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부터 순면적 1만㎡에서 탄화규소 반도체 제조 매진 보쉬가 미국 반도체 회사인 TSI반도체를 인수해 14억 유로를 탄화규소 반도체 제조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보쉬는 미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인근 로즈빌에 위치한 TSI 인수가격이 투자액에 포함됐다며, 연내 관련 경쟁당국의 허가를 받아 인수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쉬는 TSI 공장을 개조해 2026년부터는 순면적 1만㎡에서 탄화규소 반도체 제조에 매진할 계획이다. 설립된 지 40년이 된 TSI의 임직원은 250여명이며, 보쉬에 완전히 합병되게 된다. 보쉬는 이미 독일 드레스덴과 로이틀링엔에 반도체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보쉬는 역시 탄화규소 반도체를 제조하는 로이틀링엔 공장의 순면적을 3만5000㎡에서 4만4000㎡로 확장하고 있다. 보쉬는 지난해 2026년까지 유럽 내 반도체 사업에 3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탄화규소 반도체는 현재 자동차업계 안팎에서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이 반도체는 충전 시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하고, 실리콘 반도체와 비교했을 때 전기차의 도달거리를 6∼10% 확장한다는 게 업계의 추산이다. 보쉬에 따르면 탄화규소 반도체의 시
[헬로티]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모델인 ‘프리우스’ 모델은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를 적용하며 차량의 전력손실을 80% 줄이고 연비를 5% 이상 개선했다. 소재분야의 경쟁력이 제품경쟁력으로 직결된 사례다.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전기·전자분야에서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핵심소재인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기술이 국내에서도 꾸준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탄화규소(SiC) 단결정 성장방법에 관련된 출원 건수는 최근 10년간 총 117건이며, 2011년에 급격히 증가한 이후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06년 4건, 2007년 10건, 2008년 10건, 2009년 12건, 2010년 9건이 출원됐다. 2011년은 22건, 2012년 9건, 2013년 23건으로 두자릿수 이상 꾸준하게 출원되고 있다. 탄화규소(SiC) 단결정 성장방법 출원동향을 살펴보면, 승화법 59.0%(69건), 고온기상증착법 7.7%(9건), 용액성장법 33.3%(39건)로 나타나고 있으며, 상업화 초기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승화법이 과반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