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하반기부터 생산 박차...연간 2만7000톤 규모 독립형 탱크 생산 역량 확보할 듯 현대힘스가 전남 영암군 소재 대불국가산업단지(이하 대불산단)에 3만 평 규모의 독립형 탱크 공장을 배치한다. 독립형 탱크는 액화이산화탄소(LCO₂), 액화천연가스(LNG), 암모니아, 메탄올, 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를 저장·운송하는 데 활약한다. 특히 친환경 선박 트렌드가 전 세계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해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현대힘스 관계자는 “전 세계으로 확대되는 친환경 에너지 운송량 증가로 독립형 탱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라며 “친환경 에너지 생산 능력을 지속 확대해 해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힘스는 자회사 원하이테크를 통해 선박용 질소발생기 생산을 확대하고 본격적으로 친환경 사업에 뛰어들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현대힘스가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실적이 전년동기대비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든 부문에서 큰 폭의 성장을 이뤘다고 27일 밝혔다. 현대힘스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 551억 원, 영업이익 59억 원, 당기순이익 43억 원을 달성하며 각각 전년동기대비 37%, 79%, 87%의 높은 성장을 기록했다. 현대힘스 관계자는 “조선업 호황을 맞아 당사는 곡블록 분야 국내 1위 기업으로서 그 수혜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며 무엇보다 당사의 주요 고객사들의 수주 상황이 좋고 그에 대한 당사의 대응도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이번 매출 성장은 물론 수익 측면에서도 좋은 성과를 달성하게 되었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무엇보다 지속적인 원가절감과 캐파 확대 노력으로 앞으로도 조선업 슈퍼사이클에 가장 잘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이미 갖추고 있어 좋은 성과를 시장에 보여드릴 수 있으리라 자신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올해 초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현대힘스는 선박 내부재, 의장품 도장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기술력이 필요한 선박 곡블록에 특화된 조선기자재 전문 기업이다. 한국조선해양 산하의 글로벌 탑티어 조선사를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글로벌 탑티어 수준의
현대힘스 코스닥 상장 기자간담회 개최...주력사업·경쟁력·新청사진 등 다뤄 “현재 조선시장, 공급자 위주 시장으로 변모...” 글로벌 환경 규제 따른 선박 교체 근거 산소·질소 발생기 앞세워 글로벌 진출 의지 피력 글로벌 에너지 전환 트렌드에 따라 조선산업에도 변혁기가 도래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지난 2018년부터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내용은 2030년까지 선박 온실가스 총 배출량 20~30% 감축, 2040년까지 선박 온실가스 총 배출량 최소 70% 감축,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 등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에서 선박이 운반하는 에너지 연료와 더불어 선박이 소모하는 연료의 전환도 시작됐다.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기술이 각광받는 상황에서 여기에 활용되는 액화이산화탄소(LCO₂) 및 액화수소 운반선이 게임체인저로 주목받는다. 글로벌 조선·해운 시장조사기관 클락슨에 따르면 2030년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건조는 연간 200척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기술개발 중인 액화수소 운반선의 수요도 폭발할 전망이다. 아울러 추진선 측면에서
조선기자재 전문기업 현대힘스가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입성을 위한 절차에 본격 돌입한다고 밝혔다. 공모 내용을 살펴보면 현대힘스는 이번 상장을 통해 총 8,707,000주를 공모할 예정이며, 공모희망가 밴드는 5,000원~6,300원으로 총공모금액은 435~548억 원이다.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진행하는 수요예측은 내년 1월 8~12일로 5일 동안 진행되며, 같은 달 17~18일 일반투자자 청약을 거쳐 연초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조선업이 호황기에 접어들면서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누적 매출액은 1,343억 원, 영업이익 110억 원, 당기순이익 72억 원을 달성하며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상장 주관업무는 미래에셋증권이 맡았다. 2008년 6월 현대중공업의 현물출자로 설립된 현대힘스는 선박 블록, 선박 내부재, 의장품 도장 등 조선기자재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주요 매출처로는 HD현대 그룹 내의 HD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 등이 있으며, 조선 블록 사외제작사 중 국내 최대 생산능력(CAPA)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힘스는 이번 상장을 통해 확보되는 공모자금을 기반으로 시장 트렌드에 부합하는 미래 신성장 동력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으로,
선박기자재 전문기업 현대힘스가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승인에 따라 기업공개(IPO)를 본격화한다. 지난 8월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한 현대힘스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코스닥시장 상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상장예비심사 승인이 결정됐다고 17일 밝혔다. 2008년 설립된 현대힘스는 선박블록, 선박용 배관 및 의장재 도장, 형강 및 BLT 등 선박기자재 생산 전문기업이다. 각 사업의 전 과정을 원스톱 생산체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수주 확대에 따라 신규 설비투자와 기자재 생산능력의 확충을 이어가고 있다. 주요 매출처는 HD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이다. 현대힘스 관계자는 "당사는 선박 블록 및 기자재 분야 사외 제작 업체 중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조선업 시황 회복으로 고객사인 HD한국조선해양 3사의 수주 및 수주잔고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생산시설 확충을 이어가고 있다.”라며, “코스닥 상장은 현대힘스가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1,448억 원, 영업이익 38억 원, 당기순이익 44억 원을 달성했으며 올해부터 조선업 호황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