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각·원형, 단축·다중축 등으로 기능 세분화된 모터 드라이브 총공세 국내 제조 모터 드라이브 업체 웰콘시스템즈가 설비 및 기기 정밀제어 솔루션을 들고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나섰다. 웰콘시스템즈는 스마트 팩토리 전용 고속 및 고정밀 모션제어 솔루션과 협동로봇 제어 시스템을 자동화 산업에 제시하는 중이다. 이번 전시장에는 사각·원형 등의 형태, 단축·다중축 등 기능으로 세분화된 모터 드라이브를 출품했다. 특히 웰콘시스템즈의 전시부스에서 시선을 집중시킨 제품은 16축을 제어하는 다중축 제어 시스템이다. 웰콘시스템즈 관계자는 “국내 제조를 기반으로 한 자사 제품은 단축 제어부터 다중축 제어까지 가능하다”며 “무인운반차(AGV), 자율주행로봇(AMR) 등 이동체에 이식돼 활약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용도, 사이즈 등 고객이 원하는 요소를 충족하도록 커스터마이징 또한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AW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듀얼 채널 고속 디지털 절연기 제품군을 확장했다고 밝혔다. ST는 제품군은 설계자들이 보드 레이아웃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새로운 STISO620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 2개 채널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든 디지털 입력과 모든 디지털 출력은 절연막 양쪽으로 격리돼 있다. 이 디바이스는 각 방향으로 채널을 하나씩 제공하는 STISO621 및 STISO621W와 함께 ST의 디지털 절연기 제품군에 새롭게 추가됐다. 이 제품군은 두 개의 디지털 신호를 분리하고 유연한 방향성으로 절연막을 통해 디지털 통신을 전송해야 하는 많은 애플리케이션에 편리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모든 절연기는 견고한 갈바닉 절연을 보장하는 ST의 6kV 두꺼운 산화물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시스템 오류와 노후화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절연 무결성을 유지하도록 제작돼 산업용 및 컨슈머 애플리케이션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준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스마트 그리드 장비, 유틸리티 계량기, 모터 드라이브, 스마트 빌딩 및 조명 시스템, 가전 제품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장치, 인버터, 필드버스 절연기, 배터리
[첨단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기업들이 특정 설계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기 위해 산업용 모터 드라이브 애플리케이션의 포트폴리오 확장한다고 밝혔다. 현재 산업 자동화 및 로보틱스와 더불어 모터 드라이브 시스템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시스템은 열악한 산업환경에서 높은 신뢰성 및 에너지 효율, 정확한 측정, 그리고 정밀한 제어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산업용 모터 드라이브를 위한 효과적인 반도체 개발에는 고급 설계, 액티브 및 패시브 부품 통합 기능, 기판 재료를 포함한 정교한 패키징, 고품질 및 신뢰성 표준이 필요하다. 온세미컨덕터는 25, 35 및 50 암페어 버전의 1200V 애플리케이션용 TM-PIM(Transfer-Molded Power Integrated Modules)인 NXH25C120L2C2, NXH35C120L2C2/2C2E, NXH50C120L2C2E을 발표했다. 이는 CIB(컨버터-인버터-브레이크) 및 CI(컨버터-인버터) 구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모듈은 6개의 1200V IGBT, 6개의 1600V 정류기 및 시스템 레벨 온도 모니터링을 위한 NTC 서미스터로 구성된다. CIB 버전은 다이오드와 결합된 추가 1200V IGBT를 사용
[첨단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자사의 지능형 전력 모듈(IPM) 제품군에 새로운 CIPOS Maxi IM818 시리즈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CIPOS Maxi IM818 시리즈는 다양한 전력 및 제어 소자들을 통합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PCB 크기와 시스템 비용을 최적화한다. CIPOS Maxi는 1200V IPM으로는 업계 최소형인 DIP 36x23D 패키지로 제공되며 동급 최고의 전력 밀도와 성능을 제공한다. CIPOS Maxi는 HVAC(난방, 환기, 냉방) 시스템의 모터, 펌프, 팬, 능동 PFC 애플리케이션의 저전력 드라이브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IM818 시리즈는 절연형 듀얼-인-라인 몰드 하우징을 채택함으로써 열 성능과 전기 절연이 우수하다. 까다로운 디자인의 EMI 요건과 과부하 보호 요구를 충족한다. 보호 기능에 더해서 별도의 UL 인증 온도 서미스터를 내장했다. 또한 CIPOS Maxi는 견고한 6채널 SOI(Silicon-On-Insulator)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데드 타임 기능을 사용해서 트랜션트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모든 채널에서 저전압 록아웃 기능과 과전류 셧다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다기능 핀을 사용해서
▲MOTION™ 모터 제어 IC 제품군 IMC100 시리즈 [첨단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고효율 가변속 드라이브 시장에 바로 사용 가능한 iMOTION™ 모터 제어 IC 제품군 IMC100 시리즈를 출시했다. IMC100은 필수적인 하드웨어와 제어 알고리즘을 통합하여 모터 시스템 개발 비용 및 시스템 비용을 낮추고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시킨다. 이와 더불어 인피니언의 차세대 MCE(Motion Control Engine, 모션 제어 엔진)는 모터 알고리즘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즉시 적용 가능한 PFC 알고리즘과 같은 기능을 추가했다. iMOTION 제품군의 주요 애플리케이션은 가전기기, 에어컨, 팬, 펌프 등에 사용되는 모터이다. 영구 자석 동기 모터(PMSM)를 위한 FOC(Field Oriented Control)를 특징으로 하는 iMOTION IMC100은 사인파 공간 벡터 PWM을 사용해서 최대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하고, 싱글 또는 레그 션트 전류 피드백 모두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과전압 및 저전압, 과전류, 로터 록(rotor lock) 등 다양한 보호 기능을 통합하여 전력단과 모터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독립적인
올해 21년째인 티엠테크아이는 대용량 BLDC 모터인 POWER TM을 자체 개발, 생산한 바 있으며 모터와 제어기를 합친 일체형 모터도 출시했다. 올해는 좀 더 전문성을 띤 모터 및 드라이브를 양산화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BLDC 모터는 가전에서부터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FA 시장에서 모터 용량이 점차 커지고 있다. 에너지절약 효과 때문에 고효율 모터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면서 용량이 큰 것들을 찾게 된 것. 이에 티엠테크아이는 3kW자리 대용량 모터 개발을 목표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대용량 BLDC 모터는 틈새시장이라 보니 그만큼 경쟁력에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티엠테크아이 양승율 대표는 “고객이 요구하는 게 가격 또는 성능인데, 예를 들면 BLDC 모터를 서보 모터급으로 사용하자니 가격이 비싸고, BLDC를 그냥 사용하자니 성능이 안 나온다”며, “티엠테크아이는 전문성을 가지고 주문자 방식으로 바로바로 대응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일본이나 유럽의 고성능 제품이 들어와도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뒤처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올해 티엠테크아이의 주력 제품은 모터 드라이브 일
“모터 드라이브 일체형으로 신시장 확보에 주력하겠 다.” 티엠테크아이 양승율 대표이사는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틈새시장 확보가 더욱 중요해졌다며 모터 드라이브 일체형이 그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한다. 올해 20년째인 티엠테크아이는 국내 최초 대용량 BLDC 모터인 POWER TM을 자체 개발, 생산한 바 있으며 지난해는 모터와 제어기를 합친 일체형 모터도 출시했다. 올해는 좀 더 전문성을 띤 모터 및 드라이 브를 양산화하는 한편, BLDC 모터 제어기 일체형 으로 제품 표준화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란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엔 경기도 부천 신사옥 시대를 열며 새로운 도약을 알렸다. 티엠테크아이의 사업 비전과 앞으로 계획을 양승율 대표이사에게 들었다. Q. 올해 주력사업은 A. 그동안 개발된 제품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해 왔지만, 올해는 좀 더 전문성을 가진 모터 및 드라이브 양산화로 전기자동차와 로봇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로봇관절용이든 전동 킥보드용이든 여기에 들어가는 모터를 전문성 있게 만들어보자 해서 연구소와 함께 신제품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또 한 가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