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넷전자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전시장에 등장했다. 현장에는 다양한 용도의 대만 소재 민웰(MEAN WELL)사 전원공급장치(SMPS) 기술이 한데 전시됐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에버넷전자는 민웰 공식 파트너로,, 국내 전 산업 분야에 민웰 전원공급장치를 공급하고 있다. 현재 산업자동화(FA), 통신, LED, 의료기기 등 영역에 토털 솔루션을
데이터 센터 및 AI 서버 운영자가 시스템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 줄이도록 지원 AI의 영향으로 전 세계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서버를 위한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이 중요하게 됐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AI 데이터 센터의 현재 및 미래의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전원공급장치(PSU) 로드맵을 발표했다. 인피니언은 전례 없이 높은 PSU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및 AI 서버 운영자가 시스템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도록 지원한다. 혁신적인 PSU는 전력 소비와 CO2 배출을 줄여 수명 기간 동안 운영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다. 이 PSU는 미래의 데이터 센터에 적합할 뿐 아니라, 서버의 기존 전원공급장치를 대체해서 효율을 높인다. 이미 출시된 3kW 및 3.3kW 출력의 PSU와 더불어, 새로운 8KW 및 12kW PSU는 AI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인피니언은 시스템 효율을 높이고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데이터 센터 운영자들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서버 및 데이터 센터 애플리케이션의 성장으로 전력 요구량이 증가하게 됐으며, 800W에서
피닉스컨택트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전원공급장치, 차단기 등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450여개 기업이 20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피닉스컨택트는 이번 전시회에서 전원 공급장치 TRIO3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전원공급장치와 전자식 차단기가 한 기계로 통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4채널의 경우 전격 10A, 8채널 20A를 지원한다. 우선 순위가 지정된 부하관리, 5초 동안 최대 150% 동적 부스트, 멀티컬러 LED 및 IO-Link 인터페이스 등이 특징이다. 차단기(전류급증 보호장치) 시리즈로는 CAPARO(캐퍼록)을 출시해 눈길을 모았다. 과전류 보호, 폭발 방지에 최적화된 차단기로 회전스위치를 통해 정격 전류를 읽고, 푸쉬-인 연결: 최대 4 또는 16 mm², I >80% 사전 경고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피닉스컨택트는 1923년 이래로 산업용 자동화 및
무어일렉트로닉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고효율의 신제품 Emparro20-Pro를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450여개 기업이 20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무어일렉트로닉의 대표적인 상품인 MICO PRO는 지능형 전자 회로 보호 시스템으로 부하 회로를 일관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번에 새로 출시된 Emparro20-Pro는 IO-Link 옵션을 통한 원격엑세스가 가능한 새로운 IP20 전원공급장치로, 도구 없이도 DIN 레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IO-Link 어댑터를 이용해 출력전압 설정, 일부기능 잠금, 원격으로 전원 공급 진단이 가능하다. 무어일렉트로닉은 자동화 솔루션의 개발, 제조 및 유통하는 기업으로 전원공급장치를 비롯해서 제어, 인터페이스, 연결기술 및 IO 시스템의 4가지 핵심라인으로 구성된 제품을 공급한다. 무어일렉트로닉의 대표적인 상품인 MICO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와이드 밴드갭(Wide-Bandgap) 기술로 전원공급장치 설계를 간소화해주는 차세대 통합 GaN(Gallium-Nitride) 브리지 디바이스인 MasterGaN1L 및 MasterGaN4L을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ST의 MasterGaN 제품군은 650V GaN HEMT(High Electron-Mobility Transistor)와 최적화된 게이트 드라이버, 시스템 보호 기능을 비롯해 시동 시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지원하는 통합 부트스트랩 다이오드를 모두 내장하고 있다. 최신 디바이스는 하프 브리지 구성으로 연결된 두 개의 GaN HEMT가 포함돼 있다. 이러한 배열은 능동 클램프 플라이백(Active-Clamp Flyback), 능동 클램프 포워드(Active-Clamp Forward), 공진 컨버터 토폴로지 기반의 스위치 모드 전원공급장치, 어댑터 및 충전기를 구현하는 데 적합하다. MasterGaN1L 및 MasterGaN4L은 각각 MasterGaN1 및 MasterGaN4 디바이스와 핀 호환된다. 이전 디바이스에 비해 새롭게 최적화된 턴온 지연을 갖춰 특히 공진 토폴로지의 경우 낮은 부하에서도 더 높
대표 제품군 단자대부터 인터페이스·오토메이션까지 제품군 확장해 전시회 참가 전원공급장치·ACR 등 전시 부스에 들고나와 전기전자 솔루션 업체 와고코리아가 제23회 국제 조선 및 해양산업전(International Marine, Shipbuilding, Offshore, Oil & Gas Exhibition 이하 KORMARINE 2023)에 참가해 기존 주력 제품군인 단자대를 비롯해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Unit)·ACR(Application-Based Controller Redundancy) 솔루션을 부스에 내놓고 참관객 이해를 도왔다. KORMARINE 2023은 10월 24일부터 10월 27일까지 나흘간 진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리드케이훼어스(Reed K. Fairs)·벡스코 등 기관이 올해 전시회 주최 및 주관을 맡았다. 이번 전시회는 전 세계 40개국 900여 개사가 1900여 부스 규모로 참가해 선박·조선·선박 운영 장비·선구 및 장비·원동기 및 추진장치·전기공학 및 전자 기술·연료 및 에너지·안전 및 보안
파워캅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다양한 전원공급장치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파워캅은 1996년에 스위칭 모드 파워서플라이 개발, 제조 전문 기업으로 설립됐다. 매년 50개 모델 이상의 신제품을 개발, 공급해 왔으며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은 AC-DC 컨버터와 DC-DC 컨버터의 표준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수많은 고객 맞춤형 제품을 고객의 요구 사양에 따라 개발, 공급하고 있다. 한편, AW 2023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으로 구성되며, 올해는 400개 사가 1700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디지털 제조 혁신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에버넷전자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민웰사의 전원공급장치 제품군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에버넷전자는 국내 최초로 다국적 기업인 민웰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전 산업분야로 민웰 SMPS를 공급하고 있다. 현재는 FA, 통신, LED 조명 산업분야뿐만 아니라 의료 기기 산업 분야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서 자체적으로 기술연구소를 운영하며 독보적인 기술 지원 역시 이뤄내고 있다. 에버넷전자는 창고 6동을 운영하며 민웰 SMPS 국내 최다 수량의 재고를 보유했고 구로, 안양, 대전, 대구, 부산 국내 주요도시에 직영지사를 설립해 국내 어느 곳에서도 공백 없이 에버넷전자의 기술 영업 컨설팅을 제공한다. 에버넷전자는 민웰의 전원공급장치(SMPS), 민웰 딘레일 전원
전원공급장치(SMPS)는 전자기기와 장비 등 에너지 공급에 근간이 되는 장치다. 최근 화두인 4차 산업·디지털 전환·산업 자동화 등에도 빠지지 않는 근본 기술이다. 송주일 (주)에버넷전자 이사는 3월 SF+AW 2023에 참가를 앞두고 전시회에서 신제품을 소개하는 데 매진할 것이라 설명했다. SF+AW 2023에서 새로운 기술을 선보일 송주일 이사를 만났다. Q. (주)에버넷전자(이하 에버넷) 주력 사업과 확장 사업은 어떤 것들이 있나. A. 에버넷은 국내 전 산업 분야에 전원공급장치(SMPS) 공급을 주력 사업으로 삼는다. 대만 민웰 사(社)에서 생산하는 산업용 전원공급장치를 국내 최초로 수입해 공급하는 공식 업체다. 현재 국내 전원공급장치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전원공급장치 제품 공급을 넘어 자체 기술연구소를 설립해 제품 AS 및 제품 기술 지원 서비스를 구현해 고객 서비스에도 사업을 확장, 지원하고 있다. Q. 지난해는 산업 전반으로 어려운 시기였다. 에버넷의 지난해 성과와 올해 계획이 뭔가? A. 에버넷은 지난해 적절한 재고 운영과 공격적인 영업으로 좋은 사업 성과를 달성했다. 납기 및 단가 상승으로 인한 재고와 물량 증가를 미리 예상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듀얼 채널 고속 디지털 절연기 제품군을 확장했다고 밝혔다. ST는 제품군은 설계자들이 보드 레이아웃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새로운 STISO620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 2개 채널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든 디지털 입력과 모든 디지털 출력은 절연막 양쪽으로 격리돼 있다. 이 디바이스는 각 방향으로 채널을 하나씩 제공하는 STISO621 및 STISO621W와 함께 ST의 디지털 절연기 제품군에 새롭게 추가됐다. 이 제품군은 두 개의 디지털 신호를 분리하고 유연한 방향성으로 절연막을 통해 디지털 통신을 전송해야 하는 많은 애플리케이션에 편리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모든 절연기는 견고한 갈바닉 절연을 보장하는 ST의 6kV 두꺼운 산화물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시스템 오류와 노후화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절연 무결성을 유지하도록 제작돼 산업용 및 컨슈머 애플리케이션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준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스마트 그리드 장비, 유틸리티 계량기, 모터 드라이브, 스마트 빌딩 및 조명 시스템, 가전 제품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장치, 인버터, 필드버스 절연기, 배터리
버티브가 고밀도 모듈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시스템의 신제품 'Liebert APM Plus'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버티브가 이번에 출시한 'Liebert APM Plus'는 Liebert® APM을 업그레이드한 모델로 별도의 트랜스포머 없이 이중 변환 모드로 작동한다. 텔레콤·하이퍼스케일·코로케이션 분야의 중·대규모 데이터센터용으로 적합하다. Liebert APM Plus의 폭은 600mm로, 기존 모델의 본체 폭에 비해 50% 더 가늘어졌다. 초고밀도의 전원 모듈을 사용해 풋프린트를 줄임으로써, 핵심 디지털 인프라 애플리케이션에 중단없이 전원을 공급하는 데 이상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이중 변환 모드 및 에코 모드로 최대 99%의 효율을 제공하며, 모델별로 50kW에서 500kW의 용량을 지원한다. 또한 대부분의 핵심 링크에 핫스왑 설계를 적용해 평균 수리 시간(Mean Time To Repair, 이하 MTTR)을 낮췄다. Liebert APM Plus의 자동 디레이팅(auto-derating) 기능은 최대 50°C의 환경에서까지 작동을 멈추지 않게 할 수 있다. 지능형 모니터링 옵션을 제공해 Vertiv™ Environet™ Alert 및
800V로 버스 전압 구를 옮기려는 개발 환경을 지원 코보는 온-저항 수치를 제공하는 차세대 1200V 실리콘 카바이드(SiC) FET 시리즈를 발표했다. 1200V Gen4 SiC FET의 새로운 UF4C/SC 시리즈는 800V 버스 구조의 전기차용 OBC, 산업용 배터리 충전기, 산업용 전원공급장치, DC/DC 태양광 인버터를 비롯해 용접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인덕션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코보의 아눕 발라(Anup Bhalla) 파워 디바이스 담당 수석 엔지니어는 "우리는 1200V까지 확장된 UnitedSiC의 차세대 고성능 Gen4 옵션을 통해 800V로 버스 전압 구조를 옮기려는 개발자에게 더 나은 지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기차에서는 이처럼 높은 전압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며, 네 가지의 서로 다른 RDS(on) 값을 가진 이러한 차세대 신제품들은 설계 시 개발자가 최적의 SiC를 선택하도록 도와준다"고 말했다. 23, 30, 53 및 70mΩ의 RDS(on) 값을 나타내는 모든 제품들은 업계 표준 TO-247-4L 패키지로 제공돼 보다 높은 성능 레벨에서도 저잡음의 스위칭을 제공한다. 53 및 70mΩ 제품의 경우
에버넷전자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에버넷전자는 이번 SF+AW 2022에서 민웰의 전원공급장치(SMPS) LRS 시리즈, NDR 시리즈, 의료용 NMP 시리즈를 전시할 예정이다. 에버넷전자는 국내 최초로 2001년 다국적 기업인 민웰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전 산업분야로 민웰 SMPS를 공급하고 있다. 현재는 FA, 통신, LED 조명 산업분야뿐만 아니라 의료 기기 산업 분야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서 자체적으로 기술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창고 6동을 운영하며 민웰 SMPS 국내 최다 수량의 재고를 보유했고 구로, 안양, 대전, 대구, 부산 국내 주요도시에 직영지사를 설립해 기술 영업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산업 전시회로,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Factory Exp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요약 이 글에서는 설계에 전원 공급장치의 적정 허용오차를 선택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특히 LTpowerCAD 저항 분배기 툴박스를 이용해 소자 허용오차를 사용하고 출력 전압에서 대응하는 오차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설계자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에 수용 가능한 허용오차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들어가며 전원 공급장치는 거의 모든 회로에서 볼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에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 FPGA 및 증폭기에 이르기까지 전원 공급장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 어디에나 항상 있는 핵심 부품이다. 다른 소자들과 마찬가지로 전원 공급장치는 다양한 형태와 유형으로 제공된다. 선형 레귤레이터 또는 스위칭 모드 레귤레이터와 같은 서로 다른 아키텍처는 저마다의 장단점을 갖고 있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하나의 아키텍처는 다른 아키텍처에 비해 더 적합하다. 이러한 모든 아키텍처에서 한 가지 공통분모는 출력이 외부 부품, 특히 피드백 저항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하면, 전원 공급장치를 필요한 규격에 맞춰 설계하고, 이를 만족하는 소자 값을 찾는다. 시뮬레이션 결과가 만족스럽게 보여도 실제 설정에는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산업용 결선 솔루션을 제공하는 바이드뮬러가 10월 19일부터 22일까지 나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조선해양 전시회인 ‘Kormarine 2021’에 참가한다(부스위치: 2H43). 신임 한국지사장 선임과 함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바이드뮬러코리아는 이번 Kormarine 전시회를 통해 조선해양 산업에 특화된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바이드뮬러의 u-remote는 고성능 자동화와 최적의 시스템 처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시장에서 사용이 용이한 I/O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또 서비스 및 유지 관리와 관련된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여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이드뮬러의 전원공급장치 제품군 중 PROtop 시리즈는 다이오드 모듈 없이 직접 병렬연결을 통해 콤팩트한 하우징이 가능하다. 또한, 비용을 절감하고 캐비닛에 여유 공간을 만들어내며, DCL 기술로 인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