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10일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고 국민의 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위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AI) 인재양성 방안(AI for All)’을 발표했다. 정부는 글로벌 기술 경쟁이 심화되는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 전반의 AI 활용 역량을 높이고, 인재 중심의 AI 국가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 현장 의견과 정책 연구를 반영한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방안은 교육 분야 국정과제인 ‘인공지능 디지털시대 미래인재 양성’을 실현하기 위한 후속 조치로, AI 3대 강국 실현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교육부는 이번 인재양성 방안의 두 가지 핵심 목표를 제시했다. 첫째, 국민 누구나 인공지능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전 생애에 걸친 보편적 인공지능 교육을 확대한다. 둘째, 인공지능 세계 3강 도약을 이끌 혁신인재·융합인재 등 다층적 인공지능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한다. 우선 초·중등 교육 단계부터 인공지능 기초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 지원을 강화하고, 인재 저변 확대를 통해 미래 인재 양성의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또한 지난 11월 7일 논의된 ‘과학기술인재 확보 전략’과 연계해 정부 차원의
주제 발표에 이어 국가AI위원회 민간 위원들이 참석한 패널 토의도 45분간 진행돼 어제와 오늘 양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4(SK AI Summit 2024)’가 연일 화제다. 이곳에서는 국가 AI 전략에 대해 정부와 산학연 AI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가 마련됐다. 우리나라의 AI 전략과 정책 방향, 국가 경쟁력 등을 짚어보는 ‘국가 AI 전략’ 세션이 5일인 오늘 ‘SK AI 서밋’ 메인 행사장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렸다. 국가 AI 전략 세션에서는 현재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인 염재호 태재대 총장이 ‘대한민국의 AI 전략과 정책 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염 총장은 우리나라 AI 역량과 잠재력을 전하는 한편, 향후 ‘AI G3’ 도약을 위해 정부와 기업·민간이 ‘원 팀’으로 결집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번 세션은 정부가 주도한 국가 AI 전략 논의를 기업·민간 수준에서 이어가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됐다. 정부는 앞서 지난 9월 26일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를 출범하고, 2027년까지 AI분야에서 미국·중국에 이은 3대 강국(G3)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국가 AI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것을 포함해
[첨단 헬로티] AI 반도체 핵심 기술 개발 투자 모든 직군에 걸친 AI교육 실시 AI 스타트업 지원 정부가 AI(인공지능)를 활용한 경제효과 455조를 창출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나선다. 정부는 지난 12월 17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 53회 국무회의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비롯한 전 부처가 참여해 마련한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10월 28일 문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대통령 인공지능 기본구상을 바탕으로, 경제·사회 전반의 혁신 프로젝트로 마련된 발표다. 또 지난 6월부터 학계·산업계 등 민간 전문가와 수차례 논의를 거쳤으며, 과기정통부를 비롯한 전 부처가 모두 참여해 이번 전략의 주요내용을 확정지었다. AI는 인지·학습·추론 기능 등을 통해 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범죄 대응·노인 돌봄·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을 가능케 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당면과제 해결에 유력한 방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AI 시대에 변혁의 당사자인 국민, AI 경쟁력 확보 주체인 기업, 미래 방향성을 제시할 학계 등 민간이 혁신을 주도하고, 정부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