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보안·운영 등 시스템에 뉴로메카 로봇 시스템 투입돼 유선 보안 통신 구간 암호화, 로봇 운영 모니터링 시스템 등 이식 뉴로메카와 강원랜드가 카지노 운영 자동화 구현에 뜻을 함께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약 16.6억 원 규모로 알려졌다. 양사는 카지노 카운트룸 보안·효율성 강화에 역량을 총동원한다. 이를 위해 매출 정산 자동화 시스템, 유선 보안 통신 구간 암호화, 로봇 운영 모니터링 시스템, 자동화 운영 모니터링 시스템,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기반 머신비전 기술 등을 시설에 녹일 계획이다. 뉴로메카는 협동로봇 시리즈 ‘인디(Indy)’, 델타로봇 ‘D6’ 등 로봇 기체를 제공한다. 양사는 이러한 기술을 통해 문제 예측·대응이 한층 수월해지고, 운영 효율·보안·데이터 관리 수준 등이 고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박종훈 뉴로메카 대표는 “강원랜드와의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국내외 카지노 자동화 사업을 지속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국내외 최신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 기술을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2024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이 10월 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3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과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 공동 주최하며, 28회째를 맞이하는 공구 및 용접 전문 전시회다. 독일, 미국, 일본, 중국 등 10개국에서 총 150개 업체가 참가해 6만 2천여 종의 고정밀 공구와 스마트 용접기, 용접 로봇 자동화 장비, 레이저 용접·절단기, 모니터링 시스템 등 최첨단 기술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는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업계 전문가들이 모여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전시회를 주최한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의 문병윤 전무이사는 “공구 및 용접 협동조합이 함께 협업하여 공구 및 용접 산업의 판로 확대를 목표로 준비한 전시회로, 상담 580백만 불, 계약 90백만 불의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참가 기업들은 이번 전시회에서 신제품 개발동향, 신기술 소개, 업계 동향 및 산업 발전추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예정이며, 국내외 주요 메이커들이
켄코아(KENCOA)가 ‘제1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Private Netwark Tech Fair 2024, 이하 PNT FAIR 2024)’에서 이음 5G를 적용한 스마트 팩토리 사업을 소개했다. 차세대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5G 특화망(이음 5G)’를 중심으로 한 제1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이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총 3일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2홀에서 SCM FAIR 2024와 공동으로 열렸다. 이번 전시는 약 450부스 규모로 마련됐다. 올해 처음으로 열린 PNT FAIR 2024는 솔루션, 장비, 서비스, 컨설팅, 연구개발(R&D) 등 5G 특화망 산업을 총망라해 다양한 업체들이 참여했다. 구체적으로 구축 솔루션, 자재, 부품,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 클라우드 서비스 등 5G 특화망 솔루션이 전시회 현장에서 관람객을 맞이했다. 켄코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이음 5G 적용 스마트 팩토리 시범 도입 사업은 켄코아 자사공장 내부 이음 5G가 적용된 스마트 팩토리로, 공장 자동화 2년간(2023년~2025년) 시범 도입 및 상용화할 계획이다. 켄코아는 우주항공을 위한 특수 재료 공급과 상용 및 방산 기체, 화물기 개조, 엔진,
‘제1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Private Netwark Tech Fair 2024, 이하 PNT FAIR 2024)’에서 5G 특화망 도입을 통한 성과 공유 전시가 진행됐다. 차세대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5G 특화망(이음5G)’를 중심으로 한 제1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이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총 3일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2홀에서 SCM FAIR 2024와 공동으로 열렸다. 이번 전시는 약 450부스 규모로 마련됐다. 올해 처음으로 열린 PNT FAIR 2024는 솔루션, 장비, 서비스, 컨설팅, 연구개발(R&D) 등 5G 특화망 산업을 총망라해 다양한 업체들이 참여했다. 구체적으로 구축 솔루션, 자재, 부품,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 클라우드 서비스 등 5G 특화망 솔루션이 전시회 현장에서 관람객을 맞이했다. 5G 특화망 도입을 통한 성과 사례들로는 ▲2023년 28GHz 산업 융합 확산 사업 ▲스마트워터시티 이음 5G 도입·운영사례 ▲동양 최대 자동화 물류센터를 위한 이음5G AGV/AMR 실증센터 구축 등이 소개됐다. ‘28GHz 산업 융합 확산 사업’은 28GHz 기반 5G 특화망을 활용, 신규서비스 모델을 개발해 롯데월드
콕스(COX)특허법률사무소는 ‘제1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Private Netwark Tech Fair 2024, 이하 PNT FAIR 2024)’에 참가해 5G 특화망 기술 특허에 대한 상담을 진행했다. 차세대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5G 특화망(이음5G)’를 중심으로 한 제1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이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총 3일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2홀에서 SCM FAIR 2024와 공동으로 열렸다. 이번 전시는 약 450부스 규모로 마련됐다. 올해 처음으로 열린 PNT FAIR 2024는 솔루션, 장비, 서비스, 컨설팅, 연구개발(R&D) 등 5G 특화망 산업을 총망라해 다양한 업체들이 참여했다. 구체적으로 구축 솔루션, 자재, 부품,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 클라우드 서비스 등 5G 특화망 솔루션이 전시회 현장에서 관람객을 맞이했다. 콕스는 5G, 6G 및 특화망 상용기술 분야 특허 전문가 그룹이다. 콕스특허의 전문 기술 분야는 통신 표준, 보안 표준, 비디오 코덱 등이며 특허 포트폴리오 관리, 특허성 및 유효성에 대한 자문 제공 및 특허 출원 절차를 지원한다. 콕스는 “최신 ICT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을 구현하기
이음텍은 ‘제1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Private Netwark Tech Fair 2024, 이하 PNT FAIR 2024)’에 참가해 5G 특화망 솔루션을 선보였다. 차세대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5G 특화망(이음5G)’를 중심으로 한 제1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이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총 3일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2홀에서 SCM FAIR 2024와 공동으로 열렸다. 이번 전시는 약 450부스 규모로 마련됐다. 올해 처음으로 열린 PNT FAIR 2024는 솔루션, 장비, 서비스, 컨설팅, 연구개발(R&D) 등 5G 특화망 산업을 총망라해 다양한 업체들이 참여했다. 구체적으로 구축 솔루션, 자재, 부품,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 클라우드 서비스 등 5G 특화망 솔루션이 전시회 현장에서 관람객을 맞이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이음텍이 소개한 ‘무발진 RE Relay’는 5G 특화망 환경에서 발생하는 음영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저비용으로 효과적인 커버리지 확장을 실현해 5G 특화망 발전을 촉진하며 스마트 공장, 물류창고, 대규모 플랜트, 건설현장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기지국 추가 설치 대비 낮은 비용으
스맥(SMEC)이 ‘제1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Private Netwark Tech Fair 2024, 이하 PNT FAIR 2024)’에 참가해 안정적인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무선통신 솔루션을 소개했다. 차세대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5G 특화망(이음5G)’를 중심으로 한 제1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이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총 3일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2홀에서 SCM FAIR 2024와 공동으로 열렸다. 이번 전시는 약 450부스 규모로 마련됐다. 올해 처음으로 열린 PNT FAIR 2024는 솔루션, 장비, 서비스, 컨설팅, 연구개발(R&D) 등 5G 특화망 산업을 총망라해 다양한 업체들이 참여했다. 구체적으로 구축 솔루션, 자재, 부품,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 클라우드 서비스 등 5G 특화망 솔루션이 전시회 현장에서 관람객을 맞이했다. 스맥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디지털 무선통신 솔루션은 공공안전, 철도, 지하철, 공항, 플랜트 등 음성/데이터 통신이 요구되는 분야에 구축해 긴급한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표준화된 기술을 적용해 신뢰성, 안정적인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이다. 스맥은 오랜 기간
한국전력은 20일 경북 울진 지역 송전철탑 2곳에 '지능형 재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고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능형 재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CC(폐쇄회로)TV에 촬영되는 영상을 자체적으로 인식·분석해 산불과 산사태 등 재해 상황 발생 시 한전과 관계 기관에 자동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산불 감시 기능과 함께 멸종위기종 등의 생태계 모니터링과 산사태 징후 감지 기능도 갖추고 있다. 한전은 해당 시스템을 통해 자체 개발한 AI 알고리즘의 영상 식별 기능으로 산불을 인식한다. 총 13만장의 관련 이미지 딥러닝을 통해 산불 연기처럼 보일 수 있는 구름, 야간의 자동차 헤드라이트 등의 유사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 산양 등 멸종위기종 동물 인식 기능도 있어 강원·경북 지역에 서식 중인 산양의 생태 특성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산사태 변위 측정 센서를 활용해 산사태 징후 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신속히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전은 내년 10월까지 시스템을 시범운영한 뒤 현재 건설 중인 500㎸ 초고압직류송전(HVDC) 동해안·신가평 송전철탑 20곳에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동해안·신가평
여의시스템의 V-KVM Manager을 확인하세요. Asia No.1 자동화 전시회! 산업 지능화 시대를 선도하는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현장을 살펴봅니다. ■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 2023.03.08 (수) - 03.10 (금) ■ COEX A,B,C,D Hall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동우텍이 '유통·물류 및 공급망관리 산업전(SCM FAIR 2022)'에서 스마트 콜드체인 모니터링 시스템과 각종 IoT 기기를 선보였다. SCM FAIR 2022는 10월 12일부터 14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2홀에서 열리는 스마트 물류 전문 전시회로, 물류의 시작인 퍼스트마일부터 소비자에게 닿는 라스트마일에까지, 물류/유통 전 과정에 활용되는 첨단 IT 기술, 자동화 시스템 등 다양한 솔루션과 서비스 기업들이 참가하고 있다. 동우텍이 이번에 선보인 모니터링 솔루션은 스마트 측정·전송·모니터링 기술을 통해 제품의 안전과 유효성을 강화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대응한다. 이 시스템은 박스 내부의 온도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IoT 센서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통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하면 LTE를 통해 서버까지 전송된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ERP, TMS 같은 정보 시스템에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온·습도 정보뿐만 아니라 조도, 진동, 위치 정보까지 전달해주며 실시간으로 이상이 생기면 관리자가 서버로부터 경고 알람을 받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기능을 갖춘 동우텍의 모니터링 시스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셰플러코리아가 IoT 솔루션을 기반으로, 공장 내 기계장비를 비롯한 제반 설비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수 있는 자동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옵타임(OPTIME)’을 국내시장에 출시한다. 옵타임은 진동과 온도 등 장비의 작동과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반 변수를 감지하는 무선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측정하고 고유의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모터, 송풍기 및 펌프, 콤프레셔와 같은 기계장비나 부품의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고 미리 알려주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유지보수 예측 솔루션이다. 이 시스템은 진동, 온도 등의 파라미터에서 설비의 상태를 알 수 있는 7가지 KPI를 추출하여 트렌드 분석을 할 뿐만 아니라, 축 불균형이나 정렬 불량, 베어링 결함, 윤활 불량 등과 같은 기계적 상태 이상에 대해서도 최대 몇 주 앞선 사전 경고와 함께 사후조치를 위한 세부적인 권장 사항을 사용자에게 제시해 위험요소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옵타임 시스템을 통해 해석된 상태보고서는 옵타임 앱을 통해 그래프 형식으로 트렌드 분석 결과와 알람을 시각화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옵타임 관리자는 수백개에 이르는 많은 설비도 그룹화해 통합 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신재생에너지 IT기업 에너닷이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인증절차에 들어간다. 에너닷은 정부가 제시한 안전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자사 모니터링 플랫폼에서 제공하던 감시 및 경보, 통신 기능에 더한 개선을 단행했다. CCTV 설치로 감시 기능을 보강했으며, 국제공통평가기준에 준한 시스템 보안 기능, 주차단기・인버터 원격 제어 기능을 추가했다. 에너닷 측은 “이번 개선은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원격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통합관제 솔루션으로 거듭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태양광발전소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감시-경보-제어-통신-보안 등 안전관리에 필요한 5가지로 구성한 시스템으로, 향후 에너닷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이 적용된 3MW 이하 태양광발전소는 안전관리대행 업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당초 1MW를 초과하는 태양광발전소는 의무적으로 상주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했으나, 4월 관련법규 개정으로 전기안전공사가 인증한 발전소는 3MW까지 안전관리 대행을 의뢰할 수 있다. “안전관리 대행 업무를 이용할 경우 발전소 유지보수 관리비의 10% 이상을 절감할 수 있다”고 에너닷 측은 밝혔다. 이동영 에너닷 대표는 “원격감시 및 제어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비전 기반 AI 소프트웨어 및 차량 내부 센서 융합 기술 분야 기업인 아이리스와의 협력을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차량 내부 전체를 포괄적이고 시공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아이리스의 첨단 심층 신경망 포트폴리오를 통해 ST의 글로벌-셔터 센서 솔루션을 차량 내 센싱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장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첨단 인식 기능은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 어린이 감지, 물체 인식, 제스처 제어, 활동 예측 등 안전 및 편의 기능을 지원한다. ST의 2.3메가픽셀 VG5761 글로벌-셔터 센서는 선명한 이미지를 위해 최대 98dB의 높은 선형 동적 범위를 제공한다. 모든 조명과 환경 조건에서 차량 내부 이미지를 캡처한다. 아이리스의 차량 내 센싱 기술과 결합된 이 센서는 특히 백미러, 오버헤드 콘솔, 센터 스택 영역과 같은 비전방 카메라 위치에서 정확한 시선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아이리스 DMS에 사용할 수 있다. 신체 주요 부위와 높이, 너비, 크기, 자세, 움직임, 방향을 정확하게 추적하는 아이리스 OMS도 지원한다. 이뿐 아니라 ST 센서를 통해 아이리스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