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학교가 유망 바이오 스타트업과 대·중견기업을 연결하는 대규모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창업중심대학' 사업의 하나로 추진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에게 기술검증(PoC) 및 사업화 기회를 제공하고 대·중견기업에는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할 기회를 제공하는 상생 협력 모델로 주목된다. 충북대 창업지원단은 ‘2025 오픈넥서스 : Proof Ground’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업을 오는 9월 18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국내 바이오 산업을 대표하는 ▲셀트리온 ▲신신제약 ▲바이오톡스텍 ▲휴온스 등 총 4개 기업이 파트너로 참여한다. 모집 분야는 △바이오(신약 개발, 플랫폼 등) △디지털 헬스케어(의료기기, 진단 솔루션 등) △융합바이오(스마트셀, 인공지능 등)로 혁신 기술과 실행력을 보유한 7년 이내 창업기업이면 전국 어디서든 지원할 수 있다. 이번 프로그램의 핵심은 단순한 교류를 넘어 실질적인 사업 성과를 창출하는 데 있다. 참여 스타트업은 파트너 대·중견기업과의 프라이빗 1:1 밋업과 맞춤형 멘토링을 통해 사업 협력 기회를 모색하게 된다. 특히 우수기업으로 최종 선정된 10개사에는 기술검
연구실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기술 창업 촉진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 GIST, DGIST, UNIST, POSTECH)이 교육 중심, 연구 중심을 넘어 4차 산업혁명 및 일자리 창출을 선도하는 ‘창업중심대학’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도록 대학의 기술창업 역량을 대폭 강화한다. 미래부는 그간 ‘과기특성화대학 기술창업교육 강화사업’ 등을 통해 기술창업 교과목 개발, 모의 창업 프로그램 및 지역 네트워크 운영 등 대학의 창업 기반 조성에 주력해 왔으며, 올해부터는 대학별 기술창업교육센터를 중심으로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기술 창업 프로그램 신설 및 확대, 학사제도 개선 및 창업형 기숙사 등 인프라 구축을 포괄적으로 지원하여 대학의 ‘과학기술기반의 창업’을 활성화한다. 기술 창업 활성화 제도 마련 각 대학이 제시한 올해 사업계획서에 따르면, 모든 과기특성화대학은 학위논문을 창업 교과이수로 대체할 수 있는 KAIST의 K-Shool을 벤치마킹한 ‘창업 관련 전문석사과정(1년)’을 설치한다. 또한, 기존에는 창업하는 경우에만 인정되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