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W가 기술보증기금 평가위원회와 한국평가데이터(KoDATA) 평가에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 이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절차 개시를 위한 과정이며 내년 3분기를 목표로 대신증권 주관하에 IPO를 추진한다. 우수한 평가를 받은 멀티도메인 데이터 교차분석 기술은 여러 도메인에서 데이터를 수집해 중요 정보를 추출하고 연관성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다양한 출처에서 비정형 빅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해 처리하는 역량과 인공지능 학습 및 추론 정확성을 극대화하는 온톨로지 기반 지식그래프, 다크웹 도메인 특화 언어 모델 다크버트 등 S2W의 기술 노하우가 응축돼 담겨있다. S2W는 딥다크웹과 텔레그램 등 각종 히든 채널에서 출발한 도메인 특화 AI 기술을 확대 적용하면서 다양한 산업군과 주요 정부 기관의 고객을 위한 국가안보 및 기업 정보 분석을 수행한다. 현재 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SAIP’, 공공·정부 기관용 사이버안보 빅데이터 플랫폼 ‘자비스’, 기업·기관용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퀘이사’ 등 AI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서상덕 S2W 대표는 “이번 IPO는 S2W의 사업 영토를 전 세계로 확장함으로써 글로벌 빅데이터 시장에서 존재감을 각
S2W에서 금융 보안 솔루션 개발 및 데이터 위협 감지에 최적화된 금융 보안 TF가 출범했다. S2W 금융 보안 TF는 다크웹과 텔레그램에서 증가하는 금융권 정보 유출 피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전문팀이다. S2W는 자사가 보유한 다크웹 모니터링 기술과 금융 보안 전문성으로 사이버 금융 보안 위협을 실시간 스크리닝하고, 은행, 증권, 투자, 보험, 카드사 등 금융업계에 적합한 위협 인텔리전스를 선보인다. 사이버보안 인텔리전스 솔루션은 ‘다크버트’, ‘사이버튠’ 등 AI 기술 기반 언어모델을 활용해 암호화된 비정형 위협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확인한다. S2W의 금융 보안 TF 발족은 해당 시장에서 쌓아 온 노하우가 계기가 됐다. S2W의 다크웹 전문 AI엔진과 보안 솔루션은 인터폴, 대만증권거래소 등의 글로벌 기관에 공급됐고, 국내 은행 및 카드사에 수년 간 보안 솔루션을 공급했다. 금융 보안 TF는 앞으로 사이버 보안과 AI를 아우르는 금융 기업별 맞춤 솔루션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재기 S2W 센터장은 “금융권 데이터는 해커의 주요 타깃이 돼 강력한 보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영역”이라며 “S2W 금융 보안 TF는 기업과 고객에게 필요한 금융 사이버보안 토탈
다크웹 전용 AI 언어모델인 ‘다크버트' 활용해 사이버 범죄 방지 방안 발표 에스투더블유가 세계 AI 및 사이버 보안 영역을 리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입지를 다져간다. 에스투더블유(이하 S2W)가 UN 마약범죄사무소(이하 ODC) 컨퍼런스에 대표 연사로 초청돼 국경을 넘나드는 대규모 사이버 범죄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오늘(28일) 미국 뉴욕 UN 본사에서 개최하는 UN ODC 컨퍼런스에는 세계 193개국의 UN 소속 수사담당관들이 한 자리에 모여 국제적인 범죄 추적 및 예방에 인사이트가 될 수 있는 아젠다를 교류한다. S2W는 이 자리에서 전 세계 최초 다크웹 전용 AI 언어모델인 ‘다크버트(DarkBERT)'를 활용해 사이버 범죄를 방지하는 방법과 수사 목적을 위한 AI 기술에 대해 공유할 예정이다. UN ODC는 1997년에 약물 규제와 마약 범죄 및 테러 예방을 목적으로 설립된 유엔 산하 직속 기관이다. 국제적으로 고도화하는 악성 범죄를 방지하기 위해 최신 보안 기술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는 비정기적이고 프라이빗한 컨퍼런스를 매해 개최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테러리스트와 극단주의자의 다크웹 및 사이버 공격을 위한 사이버 범죄 서비스 이
"신종 사이버 위협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력 보급하는 계기될 것" S2W와 KAIST 연구진이 공동 개발한 AI 언어 모델인 '다크버트(DarkBERT)'가 주목 받고 있다. 다크버트는 다크웹상에서 각종 범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도록 훈련한 다크웹 전문 언어 모델이다. 지난 5월 4일 세계적인 자연어처리 학술대회 ACL에 연구 성과가 채택되고 논문이 공개된 이후, 그 출현 소식이 SNS와 미디어를 통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됐다. 연구를 주도한 카이스트와 S2W 연구진은 다크웹을 학습시킨 AI 모델이 전 세계적으로 첫 사례며, 다크웹과 같은 신종 사이버 위협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력을 전 세계에 보급하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라 기대감이 높다고 밝혔다. 다크버트는 트랜스포머 아키텍처 기반의 RoBERTa 모델 특성을 사용했다. 미국의 IT 전문지 Tom’s Hardware는 “다크웹용 챗GPT의 출현”라는 기사로 비중 있게 다뤘고, 영국의 HackRead는 “다크버트 : 다크웹에 대한 현저한 보안 강화책”, 일본의 한 IT 미디어는 “한국 연구진이 개발한 대규모 다크웹 언어모델, 다크버트”로 소개했다. S2W에 따르면, 다크버트는 트위터에서 지금까지 27개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