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 구축 사례 세미나가 개최됐다. 세연테크놀로지가 오늘 26일 진행한 RFID 도입 사례 전문 세미나는 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핵심 기술 RFID 실무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RFID는 전자 태그나 라벨에 정보를 저장하고,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 정보를 읽거나 저장하는 기술이다. 인더스트리 4.0 시대 다양한 산업에 접목돼 스마트 제조를 이끌고 있는 핵심 요소다. 유통업, 제조업, 반도체 산업 등에서 RFID 기술은 공급망 관리, 자산 추적, 작업자 안전 및 출입 관리, 품질 관리 등을 위해 활용되면서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안전성 강화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번 제23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 구축 사례 세미나는 에이버리데니슨 백종원 이사의 'RFID 인레이의 산업별 적용사례 솔루션' 발표를 시작으로 한청CNS 김승환 대표의 '타이어, 금속 제품 분야 RFID 도입 가이드 및 기대효과', 블루칩스마트시스템 박종현 대표의 'LCD/반도체 스마트팩토리 구현 사례', 세연테크놀로지 황한춘 이사의 '반도체, 2차전지 분야 RFID 이해 및 제조 공정 적용 사례'로 진행됐다. 에이버리데니슨 백종원 이사는 리테일, 의료,
이달 26일 AT센터 세계로룸서 RFID의 현주소 알리는 세미나 펼쳐져 디스플레이·반도체·이차전지 등 먹거리 산업부터 제약·헬스케어·패션·타이어·금속 등 산업서 활약상 소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전파를 기반으로 물체 및 정보를 식별하는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전파를 활용하기 때문에 빛을 기반으로 한 기존 바코드 방식 대비 고도화된 식별 기술로 알려져 있다. 쉽게 말해 IC칩에 담긴 정보를 무선 주파수를 통해 읽거나 추적하는 기술이다. RFID 기술을 활용하면 장거리 인식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RFID 기기와 식별 대상 사이에 다른 물체가 있어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인식 기술로 평가된다. 영국 시장조사기관 IDTechEx는 RFID의 글로벌 시장규모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분석은 수동형 RFID, 능동형 RFID, 칩리스 RFID의 형태를 비롯해 태그, 리더기,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 RFID 모든 영역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 침체, 공급망 이슈 등 글로벌 위험요소에도 불구하고 RFID 산업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한국 RFID 기술의 중심에 굳건한 발자취를 남긴 세연테크놀로지가 설립 23년차를 맞았다. 이 기간 동안 RFID 명가로 군림하며 손영전 대표가 이끄는 세연테크놀로지는 RFID 사관학교라는 명성에 걸맞게 기술적인 혁신과 노력을 기반으로 급변하고 불확실한 RFID 시장에서 굳건한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본지는 손영전 대표와 인터뷰를 통해 지난 23년의 RFID 여정을 돌아보며 여러 우여곡절과 불확실한 RFID 시장에서 버틸 수 있었던 원동력, 그리고 RFID 기술의 핵심 가치와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에 대한 소중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질문. 세연테크놀로지가 국내 RFID 산업을 선도해 온 23년의 역사를 돌아보며,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인가요? 답변: 2000년대 초반, RFID 산업이 초기단계에 있던 시점에서 여러 하드웨어 기업들이 시장에 등장했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변화와 도전에 직면하면서 많은 기업들이 철수하는 모습을 목격했습니다. 이 순간은 우리에게는 깊은 아픔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러한 어려움은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으로 다가왔고, 이후 꾸준한 혁신과 노력을 통해 국내 RFID 산업에서의 리더십을 확립하게 되었습니다. 당시의 어려움은 오늘
세연테크놀로지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릴 관리 시스템 ‘REEL FINDER’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 B, C, 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세연테크놀로지는 RFID 장비 전문기업으로, 사내 연구진이 개발한 주파수 대역별(125㎑, 134.2㎑, 13.56㎒, 900㎒, 2.45㎓) 다양한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개발로 축적한 경험과 기술로 고객 최적의 RFID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세연테크놀로지의 자회사 릴 자동화 관리 시스템 전문업체 세연텔인벤토리의 REEL FINDER’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선반에 보관중인 개별 릴 태그의 인식을 통해, 각 선반에 보관 중인 릴의 재고 현황 및 위치 정보 조회를 화면을 통해 가능하게 해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제품
스마트제조 핵심기술 'RFID', 최근 이슈와 올바른 활용방법은? 스마트제조의 첫걸음은 양질의 데이터 확보다. 그러기 위해서는 센서와 RFID, 바코드 등 현장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취합하느냐가 중요하다. 따라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 바로 RFID다. 산업현장에서 RFID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기 위해선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할까? 전문가들이 이러한 물음 혹은 궁금증에 답을 제시해줄 수 있는 세미나가 열린다. 세연테크놀로지 주최로 제22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가 3월 9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 402호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RFID 이슈와 편견깨기 ▲글로벌 RFID 동향 및 적용사례(지브라테크놀로지스) ▲RFID로 효율적인 물품, 자재, 자산관리 구축하는 방법 제안(보아스소프트) ▲RFID 이해 및 제조공정 적용사례(세연테크놀로지)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된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기 위한 실무지식 소개와,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거나 즉시 적용 가능한 RFID 솔루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이번 세미나는 120명 선착순으로 신청받는다. 무료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에 참석을 원한다면, 참
3월 9일(목) 제22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 개최 스마트제조의 첫걸음은 양질의 데이터 확보다. 그러기 위해서는 센서와 RFID, 바코드 등 현장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취합하느냐가 중요하다. 따라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 바로 RFID다. 산업현장에서 RFID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기 위해선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할까? 전문가들이 이러한 물음 혹은 궁금증에 답을 제시해줄 수 있는 세미나가 열린다. 세연테크놀로지 주최로 제22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가 3월 9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 402호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RFID 이슈와 편견깨기 ▲글로벌 RFID 동향 및 적용사례(지브라테크놀로지스) ▲RFID로 효율적인 물품, 자재, 자산관리 구축하는 방법 제안(보아스소프트) ▲RFID 이해 및 제조공정 적용사례(세연테크놀로지)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된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기 위한 실무지식 소개와,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거나 즉시 적용 가능한 RFID 솔루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이번 세미나는 120명 선착순으로 신청받는다. 무료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에 참
10월 5일 코엑스서 제21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가 개최된다. 제조업의 스마트공장화, 스마트제조혁신에 따라 RFID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 5G,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신기술과 접목되며 RFID 활용 분야와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 중 하나인 RFID를 제대로 구축하기 위해선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할까? 21회를 맞이한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는 RFID 도입사례를 전문으로 소개하는 자리다. 오는 10월 5일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보아스소프트 정영호 대표의 RFID 제대로 활용하기 ▲한국에너지기술 임두빈 대표의 RFID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 및 ROI 도출 ▲세연테크놀로지 황한춘 이사의 RFID 이해 및 제조공정 적용사례를 소개한다. 산업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기 위한 실무지식 소개와,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거나 즉시 적용 가능한 RFID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80명 선착순 마감으로 신청(http://hellot.net/data/pages/rfid.html) 받으며, 세미나는 10월 5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코엑
10월 5일 코엑스서 제21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가 개최된다. 제조업의 스마트공장화, 스마트제조혁신에 따라 RFID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 5G,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신기술과 접목되며 RFID 활용 분야와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 중 하나인 RFID를 제대로 구축하기 위해선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할까? 21회를 맞이한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는 RFID 도입사례를 전문으로 소개하는 자리다. 오는 10월 5일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보아스소프트 정영호 대표의 RFID 제대로 활용하기 ▲한국에너지기술 임두빈 대표의 RFID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 및 ROI 도출 ▲세연테크놀로지 황한춘 이사의 RFID 이해 및 제조공정 적용사례를 소개한다. 산업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기 위한 실무지식 소개와,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거나 즉시 적용 가능한 RFID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80명 선착순 마감으로 신청 받으며, 세미나는 10월 5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코엑스 3층 328호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헬로티] 창립 20주년 맞이한 RFID 대표기업 세연테크놀로지, 경험과 노하우로 지속적인 RFID 프로젝트 수주 국내 RFID 선도기업인 세연테크놀로지가 올해로 창립 20주년을 맞이했다. RFID 기술이 국내에 생소할 때 연구소를 두고 국내 시장에 최적화된 제품을 개발하고, 해외 시장도 적극 개척하며 분야별 특화된 제품을 개발하는 등 RFID 분야의 독보적인 노하우를 쌓아왔다. 사진. 세연테크놀로지 손영전 대표 우선, 한우물만 파면서 개발한 해외 기업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검증된 RFID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삼성, SK과 같은 대기업은 물론, 국내 여러 반도체 설비업체들과 꾸준한 계약을 맺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핵심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배터리 분야의 대기업과도 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도 한국 대기업의 해외 사업장, 중국디스플레이 업체와 그리고 미국의 전자 기업과도 지속적인 협업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세연테크놀로지는 이렇듯 반도체와 LCD산업, 배터리산업 그리고 일반 전자산업 등의 제조라인에 RFID를 활용한 공정물류시스템을 구축해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 이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4차산업혁명
[첨단 헬로티] RFID가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RFID 전문업체인 세연테크놀로지(대표 손영전)이 오는 21일 코엑스 컨퍼런스룸(318호)에서 제18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를 개최한다. RFID로 스마트공장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는 현재 산업현장에서 운용되고 있거나 즉시 적용 가능한 RFID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의 프로그램은 의류, 반도체, 전자, 타이어 등 각 산업현장에서 RFID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 사례 중심으로 짜여졌다. 세부적으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RFID(광운대학교 하태준 교수), 패션의류분야 RFID 물류관리솔루션 소개(엠프론티어 강희석 부문장), 반도체산업의 RFID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 및 ROI 도출(한국에너지기술 임두빈 대표), 전자산업의 다양한 RFID 공장자동화 사례(세연테크놀로지 송관섭 이사), RFID를 활용한 타이어 생산관리(아시아나IDT 윤종섭 차장) 등의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세연테크놀로지 손영전 대표는 "올해 18회를 맞이하는 RFID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는 RF
[첨단 헬로티] 산업별 RFID 도입사례 발표를 통해 4차산업혁명 시대 RFID 역할 조망 RFID 전문기업인 세연테크놀로지(대표 손영전)가 오는 3월 29일(목) 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18 전시회 기간 부대행사로 제17회 RFID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세미나를 개최한다. 스마트제조(Smart Manufacturing)의 기반기술로써 RFID는 다양한 산업에 도입되면서 그 효용성이 증명되고 있다. 각 산업별 RFID 도입 사례의 효과를 종합해보면, 비용 절감과 함께 제조 단계를 크게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실시간 위치추적을 통한 재고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며, 위조방지와 대고객서비스 개선, 궁극적으로 매출 향상 등의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 올해로 17회를 맞는 이번 세미나는 각 산업별 RFID 도입 사례의 효과를 부각시키는데 중점을 뒀다. 먼저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권종원 박사가 RAIN을 중심으로 글로벌 RFID 적용사례를 발표한다. 이어 각 산업별로 RFID가 적용된 사례발표가 이어진다. 전자부품 제조분야에서는 에코트로닉스 임수동 연구소장이 'RFID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 및 ROI 도출'이라는 주제로 발표
[첨단 헬로티] 손영전 대표는 “릴 파인더는 부품관리에 키보드가 필요없이 BOM만 관리하면 생산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부품 릴을 찾는데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다. 중소기업 생산관리의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RFID 전문기업 ㈜세연테크놀로지(대표 손영전)가 실시간 릴관리시스템인 ‘릴 파인더(Reel Finder)’를 개발해 반도체 릴관리의 방향을 제시했다. ▲ RFID 기반 릴 파인더 캐비닛 RFID 기반의 ‘릴 파인더(Reel Finder)’는 다양한 크기 릴의 개별 적재가 가능하고, 적재된 릴에 각각의 LED 인디게이트를 적용했으며, 부품 릴에 부착된 RFID 태그가 선반에 탑재된 RFID 리더 안테나를 통해 실시간 인식되면서 재고 현황 및 위치 정보를 실시간 연동시킴으로써 부품 릴을 찾는 시간의 제로화가 가능하도록 구현됐다. 표준선반 1개당 최대 315개를 적재할 수 있는 실시간 릴관리시스템인 ‘릴 파인더(Reel Finder)’는 입출고 관리, 보유부품 잔량관리, 부유 자재 관리, 적정 자재 관리, 제품별 생산 가능 수량 관리 등의 세부 시스
[첨단 헬로티] 세연테크놀로지는 29일부터 31일까지 열리는 산업 자동화 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2017에 부스를 마련하고 RFID 리더 제품군들을 참관객들에게 선보였다. 세연테크놀로지는 LF에서 UHF 대역에 이르는 다양한 RFID 리더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소형 모바일 리더와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블루투스 리더까지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세연테크놀로지는 자체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최적화된 RFID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고정형, 이동형 리더는 공정관리에서부터 유통/물류, 농축산물 이력 관리, 첨단산업의 공장 자동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주)첨단, 코엑스,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공동 주최로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오토메이션 월드 2017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으로 구성된다. 올해는 스마트공장 관련 융합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마트공장엑스포 2017’도 동시 개최되며, 스마트공장 관련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컨퍼런스와 세미나도 준비되어 최신 기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황치
[헬로티] 인더스트리(Industry 4.0)의 일환으로 RFID는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인더스트리4.0의 빼놓을 수 없는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오늘날의 제조 응용 프로그램은 RFID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정교한 방식으로 사용하므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자동화 및 표준화가 가능해졌다. 그 결과 적은 비용으로 전반적인 효율성과 유연성이 향상됐다. RFID를 사용하면 데이터가 생산에서 소매까지의 자산이 된다. 제조업체는 RFID에서 생성된 '빅데이터' 및 RFID를 지원하는 새로운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팀은 실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JIT(just-in-time) 및 순차 공정(just-in-sequence) 생산 프로세스에 대한 변형을 관리하고 생산 관리, 프로세스 최적화 및 품질 관리에 대한 심층적인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빅데이터는 공급망을 통해 RFID 태그를 따라 이동하며 고객과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광범위한 정보에 즉시 액세스 할 수 있게 되면 제조업체와 브랜드는 완전히 새로운 방
오는 3월 9일 코엑스에서 글로벌 AIDC 솔루션 데이 개최 (주)첨단은 국내 대표적인 산업자동하 행사인 오토메이션월드 기간 3월 9일 코엑스 컨퍼런스룸(317호-318호)에서 '글로벌 AIDC 솔루션 데이'를 개최한다. 검증된 AIDC 솔루션(자동인식, RFID) 적용을 통한 국내 기업의 생산성 및 업무효율성 업그레이드 방안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세미나는 자동인식의 대표적인 솔루션인 바코드, RFID,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제조, 반도체, 의류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공유하고, AIDC 시장의 글로벌 트렌드 및 검증된 제품, 솔루션, 서비스를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주요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키노트 세션에서는 지브라테크놀로지스의 아태지역 기술부문 수석 책임자인 웨인 하퍼(Wayne Harper)가 참석해 '엔터프라이즈 자산 인텔리전스, AIDC와 IoT 진화'라는 제목으로 발표에 나선다. IoT와 새롭게 떠오르는 AIDC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엔터프라이즈 자산 인텔리전스를 소개할 예정이다. 두번째 키노트 발표자인 카이스트 김대영 교수는 'GS1 Innovation Newtworks - Extension of EPCglobal'을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