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설 로봇은 울산대학교를 공인인증 트레이닝 센터로 지정하고 현판식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울산대학교는 국내에서 열한 번째, 부산 울산 경남 지역 내 대학교로는 첫 번째 유니버설 로봇 공식인증 트레이닝 센터로 지정됐다. 이번 센터지정으로 유니버설 로봇은 울산대학교 학생 및 지역산업체 재직자에게 협동로봇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경남지역 로봇 인재 양성에 힘쓸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앞으로 유니버설 로봇 코리아는 울산대학교와의 산학협력관계를 통해 ▲학생의 취업 및 현장실습 ▲산학협동 교육프로그램 공동 개발 및 수행 ▲산학협동 공동연구과제 도출 및 수행 ▲학교 교육 참여 ▲산학협동 연구 및 교육 관련 인적교류 등에 뜻을 모은다. 협동로봇이 더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로봇 전문가 양성에 앞장서겠다는 취지다. 유니버설 로봇은 현재 전 세계 120개 트레이닝 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유니버설 로봇 공식인증 트레이닝 센터로 지정되려면 유니버설 로봇의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협동로봇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적합한 시설과 장비를 갖춰야 한다. 모든 공식인증 트레이닝 센터는 각 지역의 유니버설로봇 지사 및 파트너사들에 의해 운영되며, 로봇에 대한 경험이 없는 일반인
울산대학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과 함께 금속 용출 현상을 이용해 초고내구성 아연-공기 전지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울산대에 따르면 첨단소재공학부 정지원 교수 연구팀은 KAIST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정우철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고효율 수계 아연-공기 전지'를 개발했다. 이들은 용출 현상을 통해 고성능, 저가격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을 만들어 수계 아연-이온 전지에 활용했다. 기존 아연-공기 전지의 방전과 충전은 효율 향상을 위해 백금, 루테늄, 이리듐 산화물 등 비싼 귀금속 촉매를 활용할 수밖에 없어 가격이 높고 내구성이 낮아 활용이 크게 제한됐다. 특히 일반적인 금속 촉매 코팅법은 아연-공기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 구동에 따라 지지체로부터 쉽게 탈착돼 사용 기간이 지날수록 내구성과 촉매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추가적인 금속의 첨가 없이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내에 있는 금속 원소들을 용출시켜 표면에 단단히 결착시켰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용출 현상으로 표면에 부착된 금속 원소가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의 촉매 효율성을 높인다고 검증했다. 또 금속 합금-페로브스카이트 하이브리드 전극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울산대학교는 현대로보틱스와 '협동로봇' 분야 인력 공동 양성에 협력한다고 11월 8일 밝혔다. 울산대 스마트기술혁신센터와 현대로보틱스는 지난 9월 로봇 분야 공동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 협력을 위한 협약 체결에 이어 실습 시설 구축과 교과목 개발에 나섰다. 울산대는 산학협동관에 마련된 실습 공간에 스마트팩토리 생산 공정 자동화의 핵심 기술인 협동로봇 4대를 도입한다. 또 내년 학기 산업 현장 수요에 기반한 본격적인 로봇 교육을 앞두고 이번 학기에는 'iF-PBL(interactive Field & Project Based Learning) 로봇공학' 교과목을 시범 개설했다. 이는 산업 현장-프로젝트 기반 교육으로, 학생들이 전공과 관련한 문제를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창의적으로 해결하면서 실무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혁신 교수법이라고 울산대는 설명했다. 울산대는 현대로보틱스와 함께 취업을 연계한 현장 맞춤형 수준별 로봇제어 실무 교육 과정도 운영한다. 관련 전공은 기계공학부, IT융합학부, 전기공학부 외공학전공 등이며 기업 전문가들이 멘토로 참여한다. 조동식 울산대 스마트기술혁신센터장은 "내년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 협동로봇으로
[헬로티] 울산대 진정호 교수팀 연구, 라면봉지 등 합성 플라스틱 필름 포장재 대체 합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드는 라면 봉지 등 식품 포장재를 대체할 수 있는 생분해 투명 필름이 개발됐다. 울산대학교는 첨단소재공학부 진정호 교수 연구팀이 목재 펄프에서 얻은 천연 고분자 셀룰로스를 이용해 물에 잘 젖지 않으면서도 생분해가 가능한 식품 포장용 투명 필름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라면 포장재는 외부 산소나 수분 침투에 의한 식품 산패를 방지하기 위해 합성 플라스틱 필름에 알루미늄 금속박막을 덧씌운다. 이로 인해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소각 과정에서 미세먼지와 유독가스 등 유해 물질이 발생한다. 이에 합성 플라스틱 포장재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나노셀룰로스를 활용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나노셀룰로스는 소재 자체의 높은 친수성으로 인한 코팅 안정성 문제와 코팅의 형태로 제작할 시 여전히 합성 플라스틱을 사용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수중대향충돌 방식으로 나노셀룰로스를 대량 제조해 투명 필름을 제작했다. 수중대향충돌 방식이란 셀룰로스 등 섬유성 천연 고분자의 나노 섬유화를 위한 물리적인 충돌 방식이다. 서로 마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