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뿌리 산업부터 차세대 산업까지 포괄하는 넷제로·지속가능성·ESG 인사이트 제시 무탄소에너지관·미래모빌리티관·미래에너지관·기상기후산업관·환경에너지관 등 테마별 구역 세분화 탄소중립 세미나,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세미나, 글로벌 탄소중립 기술 컨퍼런스, 서밋 컨퍼런스 등 부대행사도 기획돼 인류는 성장과 발전에 초점을 맞춘 산업혁명을 수차례 거치면서 새로운 혁신 가치를 지속 창출했다. 그와 동시에 급속도로 변화하는 기후와 환경적 위기를 경험했다. 인간 삶을 윤택하게 하기 위해 선택한 성장 방향성이었지만, 일상을 위협하는 요소를 함께 낳은 것이다. 그 중심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가 있다. 전 세계는 기록적인 이상기후로 온실가스 줄이기에 돌입하기 시작했다. 지난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가 그 시발점이었다. 전 세계 195개국은 이 자리에서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을 채택했다. ‘온실가스로 급상승하는 지구 온도를 오는 2100년까지 2° 안으로 상승폭을 줄이겠다’는 것과 ‘선진국만을 대상으로 한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전 세계로 확대하겠다’는 탄소저감 로드맵이 주요 골자다. 이어 유럽
5월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주요기업 참석해 무탄소에너지 인증체계 검토 포스코가 5월 17일 무탄소에너지(Carbon Free Energy, CFE) 정책포럼에서 무탄소에너지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포럼에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 이희근 포스코 안전환경본부장 등 유관기관, 기업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세계적인 트렌드로 꼽히는 RE100(Renewable Energy 100)이 국내 기업들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을 고려해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수소, 원자력 등 무탄소 에너지 활용을 확대하고자 이날 포럼을 마련했다. 우리나라는 일조량과 바람이 부족하고 유럽, 북미와 달리 좁은 영토로 재생에너지 수급이 어렵고 발전비용도 높다. 특히, 민간 주도의 글로벌 캠페인인 RE100으로 국내 기업들의 경영 부담이 커지고 글로벌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RE100이 국제적인 무역장벽으로 작용하는 문제도 있었다. 포스코는 산업통상자원부 등 유관기관과 협업해 청정수소, 원자력 등 다른 무탄소 에너지원을 사용할 수 있는 인증체계를 수립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매월 열리는 정책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