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수명 연장, 기기의 소형화, 시스템 안정성 향상 등 가능해져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가 자사의 초소형 전력관리 IC(PMIC) ‘nPM2100’에 대한 공식 개발 지원을 시작했다. 지난 1월 출시 이후, 개인용 건강 모니터링 기기와 무선 산업용 센서 등 초기 고객들이 다양한 1차 전지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nPM2100을 도입해 테스트를 진행해온 가운데, 이제 모든 개발자들도 본격적인 적용이 가능해졌다. nPM2100은 단순한 전압 레귤레이터와 완전한 전력관리 솔루션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제품으로, 소형 IoT 기기 개발자에게 특히 적합한 기능을 제공한다. 저전력 설계를 통한 배터리 수명 연장, 기기의 소형화, 시스템 안정성 향상 등 다양한 전력관리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출고 모드에서 35나노암페어(nA), 휴면 모드에서 200nA 미만의 전류만을 소모하는 등 우수한 에너지 절감 성능을 갖춘 nPM2100은, 10마이크로암페어(μA) 조건에서 90.5%의 효율을, 더 높은 전류에서는 최대 95%의 효율을 제공하는 부스트 컨버터도 함께 탑재하고 있다. 또한, 단 6개의 외부 부품만으로 구동 가능한 설계는 개발 편의성과 보
스마트폰 앱으로 퍼걸러의 다양한 구성요소 손쉽게 제어해 스마트홈 기술이 실내를 넘어 야외 공간까지 확장되고 있다. 고급 퍼걸러 제조업체 스트럭처가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의 첨단 기술을 적용해 미국 최초로 스레드 기반 매터(Matter over Thread) 연결 기능을 갖춘 스마트 퍼걸러와 카바나 제품군을 출시했다. '스트럭처+(StruXure+)'로 명명된 이 신제품 라인은 사용자가 단일 스마트폰 앱을 통해 퍼걸러의 조명, 전동 루버, 팬, 히터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손쉽게 제어하고 맞춤 설정하도록 설계됐다. 스트럭처는 기술 엔지니어링 기업 도너웍스와의 협업으로 이번 혁신을 이뤄냈다. 두 기업은 스레드 기반 매터 엔드 노드와 맞춤형 보더 라우터를 개발해 스마트홈 기기 간 원활한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핵심 하드웨어로는 노르딕의 nRF5340 SoC가 채택됐다. 이 시스템온칩(SoC)은 듀얼 Arm Cortex-M33 프로세서를 탑재했으며,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초저전력 네트워크 프로세서를 모두 갖추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DSP와 부동소수점 처리 기능, 1MB의 플래시 및 512KB의 RAM을 제공하며, 네트워크 프로세서는 256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가 스마트 빌딩 분야에서 무선 연결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글로벌 스마트 빌딩 기술기업 및 무선 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한 전략적 협력 그룹에 합류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차세대 무선 연결 기술로 주목받는 DECT NR+(이하 NR+)를 스마트 빌딩의 새로운 표준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빌딩 분야의 대표 기업인 르그랑, 슈나이더 일렉트릭, 지멘스 스마트 인프라스트럭처뿐 아니라 무선 업계 전문가 기업인 라스트 마일 세미컨덕터, 와이어패스, DSR 코퍼레이션, 그리고 임베디드 보안기업 쿠델스키 IoT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이 함께한다. NR+는 세계 최초의 비셀룰러 5G 기술로 주파수 라이선스가 필요 없는 스펙트럼에서 작동하며, 대규모 확장이 가능하고 장거리 및 고밀도 IoT 기기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중앙 제어 시스템 없이 자체적으로 장애 복구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한 분산형 메시 네트워크 방식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안정성뿐 아니라 관리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장거리 무선 부문 제품 디렉터이자 DECT 포럼 이사회 멤버인 크리스티안
개요 뉴스를 통해 전해지는 수많은 사건, 사고들로 인해 누구나 안전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우리는 더 오래, 더 건강하게 살기를 바라지만, 경제적 불확실성이나 정치적 불안정성, 기후 변화로 인한 실존적 위협은 물론, 개인의 신체적 피해에 대한 두려움에 이르기까지 많은 위험 요소가 우리 일상에 내재해 있다. 안전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가장 기본 조건이다. 생존은 물론, 삶을 발전시키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가정과 직장, 여가활동에서 우리를 안전하게 지켜주는 것은 골목길의 CCTV나 차량의 에어백 또는 백신뿐 아니다. 개인용 무선 기기에서 스마트 시티 전반의 인프라에 이르기까지 유비쿼터스 연결을 제공하는 ‘IoE(Internet of Everything)’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우리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 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가정에서의 안전 가정의 안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고, 침입자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수십 년 동안에는 물리적인 전화 및 유선 연결을 통한 경보 시스템이 보편적인 솔루션이 됐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설치 및 업그레이드가 까다롭고, 비용 또한 상당히 소요되는 데다, 능숙한 범죄자에
노르딕의 포괄적인 종단간 셀룰러 IoT 솔루션 강화해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nRF9151 SiP(System-in-Package)를 출시하고, 자사의 셀룰러 IoT 디바이스 제품군인 nRF91 시리즈를 확장한다고 밝혔다. nRF9151은 첨단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원활한 통합 기능으로 개발 프로세스를 대폭 간소화함으로써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 툴 및 nRF 클라우드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노르딕의 포괄적인 종단간 셀룰러 IoT 솔루션을 강화한다. nRF9151은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개발한 SoC(System-on-Chip)와 전력관리 IC 및 RF 프런트엔드가 포함된 고집적 소형 디바이스로, 사전 인증도 획득했다. nRF91 시리즈의 이전 세대 제품에 비해 개선된 공급망 안정성을 기반으로 설계됐으며, 20% 가량 풋프린트를 대폭 감소해 성능 저하 없이 제품을 소형화한다. 특히 웨어러블 기기나 스마트 센서 등 공간 제한적인 IoT 애플리케이션에 이점을 제공한다. nRF9151은 작은 크기 외에도, 클래스 5 등급의 20dBm 출력 파워를 추가로 지원해 공칭 클래스 3 23dBm을 보완한다. 이러한 향상된 기능으로 보다 손쉽게 배터리 구동 제품의
노르딕 세미컨덕터 최수철 지사장 인터뷰 일상에서 누리는 친숙한 기술 중 하나는 단연 무선통신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비롯해 각종 가전제품과 자동차, 거주공간에 이르기까지 현대 사회는 무선통신 기술의 경연장이라 해도 무방하다. 무선통신을 동반한 IoT 디바이스가 끊임없이 개발 및 보급됨에 따라, 관련 기업들은 성능 향상과 전력 효율에 연구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중에서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저전력을 기반으로 한 무선통신 분야에서 명성을 쌓아왔다. 이에 최수철 지사장을 만나 현재의 노르딕 세미컨덕터를 만든 견고한 기술력과 앞으로의 기술 전략에 대해 알아봤다. BLE 앞세워 무선통신 강자로 자리잡다 무선통신 분야에서 저전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 예로, 대다수의 무선 장치는 배터리로 작동하는데, 저전력 기술은 배터리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제품 사용성을 강화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배터리를 자주 교체하거나 충전하지 않아도 제품을 오래 사용하게 된다. 이외에도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는 저전력 기술은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고유한 저전력 기술에 강점을 둔 반도체 기업이다. 대표적으로 노르딕의 블루투스 LE(B
청각 장애인과 음악 애호가들 모두 더욱 우수한 사운드와 긴 배터리 수명을 누릴 수 있는 LE 오디오의 상용화가 임박했다. 영국의 오디오 매체인 왓하이파이(What Hi-Fi)에 따르면, 문 오디오 오퓰런스(Moon Audio Opulence) 스피커 한 쌍의 가격은 약 110만 달러에 달하며, 단 10쌍만 생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스피커는 다소 위협적인 사운드인 ‘다크 스타(Dark Star)’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귀를 우회하여 청취자의 두뇌에 음악을 전달하는 2차적 방식의 사운드 경험을 옵션’으로 제공한다. 제작사는 이 스피커는 ‘일반 거실용이 아니기 때문’에, 잠재 구매자들에게 가격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오퓰런스 한 쌍을 구매할 만한 여력이 없고, 일반적인 스피커 시설만 갖추고 있는 소비자라 하더라도 우수한 오디오 품질에 대한 요구는 동일하다. 무선 헤드폰은 다크 스타와 같은 기능은 부족하더라도 훨씬 더 저렴하고, 편리한 개별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합리적인 가격의 무선 제품은 음질에 예민한 소유자라 하더라도 까다로운 하이파이 애호가를 제외하고는 누구나 만족할 만한 수준의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엘리먼트14는 Avnet 회사이자 전자 부품, 제품 및 솔루션의 글로벌 유통업체로서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의 최신 전력 관리 칩인 nPM1100을 출하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전력 관리 IC(PMIC)는 시중의 그 어떤 PMIC 솔루션보다 크기 대비 효율이 높으며 PCB 면적 사용량이 23mm²에 불과하다. 초소형 폼팩터의 PMIC으로 배터리 충전 및 핸드헬드 파워 딜리버리, 휴대용 고급 웨어러블 무선 제품, 연결된 의료 기기를 비롯해 공간 제약을 받는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소형 무선 제품 설계자들은 배터리 수명을 늘리고 폼 팩터 증가 없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노력한다. 배터리 용량을 추가하면 물리적 부피상 불리해지므로 전력 효율 이득만이 배터리 수명 및 기능을 개선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노르딕의 nPM1100 PMIC는 소형 폼 팩터에 타이트한 통합, 효율적인 전력 변환을 결합해 이를 달성함으로써 설계자가 전자 부품의 물리적 크기를 늘리지 않고 배터리 수명이나 전력 용량을 늘릴 수 있게 해준다. nPM1100은 고효율 듀얼 모드 구성이 가능한 벅 레귤레이터 및 내장형 배터리 충전기를 탑재한 전용 PMIC다. 이 제품은 노르딕의 nRF52 시리
모바일 세미컨덕터 인수, 美 정부 승인에 따라 오는 3분기 중 완료 예정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및 SoC를 위한 고도로 최적화된 임베디드 메모리 기술을 보유한 미국 비상장 기업인 모바일 세미컨덕터를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모바일 세미컨덕터는 다양한 MCU 및 SoC에 최적화된 초저전력 성능의 최첨단 SRAM(Static RAM) 메모리 기술을 제공하며, 시장에서 입증된 공급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노르딕의 nRF52 및 nRF53 시리즈 SoC와 nRF91 시리즈 SiP 디바이스 또한 모바일 세미컨덕터의 메모리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노르딕의 CTO이자 R&D 및 전략 부문 수석 부사장인 스베인-에길 닐슨(Svein-Egil Nielsen)은 “최적화된 저전압 임베디드 SRAM 설계 분야의 업계 리더로 인정받는 세계적 수준의 모바일 세미컨덕터 팀이 노르딕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수년 동안 협력을 통해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모바일 세미컨덕터의 SRAM은 노르딕의 블루투스 및 셀룰러 IoT 제품군의 핵심적인 차별화 요인이었다. 따라서 이렇게 중요한 전문기술을
짧은 시간에 첨단 무선 제품 개념 증명 및 프로토타입 구현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멀티 프로토콜 단거리 무선 연결 및 임베디드 머신러닝을 지원하는 다중 센서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인 '노르딕 Thingy:53'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가장 짧은 개발기간 안에 머신러닝 기능을 갖춘 첨단 무선 제품의 개념 증명 및 프로토타입을 구현하는 이상적인 플랫폼이다. Thingy:53은 듀얼 코어 Arm Cortex M-33 프로세서를 내장한 노르딕의 첨단 멀티프로콜 SoC인 nRF5340을 기반으로 노르딕의 nPM1100 전력관리 IC(PMIC)와 nRF21540 프론트엔드 모듈(FEM) 및 PA/LNA 범위 확장기를 갖추고 있다. 이외에도 이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에는 충전식 1350mAh 리튬폴리머 배터리와 다중 모션 및 환경 센서가 장착돼 있다. 이 플랫폼은 블루투스 LE를 비롯해 스레드, 매터, 지그비, IEEE 802.15.4, NFC 및 블루투스 메시 RF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Thingy:53에 직접 사전에 인스톨된 임베디드 머신러닝 펌웨어 또한 제공된다. Thingy:53의 핵심인 nRF5340 SoC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네트워크 프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일본 IoT 솔루션 기업인 브레이브리지가 노르딕 nRF9160 SiP를 이용해 셀룰러 IoT 제품을 설계하는 개발자를 위해 네트워크 연결 오류를 자동으로 해결하고, 상용화를 가속화할 수 있는 IoT 플랫폼인 ‘브레이브링크’ 및 ‘브레이브게이트’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브레이브리지는 방대한 테스트 및 디버깅 프로그램을 수행해 광범위한 네트워크 연결 문제에 대한 세부적인 오류 로그 카탈로그를 생성했다. 이러한 오류 로그는 nRF9160 SiP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전용 프로세서인 Arm Cortex-M33에서 직접 범용 디버깅 및 인터페이스 툴을 통해 쉽게 액세스한다. 브레이브리지는 이러한 오류 로그 정보를 이용해 일반적인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는 소프트웨어 수정 라이브러리를 개발했다. 이 수정 라이브러리는 nRF9160 애플리케이션 메모리에서 사전 프로그래밍된 라이브러리로 사용하는 브레이브링크 라이브러리에 컴파일돼 있다. 이 솔루션은 1MB 플래시 및 256KB RAM을 갖춘 nRF9160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프로세서가 LTE-M/NB-IoT 모뎀처럼 동일한 패키지 안에 내장돼 있기에 가능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UART 링크를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블루투스 LE 오디오 제품을 신속하게 개발하는 설계 플랫폼인 nRF5340 오디오 개발 키트를 출시했다. 이 오디오 DK는 2개의 Arm Cortex-M33 프로세서를 탑재한 세계 최초의 무선 SoC인 노르딕의 nRF5340 SoC에 기반하며, LE 오디오 개발 프로젝트에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nRF5340 SoC는 LE 오디오를 비롯해 복잡한 IoT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솔루션이다. LE 오디오는 기존의 블루투스 클래식 오디오에 사용되는 낮은 복잡도의 SBC(Sub-Band Codec)를 개선한 새로운 LC3(Low Complexity Communications Codec)에 기반하고 있다. LE 오디오는 LC3를 통해 클래식 오디오에 비해 향상된 오디오 품질 및 배터리 수명을 제공한다. 광범위한 청취 테스트를 통해 모든 샘플 레이트에서 LC3의 오디오 품질이 동일한 샘플 레이트의 SBC를 능가하는 것은 물론, 절반의 무선 데이터 레이트에서 동일하거나 더 나은 오디오 품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낮은 데이터 레이트는 LE 오디오 제품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핵심 요소다. LE 오디오는 무선 오디오에 TW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노키아와 함께 셀룰러 IoT 표준 필수 특허 사용에 대한 혁신적인 새로운 라이선스 접근방식을 발표했다. 노르딕의 IoT 하드웨어를 구매하는 기업들은 업계 선도적인 노키아의 셀룰러 특허 포트폴리오에 대한 라이선스 취득 기회가 제공된다. 처음으로 진행되는 새로운 형태의 이번 협약은 표준 필수 특허에 대한 라이선스 절차를 간소화하고 단축하는 것은 물론, IoT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투명성과 예측성을 높인다. 라이선스는 최종 장치 레벨에 사용하며, 기업들은 직접 노키아와 라이선스를 지속할 수도 있다. 노키아는 거의 모든 셀룰러 장치와 LTE-M 및 NB-IoT 기술에 사용되는 여러 근간 기술을 개발해 개방형 표준을 정의하는데 기여해왔다. 실제로 거의 모든 셀룰러 네트워크와 연결된 모든 장치들은 자동으로 노키아의 지적재산권(IP)을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제품관리 수석 부사장인 키에틸 홀스타드(Kjetil Holstad)는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고객들이 쉽게 IoT를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노키아와의 이번 협약을 통해 초기 설계 프로세스에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더해줌으로써 지난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VS Code용 nRF Connect’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확장 팩은 개발자들이 널리 사용되는 VS Code IDE(Visual Studio Co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를 이용해 노르딕의 nRF Connect SDK(Software Development Kit) 기반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구현, 테스트 및 구축하도록 해준다. nRF Connect SDK는 nRF53 및 nRF52 시리즈 근거리 무선과 nRF91 시리즈 저전력 셀룰러 IoT 솔루션을 구현하기 위한 개발 툴이다. 노르딕의 VS Code용 nRF Connect는 노르딕 제품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IDE를 제공하며, 컴파일러와 링커, RTOS 디버거 및 nRF Connect SDK와의 원활한 인터페이스를 비롯해 통합 직렬 터미널 및 다른 유용한 개발 툴을 포함하고 있다. VS Code는 macOS와 리눅스, 윈도우를 위한 가볍지만, 강력한 IDE로, 간단한 소스 코드 편집기와 강력한 개발자 툴을 결합하고 있다. 또한, 강력한 에코시스템을 통해 확장성이 뛰어나다. 이 IDE는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nRF 클라우드 위치확인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솔루션은 고객들이 클라우드 기반 제품을 통해 nRF9160 SiP(System-in-Package)로 구동되는 셀룰러 IoT 장치에 대한 상세하고, 빠르고 정확한 상용 위치확인 서비스에 액세스하도록 지원한다. nRF 클라우드 위치확인 서비스는 노르딕의 다기능 셀룰러 IoT 연결 지원 솔루션인 ‘nRF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구현됐다. 노르딕 고객은 nRF9160 SiP 기반 셀룰러 IoT 제품에 nRF 클라우드 위치확인 서비스를 구축하면, 모든 상용 위치확인 서비스에 액세스한다. nRF 클라우드는 해당 고객에게 현장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펌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nRF 클라우드 위치확인 서비스는 초기에는 실내 및 실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A-GPS(Assisted GPS) 및 P-GPS(Predicted GPS) 기반 위치확인 서비스와 단일 및 다중 셀을 사용하는 위치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일 셀 방식은 추적해야 하는 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셀을 식별한 다음, 기지국의 지리적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셀을 식별하게 된다. GPS 모뎀이 동작할 필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