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기 대비 각 26.7% 및 237.5% 증가 르노삼성자동차가 지난 1월 내수 4477대, 수출 8837대가 판매되며 전년 동기 대비 116.4% 증가한 총 1만3314대의 실적을 거뒀다. 중형 SUV QM6는 전년 동기 대비 45.1% 증가한 2865대가 판매되며 연초 내수 실적을 견인했다. 특허 받은 도넛탱크(DONUT) 고정 기술로 높은 안전성과 트렁크 공간 활용성, 정숙성 등을 자랑하는 국내 유일 LPG SUV QM6 LPe 모델이 QM6 판매의 60.8%(1743대)를 차지했고, 가솔린 GDe 모델이 38.9%(1114대)로 뒤를 이었다. 트림 별로는 상위 트림인 RE 시그니처와 프리미에르가 QM6 전체 판매의 67.4%(1,931대)를 차지하며, 고급 사양 모델들이 소비자들로부터 많은 선택을 받았다.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는 XM3는 전년 동기 대비 23.3% 증가한 1418대가 판매되며 내수 시장에서도 좋은 흐름을 이어갔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중형 세단 SM6는 지난 해 10월 2022년형 모델 출시 이후 지속적인 판매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연초 일시적인 부품 수급 문제 여파로 인해 출고 대수가 감소하며 1월 124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르노 조에가 전 세계에서 판매 중인 주요 전기차 중 실제 전비가 가장 좋은 차로 꼽혔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자동차 전문 매체 모터원과 인사이드EV가 글로벌 전기차 모델 18개를 대상으로 전비 테스트를 한 결과 르노 조에가 1위를 차지했다. 테스트는 최고 온도 31도의 하계 시즌에 이탈리아 로마에서 포를리까지 약 360㎞의 거리를 재충전 없이 주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각 차량의 100㎞당 소모 전력을 측정해 순위를 매겼다. 순위가 높을수록 1㎾의 전력으로 더 많은 거리를 갈 수 있다는 의미다. 르노 조에는 100㎞당 11.0㎾의 전력을 소모, 테스트 참여 차량 중 1㎾로 9㎞ 이상 주행이 가능한 유일한 전기차로 나타났다. 르노 조에는 2012년 첫 출시 이후 작년까지 총 27만9331대가 판매된 유럽 전기차 시장 누적 판매 1위 모델이다. 이번 테스트에서도 르노 조에는 급속 충전시 35∼45㎾의 충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BMW i3 REx였다. BMW i3 REx는 100km당 11.4kW의 전력을 소모하며 조에와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1㎾당 주행 가능 거리는 8.77㎞였다. 테슬라 모델 3
[첨단 헬로티] 스마트솔루션즈는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에 HVLS(High volume low speed, 대용량 저속) 실링팬 공조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프랑스 르노그룹 소속의 완성차업체인 르노삼성자동차는 본사와 공장 모두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간 30만 대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는 대형 생산시설이다. ▲스마트솔루션즈는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에 HVLS 실링팬 공조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은 대형 생산공장의 특성인 높은 층고와 넓은 부지, 바다가 인접해 있어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어 이슬맺힘 현상 또는 결로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었다. 스마트솔루션즈는 텐트형 창고의 경우 높은 층고에 다양한 제품들이 쌓여있는 공간으로 기존의 냉난방시설이 역할을 다하지 못했으며 르노삼성자동차에서는 쾌적한 공간에서 생산성 증가 및 제품관리를 위해 산업용 공조시스템을 의뢰했다고 밝혔다. 이에 스마트솔루션즈는 르노삼성만의 HVLS 실링팬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다. 스마트솔루션즈가 이번에 공급한 산업용 실링팬은 현장에 최적화된 지름 7.3m 크기의 저소음 공장 실링팬으로 기존의 산업용 공조시스템과 함께 대량의 공기를
[첨단 헬로티] 르노삼성자동차가 협력업체의 기술 혁신 지원을 목적으로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르노삼성자동차가 12억 원, 생기원이 8억 원을 출자해 20억 원 규모의 R&D 펀드를 조성하고, 자동차 부품 및 공정자동화 시스템 분야에서 공동 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협력사들의 기술 혁신이 선행돼야 한다고 보고, 생기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해결한다는 구상이다. 실용화기술 개발 전문기관인 생기원은 2015년 민간수탁 활성화 지원기관으로 선정된 이후 중소기업 수탁과제 비율을 확대해 왔다. 특히 민간수탁 활성화 비율을 높이기 위해 ‘Go Together 프로그램’을 도입, 산업계와 연계한 공동 R&D 기반을 구축하는 데 공들여 왔다. Go Together 프로그램은 대기업과 생기원이 공동으로 펀드를 마련, 1·2·3차 협력기업의 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양 기관은 그 동안 핵심 부품 국산화 및 공정자동화 시스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하고, 다양한 논의를 거쳐 세부 추진 과제를 발굴했다. 대표적으로 생기원 측에서는 고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