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여수 율촌면 일대에 대규모 신규 산업단지가 조성되며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전라남도는 동부권 산업용지 부족 문제 해소와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해 ‘광양항 율촌 융복합 물류 단지’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업시행자인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지난 2023년 7월 착공해 현재 1단계 조성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1단계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전체 사업은 총 6,530억 원을 투입해 332만㎡ 규모로 조성된다. 산업단지는 총 3단계로 나뉘어 2029년과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완료될 예정이다. 이 단지는 미래형 물류 및 제조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설계되었으며 벌써부터 주요 기업의 관심을 끌고 있다. 1단계 부지에는 GS칼텍스가 선제적으로 토지 매매계약을 체결하며 투자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GS칼텍스는 이 부지에서 수소 생산 및 발전,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설비 공장 구축 등을 추진하며 3년 내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연간 수십만 톤 규모의 수소 생산과 수백만 톤의 액체화물 물동량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여수광양항 물동량 증가, 신규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무인이송장비 AGV 및 관제시스템 등 핵심 설비 공급키로 현대로템이 무인이송장비(Automated Guided Vehicle, AGV) 실적 확대를 통해 첨단 스마트 물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대로템은 여수광양항만공사(이하 공사)에서 발주한 약 828억원 규모의 광양항 자동화 부두 AGV 제작·납품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AGV는 화물을 적재해 지정된 장소까지 자동으로 이송하는 무인 차량으로 물류 자동화의 핵심 설비다. 이번 사업을 통해 현대로템은 오는 2029년까지 총 44대의 항만 AGV를 비롯한 관제시스템, 충전기 등 관련 인프라 설비를 공사에 공급할 예정이다. 컨테이너 이송, 적재, 반출 등 부두 내 모든 물류 과정의 완전 자동화가 구현될 광양항의 물동량을 맡게 될 전망이다. 현대로템이 공급할 AGV는 길이 16m, 폭 3m, 높이 2.3m 크기의 대형 항만 AGV로 최대 65톤 중량의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다. 전기 구동 방식이며 고속 충전 시스템을 적용해 30분 충전만으로도 8시간을 구동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정적인 무인 주행을 구현하는 다양한 기술들도 적용된다. AGV에 탑재된 안테나와 항만 바닥에 매립된 센서인 트랜스폰더(Tra
해수부,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육성 및 시장 확대 전략’ 확정 정부가 스마트항만 기술시장을 육성하기 위해 광양항, 부산항 신항 등에 국내 기업의 기술을 도입한다. 또 부품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중소기업 투자를 강화하고 교육기관과 연계해 기술인재도 확보한다. 이를 통해 2031년까지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국내점유율 90%, 세계점유율 10%를 달성하고 시장규모도 지금보다 8배 확대하는 게 목표다. 해양수산부는 19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육성 및 시장 확대 전략’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스마트항만 기술산업이란 선박의 화물을 하역하는 안벽크레인, 야적장까지의 이송장비, 야적장 적재를 위한 야드크레인과 항만운영 시스템 및 분석 소프트웨어, 유무선 통신망 등을 제작·관리하는 시스템 산업을 말한다. 기반 공간인 부두, 운영인력과 함께 항만 터미널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디지털 전환 확대에 따라 항만의 스마트화가 가속되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해운·항만 물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산항과 광양항 등에 스마트항만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항만
헬로티 김진희 기자 | 6800TEU급 컨테이너선 HMM 홍콩호가 광양항에서 국내 수출기업들의 화물을 싣고 있다. (출처: HMM) HMM은 국내 기업들의 원활한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8일 올해 첫 임시선박이 출항했다고 9일 밝혔다. 광양항에서 8일 출항한 임시선박 6800TEU급 컨테이너선 ‘HMM 홍콩(Hongkong)호’는 국내 수출기업들의 화물을 싣고 이달 22일에 미 타코마(Tacoma)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HMM은 올해 처음 출항한 ‘HMM 홍콩(Hongkong)호’ 외에도 ‘HMM 오클랜드(Oakland)호’, ‘SKY 레인보우(Rainbow)호’, ‘HMM 앤트워프(Antwerp)호’, ‘HMM 울산(Ulsan)호’ 등 이달에만 총 5척의 임시선박을 투입할 계획이며, 상황에 따라 추가 투입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이달 24일과 27일에 투입 예정인 ‘HMM 앤트워프(Antwerp)호’와 ‘HMM 울산(Ulsan)호’는 다목적선(MPV: multi-purpose vessel)으로 미 동안의 뉴욕과 임시선박으로는 처음으로 휴스턴으로 출항한다. 일반적으로 다목적선은 석유화학 설비, 발전 설비와 같은 초대형 특수 화물 및 중량 화물을 운송하지만, 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전남 광양항 3-2 부두에 국내 최초로 전 영역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 건설을 위해 추진하는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이 26일 기재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경제성분석(B/C 비용대비 편익분석)은 0.97, 종합평가(AHP)는 0.594점을 받았다.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로 광양항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은 예산 6천915억 원을 확보하게 됐다. 최근 컨테이너 물동량이 줄고 있는 광양항은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이 구축되면 항만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남도는 내다봤다. 전남도는 그동안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위해 해양수산부 광양시 여수광양항만공사 등과 함께 공동 대응에 나섰다. 광양항 항만 자동화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은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항만들이 하역작업 자동화로 생산성과 안전성을 향상하며 무한경쟁 시대를 열어가는데 맞춰 추진됐다. 국내에서도 컨테이너 터미널 자동화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정부가 광양항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구축을 한국판 뉴딜에 반영해 예타 대상 사업으로 지난해 12월 선정했다. 광양항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구축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총사업비 6천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