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부품 전문 기업 세인플렉스가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에서 로봇용 액추에이터 제품을 소개했다. 세인플렉스는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로보월드에서 부스를 꾸리고 전시회를 찾은 관람객들에게 휴머노이드 및 차세대 로봇용 액추에이터 ACCTILINK-JD 시리즈를 선보였다. 세인플렉스에 따르면 해당 시리즈 제품은 휴머노이드 로봇, 사족보행 로봇, 엑소스켈레톤과 같은 고역동성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컴팩트한 설계와 높은 토크 밀도, 정밀한 제어 성능, 그리고 모듈형 로보틱스에 필요한 유연성을 모두 갖춘 차세대 액추에이터다. 저백래시 유성감속기와 고토크 모터를 탑재했고 모터와 감속기를 하나로 통합해 컴팩트해 컴팩트하게 설계됐다. 아울러 이더캣(EtherCAT 기반 고성능 모션 제어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세인플렉스는 이밖에도 산업용 엔코더 등 다양한 제품들을 관람객들에게 소개했다. 한편 2006년 시작돼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2025 로보월드는 제조·스마트팩토리·자동화, 전문·개인 서비스로봇, 자율주행·물류로봇, 의료·재활·국방로봇, 서비스형 로봇(RaaS), 로봇부품·SW 등 다양한 분야의 로봇과 기술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국내 로봇 산
한국로봇산업협회(이하 로봇협회)는 오는 8월 21일부터 25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2024 중국 베이징 로봇전시회(WRC 2024)’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매년 8월 개최되는 WRC 2024는 중국인민공화국 국무원의 허가를 받아 베이징 인민정부, 중화인민공화국공업정보화부(MIIT), 중국과학기술협회(CAST)가 주최하고 중국전자학회(CIE)가 주관하는 행사다. 시진핑 주석, 리커창 총리, 류옌둥 부총리 등 중국 정부,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 지도자들의 지원을 받는 중요한 행사로 꼽힌다. WRC는 전시회, 컨퍼런스, 경진대회, 총 3개의 행사가 동시개최되는 로봇 통합행사다. 매년 전시회에서는 중국 글로벌 로봇기업의 신제품과 신기술이 소개되며, 컨퍼런스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로봇산업 전문가가 모두 연사로 참여해 최신 로봇기술 연구결과를 선보이는 자리로 알려져 있다. 로봇협회는 코트라와 함께 한국관을 구성 및 운영할 예정이다. 한국관은 A홀 A106에 위치하며 참가기업은 나라오토시스, 도구공간, 브릴스, 세인플렉스, 시그봇, 쎄텍, 에이딘로보틱스, 유엔디, 유일로보틱스, 코보시스 등 10개사다. 로봇협회 관계자는 “매년 협회에서 실시하는 로봇
세인플렉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협동로봇 필수 파트인 엔코더를 국산화한 모델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세인플렉스는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Magnet 분야에 주력해 사업을 진행해온 기업이다. 자동차, 실린더, PC, 스피커 및 전자 산업에서 필수요소로 평가받는 Magnet 제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최근에는 고정밀 다극 착자 기술로 자기식 엔코더 국산화에 성공해 주목받고 있다. 세인플렉스는 전시회 부스에서 In-Wheel Motor와 자기식 엔코더를 소개했다. In-Wheel Motor는 휠 안에 구동계를 설치한 기술이다. 세인플렉스는 해당 데모를 소개하며 In-Wheel Motor에 자기식 엔코더를 체결해 제어 특성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제품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세인플렉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자기식 엔코더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세인플렉스는 지난 20년간 축적한 다극착자 기술을 바탕으로 IC-Haus에 적용되는 MU시리즈의 엔코더 마그넷 다극자석 라인업을 완성했다. 세인플렉스의 엔코더용 마그넷 라인업 종류는 IC-Haus Chip의 MU, MU150, MU200 총 3종이며 현재, 3가지 라인업이 모두 양산 중이다. 세인플렉스는 기존 외산 수입 제품으로 의존하고 있던 엔코더 마그넷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했으며, 국산화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부품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세인플렉스는 1997년 창립 이래 혁신 기술과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Magnet 분야에 집중해 왔다. 최근 Electromagnetic Field Technology를 기반으로 Magnet Module Industry, 및 VCM(Voice Coil Motor) / VCA(Voice C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세인플렉스(대표 한창수)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세인플렉스는 SF+AW 2021에서 자기식 인코더 제품을 전시한다. 세인플렉스는 지난 20년간 축적한 다극착자 기술을 바탕으로 IC-Haus에 적용되는 MU시리즈의 인코더 마그넷 다극자석 라인업을 완성했다. 세인플렉스의 인코더용 마그넷 라인업 종류는 IC-Haus Chip의 MU, MU150, MU200 총 3종이며 현재, 3가지 라인업이 모두 양산 중이다. 세인플렉스는 기존 외산 수입 제품으로 의존하고 있던 인코더 마그넷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했으며, 국산화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부품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작년 대비 상반기 인코더 매출이 향상됐으며, 2020년 한 해 성장이 고무되고 있다. 또한 중간정지에 의한 장비 안전성 확보 및 다점 위치결정이 가능하며 반복 위치정도의 정밀도가 높고(±20μm) 다양한 MOTOR(Servo, Step, BLD
[첨단 헬로티] 세인플렉스는 자체 개발한 로봇 구동 핵심 부품인 자기식 로터리 엔코더를 전시했다. 엔코더는 회전이나 직선 운동을 하는 물체의 위치와 속도의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다. 모터의 회전 속도, 회전량 등의 제어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 쓰인다. 자기식 회전 엔코더는 외부 환경에 민감하지 않으면서 위치 정확도가 우수하다. 자기식 로터리 엔코더는 협동 로봇용 구동 액추에이터에 쓰인다. 정교하고 정밀한 움직임을 취해야 하는 협동로봇의 구동 액추에이터는 모터, 엔코더, 컨트롤러 등으로 구동되는데, 종래에는 정밀도 문제 때문에 광학식 엔코더를 주로 사용했지만 광학식 엔코더는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과 외부 환경에 취약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올해로 14회째인 로보월드는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나흘간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10개국 160개사 550부스의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국제로봇산업대전을 비롯해 국제로봇콘테스트, 국제로봇기술포럼이 공동행사로 진행된다.
[첨단 헬로티] 복합기능형 컴팩트 스테이지 시스템 개발을 위해 국내 기업 3사가 나섰다. 9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9 로보월드’에서는 고정밀 소형, 박형 스테이지 전문개발 업체 주식회사 재원(대표 신정욱)과 구동기 전문업체 세인플렉스 주식회사(대표 한창수), 드라이버(Driver) 전문회사인 ㈜웰콘시스템즈(대표 박상덕)는 복합기능형 컴팩트 스테이지 시스템에 대한 공동 개발에 합의, MOU를 체결했다. ▲ 로보월드 2019에서 복합기능형 컴팩트 스테이지 시스템 개발을 위한 국내 3개 회사의 MOU가 체결됐다. (왼쪽부터 신정욱 주식회사 재원 대표, 한창수 세인플렉스 대표, 박상덕 웰콘시스템즈 대표) 복합기능형 컴팩트 스테이지 시스템은 장비 제조사에 공급되는 모듈화된 핵심 부품이다. 지금까지 이 부품은 스테이지 및 모듈 형태가 모두 달라 표준화가 어렵고, 자체 수요도 많지 않은 관계로 직접 양산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3사의 업무협약으로 인해 복합기능형 컴팩트 스테이지 시스템이 개발될 경우 Stage는 직접 제작, 운영이 가능했으나 전문성을 요하는 고정밀, 고속·저속, 토크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은 개발이 쉽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