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 성윤모 장관은 7일(화)부터 11일(금)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ICT 가전 전시회인 CES에 개막 첫날 참석했다. 성 장관은 이 전시회에서 국내 기업의 성과와 글로벌 기업의 혁신현장을 돌아보았다. ▲ 성윤모 산업부 장관이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CES에 참석해 국내 기업 성과물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 산업통상자원부> 이번 CES 2020에서는 ‘AI를 일상으로’라는 주제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기반이 되는 인공지능을 실생활에 접목한 제품과 서비스 등이 중점적으로 전시됐다. 올해 국내 기업은 AI, 5G, IoT,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역대 최대규모인 353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이 중에서도 150여 개의 스타트업이 참여해 혁신성과를 선보였다. 올해에는 1년 이내 출시된 혁신제품만 출품 가능한 ‘유레카전시관’에 국내 기업 180여 개사가 참여했다. 지난해보다 60% 이상 확대된 숫자다. 또한, 국내 중소‧벤처기업은 지난해보다 약 2배(15점 →29점) 가량 증가한 CES 혁신상을 수상해, 혁신을 향한 업계의 끊임없는 도전
[첨단 헬로티] LG전자가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호텔에서 글로벌 프레스 콘퍼런스를 열고 인공지능 전략을 소개했다. 행사에는 1천여 명의 국내외 기자들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LG전자 CTO 박일평 사장은 행사에서 “LG전자 인공지능 브랜드 씽큐(ThinQ)의 3가지 강점은 맞춤형 진화, 폭넓은 접점, 개방성”이라며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고객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스콧 허프만 ‘구글 어시스턴트’ 개발 총책임자도 참석해 인공지능 분야에서 LG전자와 구글이 협력하는 사례들에 대해 소개했다. 스콧 허프만은 “LG전자는 세탁기, 냉장고, TV 등 가전 분야에서 강력한 제품 경쟁력을 갖고 있는 회사”라며 “LG전자가 가진 다양한 제품들이 구글 어시스턴트와 만나 고객에게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구글 어시스턴트를 탑재한 ‘LG 씽큐 스피커’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LG전자와 구글의 협력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rdquo
로봇, IoT, 스마트카 등 新성장동력 아이템 총망라 전 세계 ICT인의 축제,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 박람회 CES 2016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1월 6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열렸다. 특히 올해 전시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 시장 선점을 위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했다. 매년 1월이면 전 세계 ICT 관계자들의 이목이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 전시 현장으로 쏠린다.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 박람회 CES 2016이 1월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됐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로봇 산업, IoT, TV, 그리고 스마트카 분야가 참관객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글로벌 최신 트렌드를 한눈에, ‘Keynote’ 매년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는 글로벌 트렌드를 제시해 ‘이슈메이커’ 역할을 톡톡히 하는 CES 기조연설(Keynote)에 삼성전자가 나섰다. 홍원표 삼성SDS 솔루션사업부문 사장은 1월 7일 목요일 오전 9시(현지시각) 베네시안 팔라조 볼룸(Venetian’s Palazzo Ballroom)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일상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분야의 가시적인 솔루션과
미국가전협회가 가상현실 산업의 빠른 성장을 반영해 CES 2016에서 게임 및 가상현실 마켓플레이스(Gaming & Virtual Reality Marketplace)를 확대하기로 했다. CEA가 소유하고 주관하는 CES는 소비자용 기술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세계 모든 기업체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로서 오는 2016년 1월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CEA의 조사 연구에 따르면 2016년에는 가상현실 헤드셋의 판매가 올해보다 500%나 급증하여 120만대가 판매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제품의 올해 말까지의 총 매출은 440% 증가한 5억 40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CES는 2016년에 처음으로 3000제곱 피트 넓이의 증강현실 마켓플레이스를 개설하여 새로운 것을 학습하고 경험하는 방식을 바꿔놓을 수 있는 와해성 신기술을 전시할 예정이다. 많은 전시 업체 중 특히 미국항공우주국을 위한 ASRC 페더럴(ASRC Federal for NASA), 막센트(Marxent) 및 옥시피털(Occipital) 등은 헤드셋, 스트럭처 센서,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한 최신 증강현실 기술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박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