도 수행한다. Q. 해강알로이는 어떤 회사인지요. 해강알로이는 1984년 설립됐으며, 당시만 해도 국내 부품·소재 산업은 대부분 외산에 의지하던 때였습니다. 설립 초기의 주요 생산품은 용접기 부품에 사용되는 용접용 전극재였습니다. 당시 국내 상황은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개발계획에 의해 발전, 플랜트, 조선, 반도체, 중화학, 중전기, 자동차, 항공, 고속철도 등 산업 전반의 급격한 발전이 시작되던 시기였습니다. 그러나 이를 위해 필요한 부품·소재 대부분은 값비싼 외산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국산화 및 품질 향상이 절실한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해강은 특수비철금속소재 국산화로 기초소재산업의 초석이 되자는 의지로 기술개발에 앞장 섰습니다.
산업용 계측기기 전문 업체 시설관리, 위험관리, 에너지관리 분야의 계측기기 전문 업체 테크온은 ENERGY PLUS 2017을 통해 신제품 3종을 선보였다. 내년 상반기 중에 테크온의 라인업 제품이 전부 출시될 예정이며, 이후 적극적인 공격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Q. 테크온은 어떤 회사이고 ENERGY PLUS 2017에 참가한 주요 목적은 무엇인지요. 테크온은 2014년에 설립한 회사로 시설관리, 위험관리, 에너지관리 분야의 계측기기를 전문으로 합니다. ENERGY PLUS 2017 전시회에 참가한 주요 목적은 아시다시피 테크온의 제품은 전기 분야 관련 전문 장비입니다. 따라서 전기 장비를 많이 접하는 사람들이 참가하는 전시회장에서 잠재고객을 발굴하기 위해서입니다. 물론 작년에도 참가했으며,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변압기 진단기, 전력분석기 등 3종의 신제품을 출시하고 발표회를 갖습니다. 이번에 발표하는 신제품은 2016년에 중소기업청의 산업성장과제를 통해 개발해서 올해 11월 말에 과제가 끝나는데, 출시 시기에 맞춰 신제품 발표하게 돼 홍보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Q. 주력 제품과 특장점은 무엇입니까. 기존의 시설관리나 위험관리, 에너지관리 분야의 계
전기차 충전기 시장의 강자 중앙제어주식회사는 전력자동제어와 빌딩자동제어, 홈 네트워크 사업을 전문으로 하다가 최근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버스 충전기 사업에 주력하면서 리스 사업과 IoT 접목 분야로도 사업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Q. 중앙제어주식회사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중앙제어주식회사는 1987년 설립됐으며 전력자동제어와 빌딩자동제어에서 출발, 홈 네트워크로 이행하여 거실 일괄 소등 스위치, 외부에서 웹 제어로 전등을 소등하는 스위치를 만들었습니다. 또 최근에는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도 납품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크게 빌딩자동제어, 홈네트워크 사업부, 전기자동차 충전기 사업부의 3개 사업부로 구성되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올해는 전기자동차 부분이 중심 역할을 하며 3개 사업부 중 60%를 차지할 정도로 약진하고 있습니다. 이 기세를 이어 내년에도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주력 사업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Q. 전시회는 어떤 목적으로 참가하셨는지요. ENERGY PLUS에는 이전부터 참가를 하고 있습니다만, 올해는 특히 타사와 차별화 전략으로 버스를 타깃으로 한 전기버스 충전기를 들고 나왔습니다. 새로운 정부 과제로
피엠그로우는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배터리 충전 및 자동교환형 전기버스 시스템과 폐기된 배터리를 재사용하는 ‘리벳(REBAT)’ 솔루션을 선보였다. 피엠그로우는 전기버스 운영 솔루션인 ‘위버스(WEBUS)’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이 솔루션에는 전기버스 배터리, 충전인프라, 관제에 대한 통합 솔루션이 포함돼 있다. 피엠그로우는 위버스 상용화를 위해 ‘e-BUS 배터리’를 개발하고 공급했다. 배터리 시스템은 58kWh급 배터리 2개를 병렬로 구성했으며, 자체 개발한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를 통한 충방전 제어 및 에러 방지로 사용 수명을 연장시켰다. 위버스는 현재 김포의 선진운수 버스 20대에 적용되고 있으며, 내년에는 50대로 늘릴 예정이다. ▲ 위버스의 자동교환형 전기버스 배터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
현진이앤에스는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혁신 기술이 적용된 에너지 공정관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 솔루션에는 산업용 배터리, 다목적 리튬 2차전지 시스템, ESS 등으로 구성돼 있다. 현진이앤에스가 이번 전시회에 선보인 ‘에너지센터(EnergyCentre)’ 솔루션은 ESS 서비스로서, 여기에는 HBS(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 PCS(전력 컨버젼 시스템), EMS(에너지 관리 시스템), PMS(전력 관리 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현진이앤에스는 ESS 솔루션을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ESS, 주파수 조정용 ESS, 산업/가정용 ESS, 마이크로그리드용 ESS로 구분해 공급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 서울국제전기차엑스포, 신재생에너지엑스포 및 그린빌드 총 5개의 명성 있는 에너지 분야 전시회들이
지엘켐은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리튬2차전지용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소개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지엘켐은 화장품과 생활용품에 첨가되는 실리콘 유화제품 ‘COSILINE’, 식품 및 제약 공정에 첨가되는 ‘MICELLCMC’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조하는 기업이다. 이번 전시회에는 2008년부터 개발한 리튬2차전지 바인더에 사용되는 ‘SCMC’를 들고 나왔다. SCMC는 이차전지 전극활물질과 도전재를 결착하여 집전박막인 금속집전체와 결합체로 적용되는데, 결착력이 우수해 바인더 함량을 줄일 수 있고, 용매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 서울국제전기차엑스포, 신재생에너지엑스포 및 그린빌드 총 5개의 명성 있는 에너지 분야 전
신흥에스이씨는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전기자동차(xEV), 신재생에너지 저장장치 등에 공급하는 전지팩 모듈과 이 모듈을 패키징화 시킨 PCS(power conversion system)를 선보였다. 신흥에스이씨는 배터리용 스트립터미널을 비롯해 EV/ESS 전지팩 모듈 및 중대형/소형전지 부품 사업을 하는 기업으로 전기자동차,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핸드폰, 전동공구 등에 들어가는 금속소재 원통/각형 캡어셈블리와 캔을 주로 생산한다. 이번 전시회에 선보인 저지팩 모듈은 각형 및 원용 모듈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여기에는 발열을 최소하시키기 위한 레이저 공법 등의 다양한 혁신 기술이 적용돼 있다. 신흥에스이씨는 2016년 1000억원을 달성하며 연평균 20% 성장율을 보이고 있다. ▲ PCS에 들어가는 배터리 모듈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
차지인은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전기자동차 이용자 중심의 충전인프라 공유 서비스를 소개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차지인은 EV 충전 인프라를 제공하는 EV 전문 기업으로, 이번 전시회에서는 개인이 소유한 충전기를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망고(Mango)’를 소개하는 데 주력했다. 망고는 통신 모뎀 없이 전자 코인 시스템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누구나 스마트폰에서 앱만 깔면 이용할 수 있다. 앱을 통해서는 주변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기를 검색할 수 있고, 원하는 가격과 충전 환경을 골라 충전할 수 있다. 충전기 소유자는 이러한 공유 시스템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차지인은 망고를 통해 충전소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상호 가치를 제공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 차지인이 개발한 충전공유 앱 '망고' 시연 모습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
피앤이솔루션은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산업 및 가정에서 사용되는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와 전기차 충전 시스템 등을 선보였다. 피앤이솔루션은 2차전지 시험설비 전문 생산 업체로, 이번에 선보인 제품군은 신규 사업인 ESS, PCS, 전기차 충전 시스템 등이다. 피앤이솔루션의 ESS는 가정용과 산업용으로 구분돼 있으며, 특히 긴급으로 전력 공급이 필요한 환경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제품까지 마련해 놓았다. 또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기, 배터리팩, DC-DC 컨버터 등 자동차에 들어가는 다양한 전장품을 제공하고 있는 것과 충전소, 전력공급시스템 등을 통합모니터링해 운영시스템까지 한눈에 볼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 피앤이솔루션에서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 서울국제전기차엑스포, 신재생에너
삼성SDI는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BoT(Battery Of Things)라는 컨셉으로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ESS), 다양한 IT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배터리, 그리고 차량용 배터리 등 다양한 배터리 라인업을 선보였다. 삼성SDI의 에너지 사업은 앞서와 같이 소형 배터리, 산업 및 가정에 적용되는 ESS, 차량용 배터리로 구분된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혁신’에 중점을 두었다. 소형 배터리 부분에서는 고체 상태 배터리(All Solid State Battery)를, ESS 부분에서는 산업 시설에서부터 가정에까지 적용될 수 있는 신재생 발전단지용 ESS를 선보였다. 특히 자동차용 배터리 부분에서는 혁신적인 각형 배터리 셀 기술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등을 선보여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
LG화학은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Battery in Everday Life’라는 컨셉으로 생활 전반에 걸쳐 적용되는 배터리 기술들을 전시했다. LG화학은 최근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을 문제로 제기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을 선보였다.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ESS)의 경우 LG화학은 여러 국가에서 구축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데, 이번 전시회에는 구축 시 적용되었던 기술들을 중점적으로 선보였다. 또 소형 배터리 부분에서는 혁신 기술이 집약된 원통형 배터리, 와이어 배터리 등을 선보였다. 차량 배터리 부분에서는 독자적인 EV, HEV, LV 기술을 선보였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 서울국제전기차엑스포, 신재생에너지엑스포 및 그린빌드 총 5개의 명성 있는 에너지 분야 전시회들이 한자리에
포스코켐텍은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2차 전지 배터리 음극재의 제조 공정과 원료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포스코켐텍은 2차전지 배터리 음극재를 만드는 기업으로 현재 LG화학, 삼성SDI 등에 주로 공급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하는 음극재는 천연흑연계 음극재, 인조흑연계 음극재, 탄소계 음극재로 구분돼 있는데, 제공 공정에서는 표면코팅 및 열처리 기술이 이 기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음극재에 사용되는 원료는 포스코의 코크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COG(Coke Oven Gas)를 활용했다는 점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가질 수 있는 장점이다. 한편 전기차 시장 및 중대형 전지 시장의 활성화로 음극재시장은 2020년까지 CAGR 36%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포스코켐택이 사용하는 2차 전지 음극재의 원료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
플라스포는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PCS(power conversion system) 토탈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 솔루션을 통해 전시된 장비는 에너지저장장치용 인버터,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풍력발전용 컨버터 등이다. 플라스포는 대용량 풍력발전용 컨버터를 통해 경험과 기술력을 발전시켜 온 전력 전자 전문 업체다. 이번에 선보인 제품 중 에너지저장장치용 인버터 ‘PLABEX-시리즈’는 원웨이 다이렉트 쿨링 기술을 적용한 제품으로 국내 최초 개발 검증된 LVRT 기능이 돋보인다. 플라스포는 다양한 인터버 및 컨버터 제품을 기반으로 한 PCS 토탈 솔루션을 통해 고객 요청부터 분석 및 컨설팅 설치/시공, 서비스까지 전 과정을 책임 있게 제공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 서울국제전기차엑스포, 신재생에너
엔켐은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2차 전지 및 EDLC(전기이중층콘덴서)용 전해액 등에 대한 기술을 소개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엔켐은 2012년에 창업한 2차 전지 및 EDLC용 전해액과 고기능성 첨가제 개발 기업이다. 주요 생산 품목은 IT용 전해액, xEV용 전해액, ESS용 전해액, 양극용 전해액, 음극용 전해액, EDLC용 전해액 등이다. 엔켐이 최근 새롭게 개발한 고전압, 고용량, 고출력 등 차세대 IT 및 전기차용 신규 2차 전지 전해액은 주요 2차 전지 제조사로부터 우수한 성능을 검증 받았다. 현재 엔켐은 메이저 2차 전지 제조사와 EDLC 제조사에 전해액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 서울국제전기차엑스포, 신재생에너지엑스포 및 그린빌드 총 5개의 명성 있는 에너지 분야 전시회들이 한자리에 모
화인시스템은 9월 27(수)일부터 29일(금)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에 참가하여 올인원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위한 PCS(power conversion system)를 선보였다. 화인시스템은 ESS용 PCS 공급 업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배터리 일체형인 양방향 PCS, 온그리드(On-Grid) 타입의 양방향 PCS, 태양광 PCS 등이다. 화인시스템의 제품은 스택 병렬 및 그리드 병렬을 통한 전력 연계가 가능하다는 것과 통신선 필요 없이 장거리 전압 병렬을 구현하는 기술을 가진 것이 강점이다. ▲ 배터리 일체형 양방향 PCS 'EX-3000A'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에너지신산업 전시회들이 통합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Energy Plus 2017(2017 에너지플러스)’는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 서울국제전기차엑스포, 신재생에너지엑스포 및 그린빌드 총 5개의 명성 있는 에너지 분야 전시회들이 한자리에 모여 700개사 1,500부스 규모로 개최된다. Energy Plus 2017은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