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가 대구 수성구 범어동 옛 대구MBC 부지에 건설 중인 하이엔드 아파트 단지 ‘어나드 범어’에 전기차 화재 확산방지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는 최근 급증하는 전기차 보급과 함께 공동주택 내 화재 안전 문제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반영한 결정으로, 입주민 안전 확보를 위한 선제적 조치라는 평가다. 전기차화재대응시스템 전문기업 육송(대표 한정기)은 ‘어나드 범어’ 아파트에 자사 개발 시스템인 ‘전기차 화재 상방향직수자동화장치’ 46대를 설치하는 계약을 포스코이앤씨와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입주는 내년 2월로 예정돼 있다. 이번 설치는 지난 4월 서울 신반포21차 재건축 단지(신반포 오티에르)에 이어 두 번째 사례다. 특히 전기차 전용 지하주차장과 옥외 주차장 등 다양한 구조에 맞춘 맞춤형 시공이 가능해, 화재 발생 시 소방장비 진입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골든타임인 10분 내 진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어나드 범어는 지하 6층, 지상 33층 규모로 총 604세대로 구성되며, 전기차 화재 확산방지 시스템 외에도 고급 수입산 가구, 프리미엄 커뮤니티 공간 등 하이엔드 주거 요소를 갖춘 단지로 기획됐다. 특히 입주민 안전을 위한 첨단 시스템을 적용한 견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제도 정비와 인프라 구축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대기업들이 발 빠르게 관련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전기차 화재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실제 설치되고 운영에 들어가면서, 안전 인프라 확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전기차 화재 확산방지 시스템 및 소방용품 전문기업인 육송(대표 박세훈)은 2개월간의 시공을 마치고 최근 KT 광화문 WEST 빌딩 리모델링 현장 내 전기차 전용 주차장에 해당 시스템을 설치 완료했다고 밝혔다. 본격 운영에 앞서 지난 21일에는 서울시의원, KT, 현대건설, 소방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시스템 시연회가 진행됐다. 육송의 전기차 화재 확산방지 시스템은 불꽃감지기와 바닥 열감지기를 통해 화재 발생을 신속히 인지하고, 차량 하부 8개의 냉각 노즐과 측면 부채꼴 노즐에서 분당 240L의 물을 3kgf/cm² 이상의 압력으로 분사해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는 구조다. 화재 감지부터 경보 및 자동 밸브 개방, 노즐 방사까지 총 6단계에 걸쳐 2분 이내에 작동된다. 이 시스템은 소방청 국가 R&D 과제에 포함된 기술로, 육송의 자체 테스트와 국립소방연구원의 실증 실험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발화
육송이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8.3%가 아파트 전기차 화재 대응 시스템 설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 중 54.1%는 ‘꼭 필요하다’, 34.2%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육송이 온라인 오픈서베이를 통해 1314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응답자의 86.5%는 전기차 화재 사고에 대해 ‘불안하다’고 답해 높은 불안감을 나타냈다. 전기차 화재 시 대응 방안으로는 ‘열감지 및 배터리 열폭주 방지 자동화 시스템’ 구축이 69.8%로 가장 많이 선택됐다. 이어 ‘소방서의 빠른 출동 시스템’ 16%, ‘주차 구역 내 소화기 및 소화포 구비’ 14.2% 순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화재 예방 및 대응책 마련 수준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이뤄지는 편’ 54.6%, ‘매우 잘 진행되고 있는 편’ 15.8%로 응답해 긍정적인 인식이 다수였다. 그러나 ‘화재 대응 설비 구축 관련 법 제정 및 행정 지원’에 대해서는 ‘원만하지 않은 편’이 40.8%, ‘원만한 편’이 31.4%, ‘잘 모르겠다’가 27.8%로 조사됐다. 이에 육송은 자체 개발한 ‘전기차 화재 확산 지연 시스템’으로 대응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16개 센서가 화재를 감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