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공작기계협회 통계를 조합한 가드너의 발표에 따르면, 2021년 세계 공작기계 시장은 코로나 변이바이러스 확산 지속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등에 의한 경기 회복과 기저효과 등으로 세계 공작기계 생산은 전년대비 1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드너에 따르면 생산면에서는 851억불로 전년대비 16.4% 증가했다. 상위 10개국 중 독일을 제외한 상위 9개국 모두 전년대비 6% 이상 증가했으며, 10개국의 순위는 전년과 비슷했다. 한국은 45억불로 전년대비 6.4% 증가했으며, 순위는 ‘20년과 동일한 6위로 나타났다. 수출은 424억불로 전년대비 16.3% 증가했다. 상위 3개국은 독일, 일본, 중국순이며 상위 10개국 모두 전년대비 증가했으며, 순위는 저년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22억불로 전년대비 15.7%로 증가했으며, 순위는 전년과 동일한 7위를 기록했다. 수입은 375억불로 전년대비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3개국은 중국, 미국, 독일 순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한국은 11억불로 증가했으며, 순위는 전년과 동일한 8위였다. 소비 부문에서는 803억불로 전년대비 11.9%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상위 3
[헬로티 = 김동원 기자] 포스트 코로나 이후 ‘그린뉴딜’이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가 결국은 기후변화, 환경파괴의 결과물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경제 도약과 일자리 창출, 환경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그린뉴딜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정부도 코로나 사태 이후 경제 도약을 위한 방안으로 ‘한국형 뉴딜’을 선언하며, 오는 2022년까지 76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그렇다면 정부의 한국형 뉴딜에 대해 해외에서는 어떤 평가를 하고 있을까? OECD, 그린 뉴딜로 한국 경제 활력 높일 수 있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한국형 그린뉴딜이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 활력을 높이고, 고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고 평가했다. OECD는 6월 10일, 한국 경제는 2차 확산이 없는 경우 –1.2%, 2차 확산 시 –2.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이 –7.3~-8.5%, 중국이 –2.6~-3.7%, EU가 –9.1~-11.5%, 일본이 올해 –6.0~-7.3%에 비하면 역성장이 낮은 편이다. OECD는 한국에 대해 ‘효율적인 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