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비드(Zivid)가 디팔레타이징(depaletizing)과 빈피킹(bin-picking)에 적합한 지비드 3D 카메라 신제품을 소개한다. 지비드는 이달 25일 웨비나를 열고 창고 및 제조 현장의 자동화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차세대 3D 비전 솔루션 'Zivid 3'를 소개한다고 밝혔다. 지비드에 따르면 Zivid 3는 최대 4.5미터 거리에서도 한 번의 캡처로 고정밀 2D+3D 데이터를 제공하며, 강한 주변광 환경에서도 일정하고 정확한 컬러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는 제품이다. 디팔레타이징, 트럭 하역, 빈피킹뿐 아니라 혼합 SKU 팔레트, 투명 랩 및 테이프로 포장된 팔레트와 물품, 불규칙하게 적재된 팔레트, 온도 및 주변광이 변화하는 공장 환경, 제한된 작업 시간 등 다양하고 복잡한 로봇 작업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라는 설명이다. 웨비나에서는 지비드 조경제 차장이 물류 자동화 분야와 제조 자동화 분야에서 각각 응용 중점 사항과 포인트 클라우드 예시, 고객 적용 사례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달 출시된 Zivid 3가 어떻게 공장 자동화의 까다로운 과제를 해결하는지, 실제 고객 사례와 데모 영상 등이 공개될 예정이다. 웨비나는 오는 11월 25일 오후
지비드(Zivid)가 디팔레타이징(depaletizing)과 빈피킹(bin-picking)에 적합한 지비드 3D 카메라 신제품을 소개한다. 지비드는 이달 25일 웨비나를 열고 창고 및 제조 현장의 자동화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차세대 3D 비전 솔루션 'Zivid 3'를 소개한다고 밝혔다. 지비드에 따르면 Zivid 3는 최대 4.5미터 거리에서도 한 번의 캡처로 고정밀 2D+3D 데이터를 제공하며, 강한 주변광 환경에서도 일정하고 정확한 컬러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는 제품이다. 디팔레타이징, 트럭 하역, 빈피킹뿐 아니라 혼합 SKU 팔레트, 투명 랩 및 테이프로 포장된 팔레트와 물품, 불규칙하게 적재된 팔레트, 온도 및 주변광이 변화하는 공장 환경, 제한된 작업 시간 등 다양하고 복잡한 로봇 작업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라는 설명이다. 웨비나에서는 지비드 조경제 차장이 물류 자동화 분야와 제조 자동화 분야에서 각각 응용 중점 사항과 포인트 클라우드 예시, 고객 적용 사례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달 출시된 Zivid 3가 어떻게 공장 자동화의 까다로운 과제를 해결하는지, 실제 고객 사례와 데모 영상 등이 공개될 예정이다. 웨비나는 오는 11월 25일 오후
지비드(Zivid)가 창고 및 제조 자동화를 위한 신제품 3D 카메라 ‘Zivid 3 XL250’을 출시했다. 이번 제품은 디팔레타이징(depaletizing)과 대형 빈 피킹(bin-picking) 작업에 최적화된 장거리 3D 비전 솔루션으로, 지비드의 기존 2+ R 시리즈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고정밀·고속 모델이다. Zivid 3 XL250은 최대 2.5미터 높이의 혼합 SKU 팔레트를 500밀리초 이내에 정밀하게 캡처할 수 있으며, 1.5~4.5미터의 작동 거리와 2.5m²의 시야(Field of View)를 지원한다. 전 세계 표준 팔레트 크기에 맞춘 설계로, 창고와 제조 현장에서의 하역 및 물류 자동화에 적합하다. 이 제품은 청색(blue) 레이저 광원과 고급 주변광 억제 기술을 탑재해 온도 변화가 심한 환경이나 자연광이 존재하는 하역 구역에서도 안정적인 이미징 성능을 유지한다. 또한 공장 출하 전 보정 및 내구성 테스트를 거쳐 급격한 환경 변화에도 일관된 정밀도를 보장한다. Zivid 3 XL250은 긴 작동 거리와 넓은 시야각, 서브밀리미터 수준의 정밀도를 결합해 로봇 디팔레타이징 및 대형 빈 피킹 작업에 적합하다. 검은색, 반짝이는 표면, 투명한
‘최대 작업 범위 1750mm’ 신형 협동 로봇 ‘UR8 Long’ 공개...오는 10월 출하 예정 용접, 빈피킹 등 작업 효율 극대화 노린다...“기존 대비 30% 빠른 사이클 타임 달성” 유니버설로봇이 작업 반경(Reach)을 확장한 새로운 협동 로봇(코봇) ‘UR8 Long’을 론칭했다. 이번 최신 코봇은 가반하중 8kg, 최대 작업 범위 1750mm로 설계된 점이 특징이다. 기존 UR20과 최대 작업 범위가 같으면서도 가반하중·무게는 낮은 소형·경량화 모델이다. 특히 무게가 UR20 대비 30% 가볍다. 이 제품은 이달 9일(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리는 ‘북미 국제가공용접전시회(FABTECH 2025)’에서 첫 등장한다. 또 같은 달 16일(현지시간)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엿새간 개막하는 용접·절단 관련 무역 박람회 ‘슈바이 센 & 슈나이 덴(SCHWEISSEN & SCHNEIDEN 2025)’에도 출격한다. 이처럼 금속 가공 및 용접 전문 박람회에 연이어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이 제품이 용접 공정에 이상적으로 설계되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행보로 풀이된다. 견고하고 컴팩트한 UR8 Long은 안정성·정밀성을
美 자동화 전시회 ‘오토메이트’, 국제 로봇 학술대회 ‘ICRA’ 잇따라 참가 로봇 그리퍼 기술력 선봬 “美 파트너와 긍정적 시너지 기대” 테솔로가 5월을 기점으로 미국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테솔로는 북미 산업·공장 자동화(FA) 전시회 ‘오토메이트 2025(Automate 2025)’와 국제 로봇 학술대회 ‘ICRA 2025(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2025)’에 연이어 참가했다. 양 행사에서 자사의 로봇 그리퍼 기술력을 과시했다. 오토메이트 2025는 지난 12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디트로이트 헌팅턴 플레이스에서 열렸다. 매년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800개 이상의 FA 및 로봇 솔루션 업체가 참여한다. 이 자리에서 FA, 로봇, 모션 제어 등 자동화 산업을 대표하는 최신 기술과 솔루션이 차세대 트렌드를 제시했다. 이어 이달 19일(현지시간) 미국 애틀란타 소재 조지아 월드 콩그레스 센터에서 열린 ICRA 2025는 로봇 공학 분야에서 권위 있고 규모가 큰 국제 학술대회 중 하나다. 연구원·학생·파트너 등 전 세계 로봇 공학 이해
‘오토메이트 2025’서 첫 공개...최대 가반하중 15kg 갖춰 폴리스코프 5·X, 엔비디아 아이작 쿠다 등 소프트웨어 연동 통해 성능·개발 역량 ↑ “고도화된 협업 솔루션 제공...솔루션 개발 지원 가속화할 것” 유니버설로봇(Universal Robots)이 이달 12일(현지시간) 개막한 ‘오토메이트 2025(AUTOMATE 2025)’에서 최신 협동로봇(코봇) ‘UR15’를 공개했다. 오토메이트 2025는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글로벌 자동화 산업 박람회다. 산업·공장 자동화(FA), 로보틱스, 머신비전, 인공지능(AI), 모션 제어 등 다양한 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이번에 발표된 UR15는 개선된 모션 성능과 최대 5m/s의 TCP(Tool Center Point) 속도를 갖춘 최신 모델이다. 특히 앞선 TCP 속도는 코봇 중 가장 빠른 수준이다. 유니버설로봇 측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산업 분야에서 비용 및 공정 시간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제고하는 데 특화된 코봇이라고 소개했다. 연이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가운데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는 타 협동로봇 대비 공정 주기 시간이 최대 30% 개선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신모델
성주월항농협산지유통센터와 협력해 개념 증명(PoC) 실시 AI 영상인식 모델 기반 비정형 객체 인식 기술력 검증해 시선AI 로봇 부문 자회사 유온로보티스가 인공지능(AI) 로봇 기반 자동 포장 시스템 상용화에 앞서, 성주월항농협산지유통센터와 개념 증명(PoC)을 진행한다. 유온로보틱스는 성주월항농협산지유통센터 포장 공정에 자체 개발 AI 로봇 자동 포장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비정형 객체를 처리하는 AI 물류 로봇이 묶음 포장된 참외의 후속 포장 공정을 수행한다. 유온로보틱스는 기술의 효용성과 사업성을 입증하고, 비정형 물체를 다루는 물류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AI 물류 로봇은 시선AI의 AI 영상인식 기술이 이식돼 피킹(Picking)·빈피킹(Bin Picking) 자동화 솔루션이다. 비정형 객체에 대한 정확한 인식 기술과 정밀한 로봇 제어 기술이 적용됐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진 각각의 객체를 인식·분석하고 방향, 꼭지점, 중심점 등을 파악한 후 정확한 흡착 지점을 판단해 해당 객체를 다룬다. 기존 기계적 자동화 설비는 작업장 내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이를 위해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시간·비용이 소
스마트 제조의 혁신적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3D 로봇 비전이 ‘2025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픽잇코리아의 발표를 통해 구체화될 전망이다. 픽잇코리아의 박찬웅 매니저는 이번 발표에서 픽잇의 최신 3D 로봇 비전 솔루션과 이를 활용한 자율 제조의 미래를 조망하며 제조업 자동화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픽잇코리아는 별도의 복잡한 코딩 없이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3D 비전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신규 출시된 픽잇 2세대 카메라는 향상된 해상도와 넓어진 시야각을 바탕으로 투명하거나 반사되는 물체도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세미나에서 소개될 3D 로봇 비전의 주요 응용 분야는 크게 빈 피킹(Bin Picking)과 로봇 가이던스(Robot Guidance)다. 빈 피킹은 무작위로 적재된 부품을 정확히 인식하고 자동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로봇 가이던스는 크고 무거운 부품의 위치와 자세를 자동으로 보정해 조립 및 검사 공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스마트 제조의 혁신적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3D 로봇 비전이 ‘2025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픽잇코리아의 발표를 통해 구체화될 전망이다. 픽잇코리아의 박찬웅 매니저는 이번 발표에서 픽잇의 최신 3D 로봇 비전 솔루션과 이를 활용한 자율 제조의 미래를 조망하며 제조업 자동화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픽잇코리아는 별도의 복잡한 코딩 없이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3D 비전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신규 출시된 픽잇 2세대 카메라는 향상된 해상도와 넓어진 시야각을 바탕으로 투명하거나 반사되는 물체도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세미나에서 소개될 3D 로봇 비전의 주요 응용 분야는 크게 빈 피킹(Bin Picking)과 로봇 가이던스(Robot Guidance)다. 빈 피킹은 무작위로 적재된 부품을 정확히 인식하고 자동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로봇 가이던스는 크고 무거운 부품의 위치와 자세를 자동으로 보정해 조립 및 검사 공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일본 니콘(Nikon)은 올 3분기에 산업용 로봇 비전 시스템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7월 4일부터 6일까지 열리는 로봇 테크놀로지 재팬 박람회에서 이 제품의 데모 버전을 공개할 계획이다. 니콘에 따르면, 이 제품은 빈 피킹이나 움직이는 공작물의 조립 작업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되었다. 니콘은 자사의 비전 시스템이 작거나 검은색 또는 광택이 있는 공작물을 인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시스템에는 2D 및 3D 카메라, 비전 컨트롤러,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이 장착되어 있다. 니콘은 비전 시스템이 공작물의 위치나 방향의 갑작스러운 변화를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시스템은 200fps의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니콘에서 테스트하는 동안 이 시스템은 픽업할 부품의 측정부터 로봇 팔의 움직임까지 2초의 작동 시간을 달성했다. 비전 시스템은 다양한 제조업체의 로봇 팔을 수용할 수 있으며 로봇 팔 끝에 부착할 수 있다. 니콘 로봇 비전 클라우드를 사용하면 공작물 변경 및 오류 로그 관리와 같은 오프라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소프트웨어는 수많은 로봇 비전 시스템을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헬로티 김
산업에서 활용되는 산업용 로봇과 협동로봇은 도입비용뿐만 아니라 유지비용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로봇과 인공지능(AI)의 융합이 새로운 해결책으로 등장했다. 로봇을 현장에 도입했음에도 제대로 된 가치 발현이 안 되거나, 로봇 자체에 대한 변수 그리고 로봇을 공정에 활용하는 데 발생한 이슈 등에는 필연적으로 사람이 관여해야 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봇과 AI의 결합이 해결책으로 제시됐다. 로봇 AI 스타트업 플라잎이 제안하는 AI 로봇 솔루션을 소개한다. 현재 부상하는 ‘혁신기술’ 가운데 로봇은 그중에서도 핵심으로 평가받는다. 바야흐로 ‘로봇의 시대’가 개막한 것인데, 로봇은 산업 자동화 분야의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하는 중이다. 최근에는 제조·물류 현장과 더불어 서비스 영역까지도 로봇의 영향력이 미치고 있다. 그러나 단순 조립 공정부터 물품 분류, 서비스 제공 등에서 로봇의 적용은 아직 기술적 한계가 따른다. 아울러 로봇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도 자원 및 인력이 뒤따른다. 예를 들어 환경, 생산 제품 등에 변수가 생겼을 때 앞선 요소는 더욱 요구된다. 사람을 대체하겠다는 포부로 등장한 로봇의 궁극적 목적에는 완벽히 다다르지 못한 양상이다.
산업지식인에서는 실무자의 질문을 전문가가 자세하게 답변하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각 주제별로 진행된 MTV 웨비나에서 발표자와 질문자가 주고받았던 질의응답을 한 데 모았습니다. 비교적 보수적이라고 알려진 제조 산업에는 현재 새로운 혁신 기술이 속속 도입되고 있습니다. 특히 로봇 자동화 공정 및 애플리케이션, 빈피킹(Bin-picking), 디팔레타이징(Depalletizing), 로봇 가이던스(Robot Guidance), 샌딩((Sanding), 폴리싱(Polishing), 용접(Welding), 볼트 및 스크류 체결(Bolting·Screw Driving) 등 공정에서의 변화가 눈에 띕니다. 그 과정에서 로봇의 눈 역할을 하는 비전 기술이 발 빠르게 적용되고 있는데요, 이는 로봇만으로는 해결하지 못하는 공정 과정에 대한 솔루션으로 평가받습니다. 여기에 픽잇(Pick-it)은 로봇·3D 비전·3D 카메라·캘리브레이션을 융합한 ‘3D 로봇 비전’ 솔루션을 산업에 제시합니다. ‘제조 기술 혁신을 위한 3D 로봇 비전 솔루션 플랫폼 픽잇’ 웨비나에서는 3D 로봇 비전을 소개했습니다. 이번 산업지식인은 이에 대한 궁금증과 답변을 선별했습니다. Q & A Q.
혁신 DNA로 사업 경쟁력 강화…성장세 이어나간다 두산로보틱스가 혁신 DNA를 바탕으로 연구개발(R&D), 생산,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두산로보틱스는 경기도 수원시 생산공장에서 신규 협동로봇 솔루션을 대거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한 신규 솔루션은 ▲단체급식 솔루션 ▲복강경 수술보조 솔루션 ▲공항 수하물 처리 솔루션 ▲레이저용접 솔루션 ▲빈피킹(Bin-picking) 솔루션 등이다. 단체급식 솔루션은 지난 11월, 국내 최초로 서울시 한 중학교 급식실에 도입됐으며, 4대의 협동로봇이 국·탕, 볶음, 튀김 등 대규모 조리작업을 수행한다. 복강경 수술보조 솔루션은 협동로봇에 내시경 카메라를 탑재하고 몸 안에서 움직이는 작업을 해야 하는 만큼 정교한 움직임이 필요하다. 이 솔루션은 3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조이스틱을 이용해 별도로 원격 통제가 가능하다. 공항 수하물 처리 솔루션은 덴마크 코봇 리프트(Cobot Lift)社와 협업해 만든 것으로, 공항에서 수하물을 옮길 때 활용된다. 최대 25kg의 사물을 들 수 있는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H시리즈는 코봇 리프트의 기술을 활용해 최대 70kg의 물건을 들어 올
산업 내 기술 영역이 강조되면서 기술 고도화 구축이 기업 경쟁력 핵심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술을 활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성능·편의·효율 등 요소가 적절히 갖춰진 제품을 잘 선택하는 것도 구매자의 덕목으로 평가받는다. 시장은 갈수록 눈이 높아지는 고객 니즈에 초점을 맞춰 기술 고도화를 진행 중이다. 특히 첨단 기술 분야에서 이 현상이 두드러지는데, 측정·검사는 정밀하고, 민감한 기술을 요구하는 영역의 대표주자다. 여기에 측정·검사 영역은 4차 산업혁명 트렌드에 중심에 있는 ‘자동화’ 요소와 맞물려 기술 경쟁 돌풍의 중심에 서있다. 특히 센서 시장은 승자독식 구조로 평가될 만큼 경쟁 포화 상태인데, 1조 개 센서가 전 세계에서 활약하는 트릴리온(Trilion) 센서시대가 도래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 배경에서 스포스는 스마트 팩토리 내 3D 검사 영역을 담당하는 센서 솔루션 업체다. 국내 여러 센서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고성능 센서를 향한 협력체를 구성했다. 스포스가 집중하는 주력 솔루션은 고정밀 3D 현미경, 구조광 3D 카메라 등 광학 기반 제품부터 스캐너·디지털 게이지·리니어 엔코더까지 다양한 기술이다. 백인창 스포스 대표이사는
HD현대로보틱스가 협동로봇 시연 모습을 담은 공간을 전시부스에 마련해 2023 로보월드에 방문한 참관객에게 소개했다. 2023 로보월드가 이달 11일부터 나흘간 일산 고양시 킨텍스에서 18회차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KAR)·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등 관계기관이 주관하는 로봇 산업 전시회로, 820부스 규모 30개국 241개사 업체가 참가해 4만여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HD현대로보틱스는 ‘로봇과 함께 풍요로운 삶을’의 문구를 앞세워 산업용로봇, 서비스 로봇, 로봇 관리 시스템(Hi-RMS), 스마트 팩토리 등 자동화 솔루션을 산업에 제공하는 기업이다. 현재 로봇 및 공장자동화, 엔지니어링, 설치 및 시운전, A/S 등 분야에 걸쳐 산업에 기여 중이다. HD현대로보틱스가 이번 전시회 부스에 내놓은 협동로봇 솔루션은 디버깅 공정에서 활용되는 ‘HH020’, 자동차 차체 용접 및 알루미늄 스폿 등 공정에서 활약하는 ‘HS220’, 빈피킹 특화 로봇 ‘HH7’이다. HD현대로보틱스 관계자는 비전 연동을 통해 티칭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고 빈피킹 공정을 수행하는 HH7 모델을 강조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