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서 97% 이상의 폐기물 재활용률을 달성한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 목표치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감축했다.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은 전년 대비 36% 늘렸다. LG전자는 30일 이 같은 성과를 담은 2024∼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LG전자가 지난해 배출한 직접 온실가스(스코프1)와 간접 온실가스(스코프2)는 91만t(tCO2eq·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이다. 이는 LG전자가 목표로 세운 2030년 배출량 87.8만t에 근접한 수치로, 2017년(193.3만t)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 감축했다. 앞서 LG전자는 2030년까지 2017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54.6%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생산 공정 내 에너지 고효율 설비 도입·재생 전력 전환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전환율은 14.4%를 달성했다. 작년 LG전자 7대 주요 제품 사용단계 탄소배출량은 지난 2020년 대비 19.4% 줄었다. LG전자 국내외 사업장 폐기물 재활용률은 지난해 97.4%로 2030년 목표(95%)를 초과 달성했다. LG전자가 지난해 56개국 91개 지역에서 회수한
한국마사회는 폐전자제품 자원순환체계를 구축해 8.6t의 순환자원 생산성과를 거뒀다고 지난 7일 밝혔다. 환경부가 인가한 비영리법인과의 협업을 통해 한국마사회는 그동안 폐기하던 전자제품을 재활용 처리함으로써 녹색경제 조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 해당 활동을 의무화해 9.3t의 폐전자제품 중 8.6t의 자원을 순환생산하고 22t (CO2-eq)에 달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노력과 성과는 온실가스감축인증서 및 순환자원생산확인서 등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고 한국마사회는 전했다. 또 자원순환 성과로 받은 총 500만 원(협약기관 최대 책정액)을 에너지취약계층 난방비로 기부해 연말 이웃사랑을 실천하기도 했다. 정부의 12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이자 지난 2015년 맺어진 파리협정의 핵심내용인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은 감소시키고 숲 복원 등을 통해 흡수량은 증가시켜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정부도 '2050 탄소중립 비전'을 선포하고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1.5℃ 이내로 억제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한국마사회 관계자는 "정부의 저탄소화 정책에 힘을 보태고자 폐전자제품의 불용시스
GS리테일이 매장에서 사용한 폐전자제품을 수거해 재활용하는 등 자원 선순환 구조 마련에 나선다. GS리테일은 지난 7일 수원에서 E-순환거버넌스, 한국환경공단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실천과 자원순행 동행'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양측은 이번 협약으로 ▲폐기 전자제품 회수·재활용 체계 확립 ▲유해물질의 안전한 처리와 친환경적 재활용 ▲자원 선순환 구조 시너지 창출 등 협력관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GS리테일은 1만6000여개 점포에서 사용해 폐기해야 하는 쇼케이스, 온장고, 전자레인지 등 전자제품을 E-순환거버넌스로 인계해 회수·재활용한다. GS리테일은 회수된 폐전자제품의 재활용량을 연간 86만5700kg가량으로 전망했다. 이를 탄소배출 저감효과로 산출하면 약 204만1967kg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다. 소나무 약 1만4600 그루 이상을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 한편, GS리테일은 '그린 라이프 투게더'(Green Life Together)라는 슬로건 아래 ESG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