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00억 원의 지원으로 4개월간 스마트생태공장 시스템 및 사업장 환경 구축 원익IPS는 지난 27일 한국환경공단에서 주관하는 스마트생태공장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스마트생태공장 구축 사업은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 재생산 에너지 활용, 온실가스 저감 등 오염 물질 배출 최소화를 실현하도록 친환경 공장을 구현하는 사업이다. 올해 6월 환경부 주관으로 한국환경공단에서 진행된 스마트생계공장 구축사업에서 원익IPS가 최종 선정돼 약 100억 원의 지원을 받아 4개월간 스마트생태공장의 시스템과 사업장내의 환경을 구축했다. 원익IPS는 이번 생태공장 구축 사업을 통해 전기 사용량 21만5476kWh, 폐기물 2832톤/년 저감 및 탄소 배출 5584tCO2/년 저감했다. 이 중에서도 제조에 사용된 물의 냉각수 재활용과 공장 습도 조절에 스팀에서 미스트 분사 방식으로의 변경, 공기압축동작 시 발생하는 열을 재활용해 공장 온도 유지에 이용, 절감해 온실 가스 및 환경오염 물질 저감의 벤치마킹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원익IPS의 이현덕 대표이사는 "환경을 생각하는 것은 기업이 가져야 할 중요한 사명감이다. 이런 기회를 갖게 된 것은 더 환경을 위해
새만금개발청 “현 정부 출범 후 민간투자 10조 달성” 이차전지 관련 기업 2곳이 전북 새만금 산단 투자를 결정했다. 이로써 민간투자 10조 원 유치 목표가 달성됐다. 27일 새만금개발청과 전북도에 따르면 미래커롱에너지와 백광산업은 각각 ‘양극재용 전구체 및 황산니켈’ 생산시설, ‘이차전지용 전구체 및 반도체 소재’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식을 개최했다. 미래커롱에너지는 미래나노텍과 중국 커롱뉴에너지가 공동 설립한 회사다. 새만금 산단 19만㎡(약 5만 8000평) 부지에 8000억 원을 투자한다. 착공 목표는 내년 1분기 중이며 약 650명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백광산업은 10만㎡(약 3만 2000평) 부지에 3000억 원을 투자한다. 내년 상반기 중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며 신규 채용 인력은 390명이다. 국내 전해질염 기업에 삼염화인과 오염화인 10만 톤을 공급하고 전구체 소재(가성소다 및 고순도 염소)와 반도체 소재(삼염화붕소) 등을 생산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삼염화인과 오염화인은 중국으로부터 전량 수입해 왔으나 이번 투자로 수입량의 대부분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일본에서 수입해 오던 반도체 공정 핵심 가스인 삼염화붕소도 국산
머신비전은 분석과 신속한 의사 결정을 위해 시각적 정보를 캡처하는 이미징 기술을 활용하여 공장의 눈 역할을 한다. 머신비전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결함 감지, 물체 정렬, 부품 위치 및 측정, 생산 제어를 위한 자동화 로봇의 안내이다. 오늘날 전 세계 머신비전 시장은 140억 달러가 넘는다고 시장조사기관들은 예측한다. 머신비전 카메라, 렌즈, 프레임 그래버,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의 연간 성장률은 약 8%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머신비전 시장의 성장은 다양한 혁신기술의 융복합이 기인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결국 머신비전과 혁신기술의 융합은 머신비전 시장을 확대하면서 이 산업에 공급업체에게 새롭고 흥미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제조업체는 머신비전 기술 도입을 통해 스마트제조 혁신으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된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외 머신비전 기술 트렌드를 살펴보고, 머신비전 기술의 성공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 발표 주제 : Machine Vision 에 특화된 AI – Auto Trainer ▷ 발표 : 코어이미징 이정우 교수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머신비전은 분석과 신속한 의사 결정을 위해 시각적 정보를 캡처하는 이미징 기술을 활용하여 공장의 눈 역할을 한다. 머신비전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결함 감지, 물체 정렬, 부품 위치 및 측정, 생산 제어를 위한 자동화 로봇의 안내이다. 오늘날 전 세계 머신비전 시장은 140억 달러가 넘는다고 시장조사기관들은 예측한다. 머신비전 카메라, 렌즈, 프레임 그래버,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의 연간 성장률은 약 8%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머신비전 시장의 성장은 다양한 혁신기술의 융복합이 기인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결국 머신비전과 혁신기술의 융합은 머신비전 시장을 확대하면서 이 산업에 공급업체에게 새롭고 흥미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제조업체는 머신비전 기술 도입을 통해 스마트제조 혁신으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된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외 머신비전 기술 트렌드를 살펴보고, 머신비전 기술의 성공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 발표 주제 : 스마트 제조 – AI 비전과 모션 Solutions ▷ 발표 : 에이디링크 정충근 수석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머신비전은 분석과 신속한 의사 결정을 위해 시각적 정보를 캡처하는 이미징 기술을 활용하여 공장의 눈 역할을 한다. 머신비전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결함 감지, 물체 정렬, 부품 위치 및 측정, 생산 제어를 위한 자동화 로봇의 안내이다. 오늘날 전 세계 머신비전 시장은 140억 달러가 넘는다고 시장조사기관들은 예측한다. 머신비전 카메라, 렌즈, 프레임 그래버,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의 연간 성장률은 약 8%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머신비전 시장의 성장은 다양한 혁신기술의 융복합이 기인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결국 머신비전과 혁신기술의 융합은 머신비전 시장을 확대하면서 이 산업에 공급업체에게 새롭고 흥미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제조업체는 머신비전 기술 도입을 통해 스마트제조 혁신으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된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외 머신비전 기술 트렌드를 살펴보고, 머신비전 기술의 성공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 발표 주제 : 최신 머신 비전 카메라 기술의 혁신 - 더 빠른 GigE, 첨단 센서 및 3D ToF ▷ 발표 : 루시드비전 Brian Cha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머신비전은 분석과 신속한 의사 결정을 위해 시각적 정보를 캡처하는 이미징 기술을 활용하여 공장의 눈 역할을 한다. 머신비전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결함 감지, 물체 정렬, 부품 위치 및 측정, 생산 제어를 위한 자동화 로봇의 안내이다. 오늘날 전 세계 머신비전 시장은 140억 달러가 넘는다고 시장조사기관들은 예측한다. 머신비전 카메라, 렌즈, 프레임 그래버,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의 연간 성장률은 약 8%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머신비전 시장의 성장은 다양한 혁신기술의 융복합이 기인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결국 머신비전과 혁신기술의 융합은 머신비전 시장을 확대하면서 이 산업에 공급업체에게 새롭고 흥미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제조업체는 머신비전 기술 도입을 통해 스마트제조 혁신으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된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외 머신비전 기술 트렌드를 살펴보고, 머신비전 기술의 성공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 발표 주제 : 3D 어플리케이션 – PIN-CHECKER ▷ 발표 : 화인스텍 김현명 이사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머신비전은 분석과 신속한 의사 결정을 위해 시각적 정보를 캡처하는 이미징 기술을 활용하여 공장의 눈 역할을 한다. 머신비전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결함 감지, 물체 정렬, 부품 위치 및 측정, 생산 제어를 위한 자동화 로봇의 안내이다. 오늘날 전 세계 머신비전 시장은 140억 달러가 넘는다고 시장조사기관들은 예측한다. 머신비전 카메라, 렌즈, 프레임 그래버,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의 연간 성장률은 약 8%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머신비전 시장의 성장은 다양한 혁신기술의 융복합이 기인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결국 머신비전과 혁신기술의 융합은 머신비전 시장을 확대하면서 이 산업에 공급업체에게 새롭고 흥미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제조업체는 머신비전 기술 도입을 통해 스마트제조 혁신으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된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외 머신비전 기술 트렌드를 살펴보고, 머신비전 기술의 성공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 발표 주제 : 영상 이상 감지(Video Anomaly Detection) 기반 공정 모니터링 솔루션 ▷ 발표 : 세이지리서치 홍영석 부대표 헬로티 최재규 기자 |
K-콘텐츠를 주축으로 하는 생성형 AI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도입 논의 포티투마루가 네덜란드 국빈방문 경제사절단에서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하는 서유럽 초거대 AI 얼라이언스를 구축하고 다양한 경제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지난 12월 11일부터 3박 5일간 진행된 윤석열 대통령의 네덜란드 국빈방문에서 경제사절단으로 참가한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는 한-네덜란드 비즈니스 포럼을 시작으로 경제협력 네트워킹 리셉션, 사절단 초청 답례 문화행사 및 로테르담항 산업시찰까지 ICT 분야 경제 협력을 중심으로 공식 일정을 소화했다. 양국 기업 간의 AI 기술 및 경험 공유를 통해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고, 미래 지능화 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포티투마루는 네덜란드 대형 유통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K-콘텐츠를 주축으로 하는 생성형 AI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도입을 논의했다. 한국 라면의 급증하는 수요에 힘입어 K-콘텐츠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포티투마루의 생성형 AI 기술을 통해 네덜란드 현지 유통채널에서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는 대형 유통업체들은 소비자와 원활한 소통을 하며 고객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조선해양
우수에이엠아이 인수 후 자회사 편입해 ‘아이엘모빌리티’로 사명 변경 아이엘사이언스가 130억을 투입해 자동차 전장 부품기업 ‘우수에이엠아이(우수AMI)’의 지분 79%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1994년 설립된 우수에이엠아이는 자동차 램프용 렌즈 및 내외장 투명부품 제조분야의 기술력을 보유한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이다. 주요 고객사로는 에스엘(SL), 콘티넨탈, 대성엘텍 등이 있다. 아이엘사이언스 자회사로 편입 후 우수에이엠아이의 사명은 ‘아이엘모빌리티’로 변경될 예정이다. 아이엘사이언스는 이번 인수를 통해 열가소성(熱可塑性) 플라스틱•아크릴 소재 렌즈 성형기술을 추가 확보해 기존의 열경화성(熱硬化性) 실리콘 소재 렌즈의 디스펜싱(dispensing) 제조공법과 함께 고객사의 다양한 니즈에 모두 대응 가능하게 되었다. 아이엘사이언스가 인수 자금으로 투입하는 130억 원 중 100억 원은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우수에이엠아이의 기존 화성공장을 첨단 로봇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된 스마트팩토리로 전환 및 운영자금으로 쓰일 계획이다. 잔여 30억 원은 우수에이엠아이의 기존 최대주주인 모회사 ‘우수에이엠에스(우수AMS)’의 보유 지분 매입에 쓰이는데,
반도체 경기 회복에도 화학 등 일부 업종의 업황이 나빠지면서 12월에도 제조업 체감 경기는 부진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과 같은 70을 기록했다.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 8월 67에서 9월(68), 10월(69), 11월(70)까지 석 달 연속 오른 뒤, 이달에는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BSI는 현재 경영 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조사해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100을 밑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 경기 회복 기대감에 기타 기계·장비(+9p), 전자·영상·통신장비(+1p)의 체감 경기가 개선됐다. 그러나 중국산 저가 화학제품 공급으로 업황이 나빠지고 스프레드가 축소되면서 화학물질·제품(-6p)은 부진했다. 금속가공(-6p) 역시 전방산업인 건설 부문 경기 악화로 가공수요가 감소하면서 하락했다. 제조업 업황 BSI를 기업 규모·형태별로 보면 중소기업(+1p)과 내수기업(+2p)은 상승했으나, 수출기업(-5p)은 하락했다. 대기업은 전월과 같았다. 12월 비제조업 업황 BSI는 70으로 전월
실내외 자율주행 로봇 서비스 플랫폼 뉴빌리티가 올 한해 동안의 로봇배달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말 결산 리포트를 공개했다. 뉴빌리티는 복잡한 도심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 로봇 '뉴비'와 로봇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뉴비고', 주문 배달 애플리케이션 '뉴비오더'를 자체 개발한다. 올해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를 포함한 도심지, 골프장, 캠핑장 등 15개 사업장 내 배달 서비스를 운영하며 국내외 다양한 환경의 운행 데이터를 확보해왔다. 2023년 뉴빌리티의 자율주행 로봇이 수행한 배달 건 수는 4500여건으로 집계됐다. 배달 서비스 지역 중 가장 많은 주문량을 기록한 운영지는 진주 캠핑소사이어티로, 4월부터 12월까지 605건의 배달 주문 건 수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아메리카노가 가장 많은 주문량을 기록했으며 페퍼로니 피자와 캠핑용 장작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도심지 내 배달로봇에 대한 이용자들의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특히 지난 6월부터 12월까지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배달로봇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중 95%가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답하며 배달로봇에 대한 긍정적 역할에 동의했다. 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으로
다우데이타는 누보소프트웨어(Nubo Software)의 모바일 가상화 솔루션 'Nubo Client Version 3.2'가 국제공통평가기준(CC)인증을 획득했다고 28일 밝혔다. 국제공통평가기준은 정보 기술(IT) 보안 평가를 위한 국제 표준으로 다양한 국가에서 채택돼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절차를 제공하며, 제품 및 시스템의 보안 기능을 신뢰성 있게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또 전 세계 32개국 회원사 간 효력을 상호 인정하며, 품질과 일관성에 대한 지표로서 제품 품질의 우수성에 대한 국제적 공신력을 인정받는다. 모바일 가상화 전문 기업 누보소프트웨어는 이스라엘 국방부와 국영 방송국에 모바일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공공·금융·방산·일반 기업 등 10여개의 다양한 고객을 확보, 서비스하고 있는 모바일 보안 전문 회사다. 이번 누보소프트웨어의 국제 CC인증 취득은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Nubo Client Version 3.2 안드로이드 버전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전보다 더 안정된 세션 연결과 64비트 앱 호환성을 강화했으며, TLS 1.3 암호화 프로토콜과 관리 포털 한글화 지원 등 그동안 국내 고객들이 요구했던 기능을 추가했다. 누보소프
중소기업 경기 전망이 넉 달 연속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2∼19일 중소기업 3052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업황 경기 전망지수(SBHI) 조사 결과 내년 1월 SBHI가 77.5로 전달보다 1.3포인트 하락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지수 하락세는 넉 달째 이어졌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더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업종별로는 비제조업이 75.7로 2.1포인트 하락하고 제조업은 81.7로 0.8포인트 상승했다. 비제조업 중에서 건설업(73.2)이 5.0포인트 내렸고 서비스업(76.2)은 1.6포인트 하락했다. 12월 중소기업 경영 애로(복수 응답) 요인으로는 내수 부진(61.0%) 비중이 가장 높고 이어 인건비 상승(47.7%), 업체 간 과당경쟁(35.3%), 원자재 가격상승(32.7%) 등 순이었다. 11월 중소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9%로 전달보다 0.1%포인트 높아졌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마이데이터 분석해 적합한 펀드 등 제시 우리은행은 27일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예·적금, 대출, 펀드 등 상품을 추천하는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를 개시했다. 이 서비스는 AI 알고리즘으로 자산 규모와 재무 상태가 비슷한 사람들을 찾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 뒤 필요한 상품을 추천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현재 보유한 주식 종목, 최근 소비 내역 등 마이데이터를 분석해 AI가 가장 적합한 펀드 등을 추천해주는 기능이 핵심이라고 은행 측은 설명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MXM-M23B-E5, MXM-M23B-P7, MXM-M23B-P5 등 Intel Arc GPU 기반 MXM-M23B 시리즈 내놔 최대 12GB 용량, 192비트 GDDR6 메모리 탑재 지능형 비디오 분석·머신비전·스마트 헬스케어·지능형 교통·자율주행 등 애플리케이션에 특화 에이수스가 Intel Arc A시리즈 GPU 기반 IoT GPU 모듈 ‘MXM-M23B’ 시리즈 3종을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된 MXM-M23B 시리즈는 MXM-M23B-E5, MXM-M23B-P7, MXM-M23B-P5 등 3종으로 구성됐다. 각각 A730M, A570M, A530M 등 Intel Arc A시리즈 GPU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시리즈는 Xe-HPG 마이크로 아키텍처 기반으로, 최대 12GB 용량과 최대 192비트의 GDDR6 메모리를 적용했다. 인터페이스는 MXM 3.1 Type B 폼팩터 기반 PCle Gen4 x 16포트로 구성됐고, I/O는 해상도 4K, 주사율 60Hz 기반 DP포트 최대 4개를 제공한다. 이 중 MXM-M23B-E5는 Xe 코어 24개, 레이 트레이싱 유닛 24개, 매트릭스 엔진(XMX) 384개, 백터 엔진(XVE) 384개 등으로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