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은 업계 최초로 지능형 CCTV를 도입하는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안전 관리에 나선다. 나아가 물류 분야에도 AI 기술을 접목해 효율적인 물류 인프라를 구축해 나간다는 목표다. CJ대한통운은 한화비전과 'Eagle Eye(이글아이) 개발과 물류 최적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는 현장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물류업 맞춤형으로 학습한 AI(인공지능)가 분석하는 물류 영상 솔루션인 이글아이를 공동 개발한다.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현장 곳곳의 지능형 CCTV를 원격으로 연결해 AI가 실시간으로 현장의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다. 또 지능형 CCTV가 유기적으로 연동돼 하나의 시스템으로 재난, 시설물, 고객 서비스 등 택배 터미널 내 여러 분야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CJ대한통운은 아시아 최대 택배 터미널인 곤지암 메가허브터미널에 지능형 CCTV를 우선 설치해 작업자 안전을 확보할 예정이다. 그동안 CCTV를 활용해 안전관리자의 육안으로 모니터링하는 사례는 있었지만, 지능형 CCTV를 도입하는 것은 업계 최초다. 업계 최초로 도입되는 지능형 CCTV는 최대 4K 해상도의 고화질은 물론, 적외선 기능으로 야간에도 30m
CJ대한통운이 2013년 CJ그룹 물류 통합법인으로 새 출발한 지 10년 만에 매출액 3배, 영업이익 6배의 성장을 이뤘다. CJ대한통운은 2008년 대한통운 시절 법정관리 상황에서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됐다가 2011년 말 CJ그룹으로 대주주가 바뀌었다. 2013년 4월에는 CJ그룹 내 물류 계열사인 GLS와 합병하며 그룹을 대표하는 통합물류기업이 됐다. 1일 CJ대한통운에 따르면 CJ그룹 통합법인 출범 이래 매출은 2013년 3조7000억 원에서 지난해 12조1000억 원으로 3배 이상이 됐고, 영업이익은 641억 원에서 4118억 원으로 6배 가까이 증가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10년간 매해 최대실적 기록을 갈아치웠다. CJ대한통운의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인수 초기부터 물류를 신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그룹의 강한 의지가 작용했다는 평가다. CJ그룹은 대규모 투자와 글로벌화라는 '쌍끌이'로 대한통운을 세계적인 물류기업으로 탈바꿈시켰다. 대표적인 투자 사례는 2016년 대규모 택배 분류센터인 '곤지암 메가허브터미널' 착공이다. 당시 업계에서는 4000억 원이 넘는 CJ그룹의 대규모 투자를 두고 '무모하다'고 평가했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신의 한 수'가 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