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기자수첩] 사회 물 흐리는 가짜뉴스, AI가 잡을 수 있을까?
“그런 걸 왜 믿어?” 가짜뉴스를 처음 접했을 때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반응이다. 하지만, 아무도 믿을 것 같지 않은 이 가짜뉴스가 전 세계를 휘몰아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대통령 탄핵 및 구속 국면에 들어가면서 이와 관련한 가짜뉴스가 진실을 알리는 뉴스를 덮어버릴 만큼 여론을 호도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해외 역시 상황은 다르지 않다. 지난 2024년 8월, 영국 리버풀 인근 사우스포트의 어린이 댄스 교실에서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 이후 소셜 미디어에서 범인이 무슬림 망명 신청자라는 가짜뉴스가 퍼지며 전국적인 반(反)이민 시위로 이어졌고, 이는 영국 역사상 손에 꼽는 폭동사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이제 가짜뉴스는 누구도 믿지 않을 것이라는 안도감 속에 쉽게 외면할 수 있는 존재를 넘어서, 냉정한 파악을 통해 이를 찾아 걸러내야 하는 영향력 있는 존재로 우리 앞에 다가왔다. AI, 가짜뉴스의 해결책으로 주목받는 이유 가짜뉴스를 해결할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제시되고 있다. 과거부터 그랬다. 언론이 더 좋은 기사를 만들어내야 한다던가 기사를 소비하는 독자들이 분별력을 갖추고 이를 걸러내야 한다던가 등 미디어 산업을 구성하는 플레이어들 사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