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전국적으로 촘촘히 구축한 물류 네트워크를 활용해 택배박스를 새로운 광고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본격화한다. 특히 청소년 흡연예방 캠페인 ‘노담소셜클럽’을 첫 사례로 택배박스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와 브랜드 홍보를 동시에 실현하는 모델을 선보였다. CJ대한통운은 29일 자사 풀필먼트센터에서 출고되는 상품 박스에 흡연예방 공익광고를 인쇄해 전국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광고는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2020년부터 진행 중인 ‘노담(NO 담배)’ 캠페인의 일환으로, 청소년과 청년 세대에게 금연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택배박스에는 금연을 독려하는 문구와 함께 전문가 1:1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금연상담전화 안내도 포함돼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도모했다. CJ대한통운은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택배박스 광고를 지자체, 공공기관 등 공익 목적의 B2G(정부·공공) 분야로 확대하고, 향후 물류 고객사와 협력한 B2B 상업광고로 확장해 ‘생활물류 네트워크 기반 광고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전국적으로 매일 수백만 개가 소비자 가정에 직접 전달되는 택배박스의 특성을 감안하면 노출 빈도와 도달력이 높은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 일부 완성해 Z세대의 높은 참여율 끌어내 AI 음원 생성 기술이 브랜드 마케팅과 결합하며 소비자 참여형 콘텐츠의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포자랩스는 최근 굽네치킨을 운영하는 지앤푸드와 함께 ‘굽네 장각구이 AI CM송 콘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콘테스트는 굽네의 신제품 ‘장각구이’ 출시를 기념해 약 3주간 진행됐다. 소비자는 EDM, K-POP, 락, 발라드, 힙합 등 다섯 가지 장르 중 하나를 고른 뒤, 28자 이내의 짧은 가사를 입력하면 AI가 이를 바탕으로 브랜드 모델 추성훈의 음성이 더해진 CM송을 자동 생성하는 방식이었다.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 일부를 완성할 수 있는 구조 덕분에 Z세대의 높은 참여율을 이끌어냈다. 콘텐츠 제작과 공유에 익숙한 젊은 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이번 이벤트는 신제품 출시와 동시에 주목도를 끌어올리는 데 효과를 발휘했다. 단순한 홍보를 넘어 소비자가 브랜드 메시지를 자신의 언어로 재해석하고 표현하는 새로운 마케팅 방식으로 주목받았으며, 캠페인 종료 이후에도 다양한 온라인 채널에서 생성된 CM송이 자발적으로 확산되며 추가적인 브랜드 인지도를 형성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기술은 포자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