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자동화가 고도화될수록 생산 라인의 품질과 효율을 높이는 핵심 기술은 더욱 정밀하고 스마트해지고 있다. 특히 제조 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픽업 실패, 위치 오차, 부품 인식 오류는 생산성 저하와 품질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센서 및 비전 솔루션 전문 기업 센소파트(SensoPart)는 이러한 현장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사의 차세대 비전 센서 기술을 전면에 내세웠다. 글로벌 비전센서 선도기업 센소파트, 핵심무기는 VISOR® Robotic+Z 센소파트는 독일에 본사를 둔 글로벌 선도 제조업체로 광학 센서와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 혁신을 지속해왔다. 로봇 자동화에 필수적인 고정밀 비전 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자동차·배터리·물류·식품 등 다양한 산업군에 솔루션을 공급한다. 특히 VISOR® 시리즈는 로봇에 직접 장착 가능한 소형·경량 하우징과 직관적인 소프트웨어로 유명하다. 복잡한 캘리브레이션 없이도 로봇 좌표 매칭이 가능하며, 2D와 3D 작업 환경 모두에 대응한다. VISOR® Robotic+Z는 기존 2D 위치 인식 기술에 Z-축 인식 기능을 더해 부품이 다양한 높이와 방향으로 적재된 상황에서도 정확한 픽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디스태킹 공정에
전시회 부스에 머신비전시스템 알티유(RTU) 전시 비즈캠이 이달 16일부터 나흘간 부산 해운대구 소재 벡스코에서 개최하는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에 참가해 머신비전솔루션 알티유를 참관객에게 선보인다고 12일 전했다. 알티유는 OCR·스크래치·이물·미성형·수위 등 검사에 활용되는 솔루션이다. 특히 치수검사·1D/2D 코드리딩 작업은 검사영역 지정·선택·결과 세 가지 프로세스로 검사를 진행하는 특징이 있다. 검사물 이미지를 취득해 영역을 설정한다. 이후 검사유형을 선택하고, 테스트를 진행하면 검사 결과가 도출된다. 임호범 비즈캠 이사는 “비즈캠은 ‘Complexity To Simplicity’를 슬로건으로, 산업현장 작업자가 다루기 쉬운 비전시스템 구축을 지향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에 비즈캠이 참가하는 부산국제기계대전을 통해 부산·울산·경남 지역 파트너십 및 연계 관계가 구축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센소파트가 품질 관리를 위한 AI 기반의 비전 시스템을 출시했다. 센소파트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머신비전 및 광학 센서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AI를 통해 기존 비전 시스템이 마주했던 어려움과 문제점을 해결해준다. 인공지능 비전센서 ‘VISOR Object AI’ 인공지능 기술이 탑재된 VISOR Object AI는 대상물에 대한 구별되는 특징을 단 몇 개의 이미지만으로 학습이 가능하다. 5개의 샘플 이미지만으로도 충분하게 정확한 분류검사가 가능하며 간단한 설정으로 이미지 처리에 대한 전문지식 없이도 사용하기 쉽다. 대상물의 배치, 오염, 반사특성, 불규칙한 형상, 다양한 방향과 같은 여러 변수에도 강력한 검사력을 제공한다. 또한, 대상물에 대한 '합격', '불합격'을 평가하고 각기 다른 200개의 클래스로 분류한다. 대상물을 정확히 인식하고 적절한 클래스로 분류하여 균일한 품질 생산이 가능하도록 도모한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VISOR Object AI VISOR Object AI는 기존의 기술로는 해결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하며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에서 각 기종에 맞는 부품 구별이 가능하다. 나선형 스
협동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대표이사 박종훈)는 지난 20일부터 21일까지 실시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결과 ‘1,652.1: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공모가는 최상단인 16,900원으로 결정됐다. 뉴로메카의 총 공모주식 수는 1,500,000주(신주 100%)로 26일과 27일에는 일반 청약을 실시한다. 11월 4일 상장 예정인 뉴로메카는 이번 공모를 통해 약 254억 원을 조달할 예정이다. 상장 주관사는 대신증권이다. 협동로봇은 사람과 한 공간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개발됐다. 뉴로메카의 협동로봇인 ‘인디’는 혁신적인 충돌감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며 비전센서를 통한 작업 교시를 가능토록 한다. 실적 성장세도 가파르다. 지난 10년간 평균적으로 매년 60%씩 성장했다.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해 성장이 잠시 주춤했지만 2021년 최고 매출을 갱신하고, 올해 120억 이상의 매출이 예상된다. 핵심부품 내재화를 통한 원가절감 계획도 갖고 있다. 모터, 감속기 등 제품 기술 자체 개발을 통해 2025년까지 54%의 원가절감을 통한 이익 극대화를 이룰 전망이다.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이사는 “우리는 협동로봇 제조사에서 Ra
산업 자동화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9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 동안,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제약·바이오·건강기능 산업 전시회인 ‘CPhI Korea 2022’에 참가한다. 오토닉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제약·바이오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레이저 마킹기와 머신비전 제품을 출품하며 해당 산업에 필요한 최적의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오토닉스의 레이저 마킹기 제품군은 UV(3D/2D), IR Fiber(3D/2D), CO2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출력은 물론, 딥마킹 시 열 손상을 최소화하는 기술로 표면 질감과 관계없이 거의 모든 소재에 고품질 마킹을 실현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다양한 재질의 알약 및 패키징에 생산 날짜, 알약 명칭, 유효 기간 등과 같이 주요한 정보를 마킹하는데 적용할 수 있으며 시간당 최대 40~50만개의 물체에 고속 마킹이 가능해 제약 및 바이오산업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선보이는 머신비전 제품군은 스마트 카메라와 비전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머신비전 제품군은 산업용 카메라를 통해 검출 물체의 형태, 크기, 문자, 패턴 등을 판별 및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제약 산업 내 양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