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조연에서 주연으로 부상한 ‘물류’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지금, 공급망관리 분야 전문 전시회 ‘SCM FAIR 2024 / 제4회 유통·물류 및 공급망관리 산업전’이 다음 달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경기도 고양시 소재 킨텍스에서 열린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에는 전체 450여 개 전시 부스가 참가하며 약 10,000명 이상의 참관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전시회를 앞두고 참관객들을 맞이할 주요 기업들을 파트별로 정리, 미리 만나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이번 기획에서는 물류 자동화를 완성하는 두 축 가운데 다른 하나인 물류 자동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소개할 주요 기업들을 정리했다. (기업 순서는 가나다순임을 알려드립니다) 니어솔루션 니어솔루션은 물류센터 자동화 솔루션 통합 운영 및 모니터링을 위한 지능형 솔루션을 SasS로 제공한다. 니어솔루션의 대표 솔루션인 니어솔로몬은 주문의 원활한 처리를 위한 주문분석 모듈, 최적 포장을 위한 박스 추천 및 디자인 모듈, 최적 재고이동 및 관리를 위한 재고 관리 모듈, 생산성의 측정 및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생산성 모듈을 WES(Warehouse Execution System)
AI 기술을 빠르게 이해하고 업무에 적용하도록 지원 VESSL AI는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설계된 'AI Acceleration' 프로그램을 새롭게 출시했다. 이 프로그램은 기업이나 개인이 인공지능 기술을 빠르게 이해하고 자신의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2주간의 심층 교육 과정이다. 첫 스텝으로는 참가자가 라마 2, 믹스트랄 AI과 같은 최신 인공지능 모델을 실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VESSL AI의 강력한 GPU 클러스터를 이용해 기업 고유의 데이터셋으로 모델을 파인튜닝하며, 최신 생성형 AI 모델 및LLM 모델 평가와 하이브리드 클러스터 구축, GPU 리소스 최적화 등을 배운다. 이후 참가자들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모델을 배포하고 최적화하는 실습을 진행한다. VESSL AI의 MLOps 엔지니어와 함께 프로덕션 클라우드에 모델을 배포하고, 비용 효율성과 안정성을 고려한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며 모델 및 클러스터 모니터링 방법을 배운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전처리, 모델 재학습, 배포로 이루어진 과정의 자동화를 목표로 한다. 참가자들은 자동으로 모델을 재학습하고 재배포하는 CI/CD 파이프라인을 설계하며,
[첨단 헬로티]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직무대행 이상홍)은 10월16일(화)부터 19일(금)까지 4일간 롯데호텔 잠실에서 미주개발은행 (Inter-America Development Bank, 이하 IDB)과 공동으로 「KEA-IDB 에너지효율 정책컨설팅 프로그램」을 개최한다. 중남미·카리브해 지역 국가 정부 및 에너지효율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에너지효율 정책을 소개하고, 국내기업의 중남미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멕시코, 에콰도르, 코스타리카 등 6개 국가의 공무원 및 전력공기업 관계자 10여명을 대상으로 기기, 수송, 건물 등의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정책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LG전자, LS산전, 한국전지산업협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신산업 및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 분야 한국의 선진 정책 및 기술을 공유할 계획이다. 중남미·카리브해 지역은 최근 에너지효율 및 재생에너지의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에너지효율 시장의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공단은 ‘기후변화대응 한-개도국 국제협력 사업’을 통해 IDB와
[첨단 헬로티]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원장 최규하)이 지난 6일, 창원문성고와 구미전자공고 여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차세대 여성 과학기술인 육성을 위한 ‘K-Girls’ Day’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산업부가 주최하며 올해로 5회를 맞이하는 K-Girls’ Day는 여학생들이 전국의 연구소·기업·대학 등을 방문해 실제 연구가 진행되는 기술혁신의 현장을 바라보며 기술과 친숙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이다. KERI도 2014년 1회부터 지금까지 5년 연속 K-Girls’ Day를 진행하며 미래 연구자를 꿈꾸는 지역 여학생들을 위한 산업기술 현장체험 기회를 제공해왔다. 올해에는 과학특강, 진로상담, 과학교구 만들기, 연구실험실 투어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첫 포문을 연 KERI 최규하 원장의 과학특강은 전기의 다양한 의미 설명과 함께 우리의 삶에 전기가 중심이 되는 ‘전기화(電氣化, electrification)’를 주제로 진행됐다. 거리의 자동차가 점점 전기차로 바뀌고, 가정의 가스레인지가 전기 인덕션으로 교체되는 등 이제
[헬로티] 함께일하는재단이 ‘소셜테크 벤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데모데이 2016를 성황리에 마쳤다. 함께일하는재단은 ‘서울특별시 2016년 민간 창업지원기관 협력연계사업’으로 ‘소셜테크 벤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지난 7월부터 운영해왔다. 스타트업 10개 팀이 선정돼 8월부터 집중 육성 기간을 거쳤고, 이날 데모데이는 10개 기업(겜브릿지, 라포터, 리베라빗, 메이톰, 모두다, 브로콜리스, 스마트 화재예방, 씨알, 위넥스트, 젤리코스터)이 약 4개월 동안 얻은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이날 대상(상금 300만 원)은 주식회사 모두다(대표 박비)가 차지했다. 모두다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마음의 장벽을 허문 게임 공간을 제공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모두다 박비 대표는 “스타트업을 도와주는 함께일하는재단으로부터 대상을 수상하게 되어 기쁘다”며 “우리는 발달장애인들과 더불어 사는 세상을 꿈꾸고 있다”고 전했다. 최우수상(200만 원)은 위넥스트(대표 한성배)와 스마트화재예방(대표 김승연)이 차지했다. 최우수상을 받은 위넥스트는 1인 이사 필요 가구(
[헬로티] 다우기술의 업무가 빨라지는 그룹웨어 ‘다우오피스’가 8월부터 도입 고객사에게만 지원하던 ‘두 케어(DO CARE)’ 서비스를 확대하여 다우오피스를 검토하고 있는 기업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존 ‘두 케어(DO CARE)’서비스는 다우오피스 프리미엄 고객 프로그램으로 기존 구축형 도입 고객사에게 연 2회 무상 업그레이드 제공 및 고객사 방문 VOC(Voice of Customer)를 통한 개선사항 수집, ‘두 케어 라운지(DO CARE Lounge)’를 통한 고객별 신속한 기술지원 서비스 등을 포함하였다.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그룹웨어 업그레이드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업그레이드 진행 시 높은 추가 비용으로 부담을 느끼는 고객사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이번에 확장되는 ‘두 케어(DO CARE)’서비스 대상은 다우오피스 구축형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들이다. 그룹웨어 도입을 위해 내부 절차가 복잡하거나 많은 자료들이 도출되어야 하는 경우, 담당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룹웨어 관심기업에게 새롭게 추가되는 서비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