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웍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라인 스캔 카메라를 포함한 각종 산업용 카메라 및 렌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뷰웍스가 전시한 VT-16 모델은 하이브리드 TDI(Time Delayed Integration) 기술을 적용한 고감도·고속 TDI 라인 스캔 카메라로, CoaXPress 8채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높은 라인 레이트와 감도를 구현한다. 이 카메라는 CCD와 CMOS 이미지 센서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TDI 기술을 적용했으며, 16384 픽셀 해상도와 256배 높은 감도를 갖춘 동시에 최대 300kHz 라인 레이트를 제공한다. 뷰웍스는 고급 광학 설계 기술을 기반으로 초고해상도 산업용 카메라를 개발하며, 머신비전 분야에서 정밀한 품질 검사와 자동화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세계 최초 하이브리드 TDI 센서를 개발하여 C
여의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 컴퓨터와 네트워크 제품을 주요 솔루션으로 소개한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여의시스템은 이번 전시회에서 ‘당신의 AI 세계를 가속하다(Accelerate your AI Universe'를 주제로, AI 기반의 자동화 공정과 데이터 분석을 최적화하는 고성능 AI 컴퓨터를 선보였다. 여의시스템의 AI 컴퓨터는 공장 자동화(FA), 스마트폰 및 반도체 제조 공정, 물류, 지능형교통시스템(ITS) 산업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맞춤형으로 설계됐다. 이 컴퓨터는 AI 연산 성능을 극대화해 제조 공정의 자동화 속도를 향상시키고 데이터 분석을 최적화한다. 이와 함께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을 제공해 장기간의 공정 운영에서도 성능 저하 없이 지속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개별 산업 환경에 맞춰 설계돼 기존 시
이미지포커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속 라인 스캔 카메라 및 각종 산업용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미지포커스는 각종 산업용 카메라,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제품들을 전시했다. Boshi Pixel의 고속 라인 스캔 카메라는 CoaXPress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설계되어 고해상도, 고속 촬영,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 머신 비전 카메라다. 표준 제품뿐 아니라 고객 맞춤형 개발 및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정밀한 검사와 이미징 솔루션을 지원한다. 이미지포커스는 2003년 설립된 머신비전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카메라, 보드, 렌즈, 조명,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제품을 공급한다. 반도체, OLED, SMT 생산 장비 분야에서 무인 생산 및 검사 장비에 적합한 고해상도 카메라 및 머신비전 제품을 제공하며, 엔
삼인이엔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진공흡착방식의 운송장비 ‘플렉스리프트’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삼인이엔지의 플렉스리프트 SAV-TYPE은 진공흡착방식으로, 간단한 조작방식과 빠른 작업속도로 반복적인 작업에 효과적이다. 조립 및 물류운반, 적재가 있는 어느 곳이든 활용 할 수 있는 신개념의 운송장비다. 간단한 툴 체인지로 다양한 제품의 운반, 적재 공정에 활용할 수 있으며 반복작업으로 인한 부상과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삼인이엔지는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물건을 들어서 옮길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을 공급하고 있다. 회사는 “당사의 제품들은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되어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직원들의 건강을 지키며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며 “현장의 니즈에 맞춤 솔루션을 통해 고객 만족을 실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AW
3M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센서 및 MDR 커넥터,머신비전 케이블 어셈블리 등 공장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3M은 이번 전시회에서 높은 내구성과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커넥터 솔루션을 전시했다. 컴팩트한 사이즈의 3M MDR 커넥터는 디자인 유연성을 위한 다양한 폼 팩터를 제공한다. 3M SCR & IEEE 1394 커넥터는 열악한 환경에 대한 뛰어난 내구성이 특징이며 진동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한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2025 AI 자율제조혁신포럼, 2025 산업 지능화 컨퍼런스, AI 머신비전 기술 세미
진성나노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금속 감지에 최적화된 고정밀 유도 센서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진성나노텍은 이번 전시에서 금속성 물체 감지에 최적화된 유도 센서 기술을 공개하며 산업용 자동화 및 로봇 공학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강조했다. 유도 센서는 내구성이 뛰어나며 환경적 요인에 강한 저항성을 갖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도 센서는 엔드 포지션 감지에 탁월한 성능을 제공하여 플랩, 도어, 잠금 장치 등의 안정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충전 장비의 뚜껑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금속 플래그를 정확히 감지하며 그리퍼의 엔드 포지션을 결정하는 등 정밀한 작업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진성나노텍의 유도 센서는 높은 반복성으로 정밀한 감지를 보장하며 단순한 설계와 간편한 시운전을 통
트윔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팜 비즈니스를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지난 2023년, 트윔은 본격적으로 스마트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트윔은 종자원 육묘업 등록으로 정식 판매를 진행하며, 총 10만 평 이상의 농가에서 자사가 생육한 육묘로 테스트를 진행한 바 있다. 또한, 완전 자동화 시스템 구축으로 활용도를 높여,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 진출하겠다고 언급했다. 트윔의 자동 육묘 시스템은 파종부터 정식 전까지 최적의 광량, 풍량, 온습도를 자동 제어해 종자가 우량묘로 자라게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병충해 차단 온실, 육묘 실시간 모니터링, 출하 관리 등을 수행한다. 이뿐 아니라 수직 농장 시스템, 식물 접목 자동화를 더해 자동화로 구현된 스마트팜 체계를 실현한다. 앞서 트윔은 스마트팜 연구개발에 있어 선행연구팀을
고성엔지니어링(대표 최창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On Device Offline AI 기술이 적용된 인지형 로봇 MOMA, 스마트체어, 온열치료기 등 다양한 로봇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고성엔지니어링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 On Device Offline AI 기술은 로봇이나 기타 무인 장비에 AI 기반 운영 모델을 내장하여 인터넷 연결이 없는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독립적으로 안전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 의존 없이도 자율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데이터로 효율적인 명령을 전달할 수 있어 산업용 로봇뿐만 아니라 의료 및 이동 보조 기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고성엔지니어링의 인지형 로봇 MOMA는 이동식 협동 로봇(Mobile Manipulator)으로 복잡한 제조 공정에서도
에이치앤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여해 AI 기반 로봇 팔 비전 기능의 AI Cobot을 선보였다. 에이치앤티는 전시에서 AI 기반 로봇 팔 비전 기능의 AI Cobot을 선보였다. AI Cobot은 포지셔닝, 식별, 측정, AI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5M 컬러 카메라와 자동 초점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으며, 내장형 광원을 지원하여 정밀한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산업 자동화, 검사, 물류, 용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며, 정확도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에이치앤티는 국내외 자동화 기기 관련 센서 및 부품을 수입·공급하는 기업으로, 산업 자동화 전반에 걸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20년 이상의 측정 기술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장 자동화 설계부터 제작, 전장설계 및 설치까지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한다. 산업용 케이블, 커넥터, 센서, 엑츄에이터 등 자동화 기초 부품부터 케이블 하네스 및 전장 설비까지 폭넓은 제품군을 취급하고 있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
랩투마켓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CRA 시리즈 협동 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랩투마켓이 소개한 CRA 시리즈 협동 로봇은 산업 자동화를 위한 고성능 로봇 솔루션이다. 이 시리즈는 다양한 크기와 하중 용량을 갖춘 여러 모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산 환경에서 높은 유연성과 효율성을 제공한다. 각 로봇은 정밀한 위치 제어와 강력한 내구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4개의 디지털 입력 및 출력(DI/DO) 기능을 포함하고 다중 통신 프로토콜(Modbus TCP/IP, Ethernet/IP, PROFINET 등)을 지원해 공장 내 다양한 시스템과의 연계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및 맞춤형 안전 기능이 적용되어 작업 환경에 따라 최적화된 동작이 가능하다. 랩투마켓은 공장이나 물류창고 등
콩가텍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14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코드명 랩터 레이크 S 리프레시, Raptor Lake-S/RPL-S Refresh) 기반의 새로운 하이엔드 COM-HPC 컴퓨터 온 모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콩가텍은 임베디드 및 에지 컴퓨팅 기술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이번 전시에서 conga-HPC/cRLS 컴퓨터 온 모듈을 확장해 설계한 최신 COM-HPC 모듈을 공개했다. 해당 모듈은 산업용 워크스테이션 및 일부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성능 기록을 갱신하며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새로운 COM-HPC 모듈은 인텔의 14세대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성능이 대폭 향상됐다. 인텔 코어 i7-14700 프로세서 기반 모델의 경우 이전 세대(i7-13700E) 대비 4개의 추가 E코어가 탑재되
씨메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3D 비전과 AI, 로봇을 활용한 물류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씨메스의 랜덤 박스 팔레타이징 솔루션은 사전정보 없이 다양한 크기의 박스 적재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AI 비전 인식 성능으로 다양한 규격의 박스 처리 시 별도의 박스 정렬 공간 및 설비가 필요없다. 적재 상황을 AI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위험 요소를 감지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믹스드 케이스 팔레타이징 솔루션은 무작위로 출고되는 제품을 3D 비전과 AI로 인식하고 팔레타이징 AI 알고리즘으로 생성한 최적의 적재 패턴대로 로봇이 팔레트 위에 적재하는 지능형 물류 로봇 자동화 시스템이다. 이 솔루션은 다양한 규격의 제품 박스가 순서 없이 컨베이어를 통해 피킹 존으로 이동하며, 박스 정렬 없이 피킹 존으로 박스 이동 후
페스트펜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 시스템에 최적화된 안전 펜스 ‘FEST FENCE’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페스트펜스 시스템 규격은 750, 1000, 1300, 1500, 1800, 2000, 2200mm이며 판넬과 포스트는 고객의 요청의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기계, 설비에 맞는 구조변경이 가능하며 현장에 맞는 다양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사전 현장 실측을 통해 시공 현장에서 바로 조립이 가능한 상태로 출고되어 정확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독일의 바우하우스 디자인의 영감을 받아 제작된 페스트펜스는 4대 독성 중금속 테스트를 완료했으며 향균 기능을 첨가한 특수 플라스틱 코팅으로 무독성 향균 기능이 장점이다. 또한 자외선 변색에 강하며 녹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
파인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각종 스테이지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파인텍은 매뉴얼 스테이지, 로터리 스테이지, 고니오미터 스테이지, 도브테일 스테이지, 모터라이즈드 리니어 스테이지, 모터라이즈드 얼라인 스테이지(UVW) 등을 선보였다. 모터라이즈 스테이지는 모터로 구동되는 스테이지로, 장비의 경량화와 고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파인텍은 스테이지 전문 제조 및 기술 개발 업체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제품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기술 경쟁력과 품질 향상을 목표로 제품을 공급하며, 철저한 사전·사후 관리 및 기술 지원을 통해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
씨크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 현장에 제안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씨크코리아는 UWB 실시간 위치 결정 솔루션, 3D 스냅샷 카메라 Visionary B Two, 타이어 핸들링 머신 비전 시스템 PLB 등을 선보였다. 특히 방문객이 직접 SICK의 센서를 경험할 수 있는 체험존을 운영해 눈길을 끌었다. 이곳에서는 사람과 물체를 감지하고 코드를 읽는 센서 솔루션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Master Data Analyzer Vision을 통해 단 하나의 작업만으로 다양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씨크코리아는 2002년 독일 SICK AG와 합작으로 설립돼 광전센서, 레이저센서, 근접센서, 엔코더, 안전센서, 바코드 스캐너, 머신비전 등의 종합적인 산업용 센서 라인업을 국내 유수의 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