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인덕션 기어드 AC 모터를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는 브라더 공업의 한국 지사로 프린팅 부문과 기어 모터 부문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룹사인 NISSEI Corporation은 브라더 GTR 제품을 제조·생산하며 기어 모터 사업과 기어 사업으로 구성된 브라더 그룹의 기계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브라더 GTR은 기계·FA 산업에 인덕션 기어 모터, IPM 모터, BLDC-DC 모터, 감속기 및 정밀 기어 제품을 GTR 브랜드로 공급한다.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는 에너지 효율성과 안정성이 높은 고효율 인덕션 기어드 AC 모터를 선보였다. 해당 솔루션은 CE·UL·CCC 등 국가별 인증을 통합 취득해 글로벌 시장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ISO 9001/14001 인증을 획득한 이
히오키코리아가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에 출격한다. 이 자리에서 다양한 전기 계측 솔루션을 선보인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히오키는 전기 계측기 전문 제조사다. 대표 제품군으로는 자동 시험 장치, 기록 장치, 전자 측정기, 현장 측정기 등 네 가지다. 여기에 직접적인 연구개발(R&D)부터 설비 기기 유지보수까지 올인원 역량을 갖추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분체 임피던스(Impedance) 측정 시스템, 배터리 임피던스 미터, 배터리 테스터, 전극 저항 시스템, 파워 아날라이저, 절연 저항 시험기, 초절연계, 직류 전압계, 저항계,
세한이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 전시부스에서 에어 샤프트, 로터리 조인트를 비롯한 다양한 솔루션을 전시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세한은 에어 샤프트와 로터리 조인트를 기반으로, 생산 설비부터 시험 설비까지 품질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세한 제품은 최첨단 맞춤화(Customizing) 기술을 접목해 각종 사양의 에어샤프트 완전 수주 생산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로타리 조인트도 수준 높은 품질 관리를 통해 표준화된 제품을 공급하는 중이다. 올해는 강관·알루미늄 등으로 소재가 세분화된 에어 샤프트와 더불어, 볼·베어링 등 형태가 구분된
이스라비젼이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배터리 생산에 최적화한 검사 시스템 'SMASH'를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이스라비젼이 전시회에서 선보인 SMASH는 메인 라인 공정 최적화뿐 아니라 커팅 라인의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시스템으로, 특히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HDR) 기술을 적용해 기존 검사 시스템에서 놓칠 수 있는 미세 결함까지 안정적으로 탐지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HDR 기술은 픽셀 크기 미만의 초미세 결함까지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며, 특히 홀(hole)과 옅은 반점을 명확하게 구별해 정량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조사는 소재 표면에 나타나는 작은 얼룩이나 홀을 정확히 분류하고 관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소재의 최종 품질과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하게 된다. SMASH의 또 다른 강점은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수율 관리 기능이다. EPROMI
플라스마트리트(Plasmatreat)가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에서 플라스마 기술을 통한 배터리 모듈 조립 장면을 연출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플라스마트리트는 소재 표면의 전처리를 위한 대기압 플라스마 시스템을 개발·제조하고 있다. 플라스틱·금속·유리·종이 등 각종 소재에 산업용 플라스마 기술을 적용해, 표면의 특성을 공정 요구에 맞게 부여한다. 특히 Openair-Plasma® 기술은 대부분 산업의 자동화 공정에 활용되며, 후속 공정은 접합·도색·인쇄·개스킷팅 등을 다룬다. 인터배터리 부스에서는 Openair-Plasma® 기술을 활
가스디엔에이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2차전지 리크 감지기를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가스디엔에이는 2004년 창립 후 가스 측정기 및 적외선 온도계 솔루션을 지원하는 정밀 계측기 전문 기업이다. 국내 최초 적외선 온도계를 선보인 이래 특수가스, SMOKE&ODOR 경보기, IAQ 측정용 가스경보기, 휴대용 가스 검지기 등 다양한 산업용 안전장비를 개발 및 제조해 전 세계 20여 개국 대상으로 수출하고 있다. 가스디엔에이는 이번 전시회에서 2차전지 리크 감지기 ‘BLD-1000’을 선보였다. 이 제품은 비분산적외선(NDIR) 방식으로 최대 100PPM까지 배터리 누액을 감지할 수 있으며, 0.1PPM의 정밀한 해상도를 제공한다. 자동 흡입(Auto Suction) 방식으로 작동해 응답 시간은 7초 이내로 빠른 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7인치 TFT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측
초성전자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비접촉식 온도측정 기술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초성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적외선 온도계,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등 자사가 공급하는 제품들을 다수 소개했다. 옵트리스 사에서 제공하는 설치형 열화상 카메라 'PI 05M'은 500㎚부터 540㎚의 짧은 측정 파장대를 갖췄으며, 온도범위는 900℃에서 2450℃다. 이외에도 빠른 프로세스를 위한 최대 1 kHz의 프레임율, 하이 다이내믹 CMOS 감지기와 최대 764 x 480 픽셀 해상도, 실시간 아날로그 출력과 1ms 반응시간 등을 특징으로 삼는다. 비접촉식 설치용 적외선 온도계인 'CS vision R1M'의 경우 모터 구동식 포커스와 최대 150:1의 높은 해상도를 갖춘 비율 온도계가 내장돼 있다. 비디오 및 십자선 레이저를 사용해 정확하고 손쉬운 조준이 가능하며, 밝은 물체 측정시 2단계 전
금산엠엔이가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다양한 협력을 바탕으로 한 솔루션을 공개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금산엠엔이는 전 세계 각종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력 솔루션을 보유했다. 이번 전시장에는 캠 스위치(Cam Switch), 압력 및 온도 스위치(Pressure & Temperature Switch), 중작업용 릴레이(Heavy Duty Relay),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 압력 버튼(Push Button), 조종등(Pilot Light), 케이블 엔트리 시스템(Cabl
글로벌 엔지니어링 업체 ABB가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에 부스를 마련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ABB는 글로벌 전기화·자동화 기술 업체로,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 자원 활용을 비전으로 한다. ABB 관계자에 따르면, 엔지니어링 및 디지털화 역량은 다양한 산업이 최고 수준으로 운영되며, 고객사가 효율·생산적이면서도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경험하도록 지원한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전자개폐기 ‘GF 1500 V DC’, 스위치 단로기 ‘OTDC 1500 V DC’, 전동식 스위치 단로기 ‘OTM 1500 V DC’ 등 ESS 1500V DC 솔루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컨슈머 및 산업용 기기를 IoT에 손쉽게 연결하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STM32 저전력 근거리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새로운 STM32WBA6 시리즈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웰니스 모니터, 동물용 목걸이, 전자식 잠금장치, 원격 기상 센서 등과 같은 스마트 연결 기기에 사용된다. 이 새로운 MCU는 추가 메모리와 디지털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에너지 효율성을 유지함으로써 새로운 제품 설계에서 더욱 풍부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STM32WBA6 MCU에는 암호화 가속기, TrustZone 격리(isolation), 랜덤 생성기 및 제품 생애 주기 등과 같은 SESIP3 및 PSA Level3 인증 가능한 보안 자산이 내장되어 있어 ST 고객들이 향후 RED 및 CRA 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패트릭 에이둔 ST 범용 MCU 부문 사업본부장은 “강력하고 표준화된 무선 커넥티비티는 IoT 성공에 필수적이다. ST의 새로운 STM32WBA6 MCU는 풍부한 기능과 더 큰 메모리 용량을 제공해 스마트 홈, 헬스케어, 공장, 농업 분
온세미, 협상 장기화로 인해 공개적으로 인수 의사 밝혀 온세미가 자기 센싱 및 전력 IC 분야의 강자인 알레그로 마이크로시스템즈(이하 알레그로)를 인수하기 위해 주당 35.10달러의 현금 매입을 제안했다고 공개했다. 이를 전체 기업가치로 환산하면 약 69억 달러(약 9조 원)에 달한다. 온세미가 최근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이번 제안은 지난 2024년 9월 처음 제안한 주당 34.50달러보다 인상된 금액으로, 알레그로의 주식 종가(2월 28일 기준) 대비 약 57%의 프리미엄을 반영한 수준이다. 이는 온세미가 알레그로 인수에 대한 의사를 시장에 공식적으로 알리기 이전의 기준이다. 온세미는 지난 6개월간 알레그로 측과 비공개 협의를 추진했으나, 협상이 장기화하자 공개적으로 인수 의사를 밝히며 알레그로 이사회가 적극적으로 협상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온세미의 하산 엘 코우리 CEO는 “두 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 포트폴리오가 상호 보완적이며, 양사의 결합은 자동차, 산업 및 AI 데이터 센터 등 핵심 분야에서 의미 있는 시너지를 가져올 것”이라며 인수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온세미는 이번 인수를 통해 알레그로가 보유한 자기 센싱 및 전력 IC 분야의 선도적인 기술
우리종합계측기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배터리 테스트 장비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우리종합계측기는 전기·전자·환경계측기기를 수입 유통 및 제조하는 기업으로 50개 유통망을 보유해 METREL, DV POWER, TESTOOL 등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를 취급한다. 전력품질분석기, 전기차 충전기 시험기, 열화상카메라 등 다양한 제품군을 제공하며 30년 이상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리종합계측기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BLU-C 시리즈는 니켈 및 리튬 기반 배터리의 용량 시험과 온도 조절 시험이 가능한 고성능 장비다. 특히, 최대 300A 및 42kW의 방전 전력을 지원하 3.0~800Vdc의 배터리 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하다. 7인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셀 및 셀간 전압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 중단 시에도 데이터
AI 반도체 '에리스', '레귤러스' 중심으로 라이브 데모 선보여 모빌린트가 지난 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 참가해 유럽 시장 진출의 기반을 다졌다. 모빌린트는 이번 전시에서 온프레미스 환경에 최적화한 AI 반도체 '에리스(ARIES)'와 온디바이스 AI용 시스템온칩(SoC)인 '레귤러스(REGULUS)'를 중심으로 다양한 라이브 데모를 선보였다. 특히 에리스를 탑재한 MLA100(NPU PCIe 카드)을 이용해 복잡한 언어 모델을 실시간으로 구동하며 저전력과 높은 안정성을 갖춘 엣지 기반 대규모 언어모델(LLM)과 음성인식(STT) 기술 시연을 진행했다. 이와 함께 모빌린트는 레귤러스를 활용해 얼굴 감지, 객체 탐지, 자세 추정 등의 응용 기술을 공개했다. 드론과 로봇, AI CCTV, AIoT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적의 성능을 구현하는 저전력, 고성능 AI 솔루션을 강조하며, 유럽 현지 기업으로부터 기술 문의와 샘플 요청을 받았다. 특히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스포츠 영상 분석, AI 콜센터 등 유럽 주요 산업 분야 관계자가 부스를 방문해 관심을 보였다. 국내 정부 관계자들 역시 모빌린트 부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는 엔지니어들이 혁신적인 물리적 솔루션을 처음부터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광범위한 하드웨어 프로젝트 리소스 센터를 제공한다고 7일 밝혔다. RISC-V와 같은 오픈소스 아키텍처를 비롯해 마이크로컨트롤러, 센서,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첨단 부품들이 공급됨에 따라, 엔지니어들이 특정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맞춤형 하드웨어를 개발하기가 그 어느 때보다 더 용이해졌다. 엔지니어들은 이러한 솔루션을 이용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기상 관측장비 구현에서부터 로봇 및 웨어러블 기기 설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됐다. 마우저 온라인 리소스 센터는 이러한 프로젝트들을 비롯해 다양한 하드웨어 개발 사례를 다루고 있다. NXP의 FRDM-MCXN947을 활용한 스마트 엣지 ML(Smart Edge ML) 프로젝트는 엣지 기기에 머신러닝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이 프로젝트는 컴퓨팅 능력을 로컬 기기로 이전함으로써, 지연시간과 개인정보보호 및 대역폭 문제를 해결하고, 실시간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젝트에는 신속한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 NXP의 MC
유비리서치가 ‘2025 소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각각 8.34억대와 2400만대로 집계됐다. 2023년의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각각 6.55억 대와 2200만 대였다. 삼성전자의 rigid OLED 사용량 확대와 중국 패널 업체들의 flexible OLED 출하량 증가로 인해 2024년의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 합계는 전년도에 비해 27% 증가했다. 2025년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각각 9.1억 대와 3080만 대로 예상돼 2024년 대비 스마트 폰은 9%, 폴더블 폰은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중국의 스마트폰과 폴더블 폰용 OLED 출하량은 4.9억 대로, 한국의 4.51억 대에 비해 출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리서치는 2026년부터 애플에서 폴더블 OLED 폰을 출시할 전망에 따라 폴더블 폰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2026년에는 스마트폰용 및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이 10억 대, 2029년에는 13억 대를 돌파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형 OLED 출하량이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