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성시스템이 폭넓은 라인업으로 구성된 파워 제품군을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전시장에서 소개했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1987년에 설립된,두성시스템은 공장 자동화(FA), 산업용 LED 전광판, 홍보용 풀 컬러(FULL COLOR) LED 전광판 등 공급하고 있다. 대만 소재 민 웰(MEAN WELL)사 국내 공식 대리점으로, 약 5,000여 종의
투테크가 레이저 라벨 프린터 제품군을 들고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했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투테크는 세계 최초로 지워지지 않는 레이저 라벨 프린터를 개발한 인쇄 기술 업체다. 기존 열전사 프린터 표면 인쇄 방식의 단점을 극복한 레이저 라벨 프린터로 여러 산업을 공략하고 있다. 투테크 레이저 라벨 프린터는 레이저 기반 라벨 중간층 인쇄 기법을
누비콤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계측 솔루션을 소개했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누비콤은 미국 측정·테스트 솔루션 업체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의 총판 대리점으로, 각종 전기·전자 계측기기를 전 세계 50여 개국에 유통하고 있다. 여기에 전 세계 전자 계측 장비를 약 8,000여 대 운용하는 중이다. 해당 장비는 교육·컴퓨팅·통신·
엠아이큐브솔루션, AI 솔루션 기반 자율제조 달성 방법론 공유해 AI 통한 품질 최적화, 예지 보전, 이상 탐지 혁신법 강조 “제조 공정 전주기서 AI 기반 자율제조로 트렌드 변하고 있어”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oftware Defined Everything 이하 SDx)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조명받고 있다. SDx는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모든 시스템 요소가 제어·운영·작동되는 개념이다. 스마트폰으로 예를 들면, 기기 교체 없이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만으로 새로운 기능을 지속 창출하는 것과 유사한 시스템이다. 제조업에서는 큰 범주로 ‘소프트웨어 정의 제조(Software Defined Manufacturing)’가 떠오르고 있다. 이 안에는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DF)’·‘소프트웨어 정의 공급망(SDS)’·‘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SDA)’ 등 세부 SDx 요소가 포함된다. 이 중 SDF는 소프트웨어가 공장 내 모든 인프라를 관장하는 기술이다.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클라우드·빅데이터·디지털 트윈 등 차세대 기술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자동화 요소 강화, 비용 절감, 효율성 향상, 수율·생산성 최적화, 인프라 유연
엠아이큐브솔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Smart AI를 선보였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공장 자동화 및 공정 관리를 위한 설비 통신 및 제어, MES, EES, APS, MCS 등 제조 운영 관리 솔루션을 자체 개발해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고도화를 지원해왔다. 특히 AI 및 Digital Twin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Edge-to-Cloud 데이터 수집부터 예측 판단 및 조치를 수행하는 자율제조 토탈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군에 맞춤형 스마트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제조 환경에 최적화된 AI 기반 솔루션을 연구 및 개발하여 효율적인 공장 운영을 위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Smart AI는 제조업에 특화된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과 운영을 지원하는 MLOps(Machine Learning Operations) 플랫폼이다. 설비 예지보전 시스템 구축을 통해 설비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고 최적 공정 조건을 탐색하여 생산
에스피시스템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갠트리 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에스피시스템스는 1988년 설립된 산업용 갠트리 로봇 및 물류 자동화 시스템 전문 기업으로 기술 개발과 원가 절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왔다.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맞아 로봇,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한 맞춤형 로봇 플랫폼을 제공해 다양한 산업군에서 신뢰받는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친환경 에너지와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자동화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갠트리 로봇 자동화는 갠트리 시스템에 공정 로봇을 결합해 부품의 이동과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솔루션이다. 이 시스템은 자동차, 2차전지, 반도체 등 정밀하고 복잡한 공정과 대형 부품을 다루는 산업 분야에서 주로 활용된다. 특히 자동차 부품 공정에서는 내연기관용 파워트레인 부품 및 전기차 부품 가공 라인의 물류 자동화를 Turn-key Base로 공급하며 대규모 양산 라인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최적화돼 있다. 시스템 내 비전 검사와 센서 기술을 적용해 실시
에임시스템(AIM System)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공장자동화를 최적화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넥스비(NexBee)’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임시스템은 공장 내 설비와 운영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넥스비’를 통해 설치부터 운영까지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키지 솔루션을 소개했다. 넥스비는 설비 및 설비 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여 생산운영, 설비보전, 모니터링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즉각적인 데이터 처리 및 운영 최적화를 통해 공장 자원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시회 현장에서 에임시스템은 전시 부스에서 넥스비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성능과 운영 최적화 기능을 시연하며 제조업체 및 공장 운영 기업들이 스마트팩토리 전환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비앤에프테크놀로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운전정보시스템 HanPrism을 선보였다. 비앤에프테크놀로지는 2000년 설립 이후 플랜트 운영과 관리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개발해왔다. 운전정보시스템과 예지보전 솔루션을 자체 개발해 국내외 플랜트 산업에 적용했으며 2009년 인도 지사를 설립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사우디아라비아를 시작으로 미국, 쿠웨이트, 말레이시아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2016년에는 미국 법인 HanAra Software를 설립해 북미 시장 공략을 강화했다. 현재 비앤에프테크놀로지는 플랜트 설비와 공정 상태를 감시 및 제어로 이상 징후 감지와 성능 분석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로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HanPrism은 방대한 양의 실시간 및 과거 플랜트 운영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집·저장·분석해 DCS의 왜곡 없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고성능 운전정보시스템이다. 국제 표준 프로토콜인 OPC UA/DA를 지원하며 기존의 특정 밴더 자동화 시스템(DCS, PLC, SCADA)뿐만 아니라 MES·ER
키엔스코리아(KEYENCE Korea)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 기반 바코드 리더기 ‘SR-X 시리즈’와 초광시야·초심도 물류 코드 리더기 ‘SR-5000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키엔스코리아는 산업 및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 코드 판독의 정확성을 극대화하는 AI 기반 바코드 리더기 솔루션을 공개하며 다양한 공정과 물류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했다. SR-X 시리즈 AI 바코드 리더기는 기존 모델 대비 체적을 72% 줄인 초소형 설계로 다양한 생산 공정에서 공간 제약 없이 설치할 수 있다. AI 및 최신 디코더를 탑재하여, 공정을 거치며 변화하는 코드 상태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판독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공정부터 후공정까지 코드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학습하여 생산성과 정확도를 동시에 향
아나로그디바이스(ADI)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지능형 모션 제어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ADI는 모션 제어를 위한 새로운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정밀 측정과 안전 절연, 전력 관리부터 일관된 성능의 산업용 이더넷과 자기 위치 센서 및 머신 상태에 이르기까지 ADI는 고객이 지속 가능한 차세대 첨단 모션 제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DI의 Trinamic은 디지털 정보를 정밀한 물리적 모션으로 변환하는 고성능 모터 제어 솔루션이다. 특히 로봇공학, 3D 프린터, 산업자동화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제품은 스텝 모터 드라이버, BLDC 모터 드라이버, 모션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되며 고속 정밀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
헵코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벡호프의 XTS 시스템과 호환되는 GFX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헵코모션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GFX(Guidance System for Beckhoff XTS)는 이송 중 발생하는 가속 및 감속 시의 힘을 흡수하여 시스템 수명을 연장하고, 정확한 위치 정밀도를 제공한다. 또한 XTS와 GFX의 결합으로 다양한 모션 프로파일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유연성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고 밝혔다. 한편, 헵코모션은 V 가이드 기술 기반으로 생산성 높이고 다운타임 줄이는 솔루션 만들어서 전 세계 63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PRT2, HDRT 등 곡선 운동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솔루션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전자·자동차 같은 산업에서 주로 쓰여 벡호프(Beckhoff
엠엠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사의 스마트 스테이지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엠엠티는 자동 정밀 스테이지, 수동 정밀 스테이지, Q센서, 드라이버 컨트롤러 등을 전시했다. 이 가운데 스마트 스테이지란 단순 스테이지 공급에서 벗어나 간편한 제어까지 한 번에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한 올인원 시스템이다. UVW(XYθ축)스테이지와 Q센서(3D 엔코더), 일체형 드라이버 컨트롤러의 결합으로 기존 UVW스테이지 대비 높은 사양 수준, 작은 사이즈, 간편한 제어를 가능하게 해 준다. 중앙 제어 시스템이 아닌 자율 제어를 통해 스테이지가 스스로 위치 제어기능을 수행하며 이송 오차에 대한 Self-Calibration 기능도 탑재했다. 스테이지 기구물의 경우 140*140mm부터 1000*1000mm 이상의 다양한 사이즈로 고객
단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소프트 그리퍼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그리퍼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그리퍼인 공압 그리퍼, 전동 그리퍼, 진공 패드 등은 종종 픽업 물체의 모양, 유형, 위치 등과 같은 요소들에 영향을 받아 물체를 원활하게 잡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단해가 소개한 소프트 그리퍼는 폴리머 실리콘 유연 재료로 제작돼 물체를 부드럽고 손상 없이 잡을 수 있으며 매우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제품과 접촉할 때 크기, 모양, 재질 등에 대한 사전 조절 없이 대상 물체를 유연하게 잡을 수 있다. 기존의 그리퍼와 비교해 제품의 크기와 모양에 대한 제한이 크지 않다. 단해는 “공압 제어 콘드롤러와 소프트 그리퍼를 사용해 로봇암과 같은 이동 매커니즘과 함께 그리퍼 시스템을 구성, 기존의 그리퍼가 픽업할 수
한국쯔바키모토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강도와 내구성을 갖춘 체인 시리즈를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한국쯔바키모토가 이번 AW 2025에서 공개한 체인 시리즈는 고강도와 내구성을 갖춘 체인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동력 전달용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제공되어 특정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고속반송이 가능한 프리플로우체인 역시 자리하고 있다. 한편, 한국쯔바키모토는 산업용 체인 및 동력 전달 제품 분야에 힘쓰고 있으며 드라이브 체인, 소형 컨베이어 체인은 물론, 대량의 물류 이송에 적합한 대형 컨베이어 체인부터 시작해 속도 조절과 토크 변환이 가능한 감속기, 변속기는 물론 동력의 전달과 차단을 제어하는 클러치 기능까지 주요 제품군으로 다루고 있다. 이번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
네모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한 복제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네모시스템이 소개한 EZ Dupe M.2 NVME 복사기 MK-II는 원본 1개의 데이터를 7개에 동시 복사할 수 있으며 직관적인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간편하고 신속한 복사가 가능하다. 1초당 32MB 빠른 속도로 복사 되며 빠른 삭제 기능이 있다. 독립 포트 설계로 동시 다중 복사가 가능하며 SSD M.2 NVME & M.2 SATA 인터페이스를 지원, 더 큰 호환성을 제공 한다. 산업용 컴퓨터 전문 회사로 국내 GIGAIPC 총판인 네모시스템은 산업용 PC와 임베디드 PC를 비롯해 키오스크, PPC, DID 등 산업현장 자동화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회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복제기 외에도 산업용 box pc, 산업용 메인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