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원광기술이 SCM FAIR 2025에서 디지털 현미경을 전시해 눈길을 끌었다. SCM FAIR 2025는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IT 서비스),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시원광기술은 광학 장비 및 부품 설계·제조 기업이다. 디지털 현미경, 광학 기기, 머신 비전 시스템 등 다양한 광학 장비를 설계·제조하며 렌즈, 프리즘, 필터, 미러, 윈도우 등 광학 부품을 생산 및 공급하고 있다. 의료용, 산업용, 실험·실습용 등 광학 전 분야에서 고객의 사양에 맞춰 최적화된 설계와 맞춤형 개발을 지원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디지털 현미경 ‘DIMIS T100A’는 Infinity Corrected Objective Lens 적용 장비로서 튜브 렌즈 초점을 100mm로 적용했다. 대물렌즈의 배율 대비 0.5배화 해 좀더 큰 FOV
IBC·FLC RTP 용기 중심으로 액체 운송 손실 줄이고 재사용 패키징 구현 삼진브릿지가 SCM FAIR 2025에서 액체포장의 스마트 솔루션을 선보였다. SCM FAIR 2025가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삼진브릿지는 Hore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국내에 액체운송용 RTP(Returnable Transport Packaging)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WASTE ZERO, LOSS ZERO”를 목표로 무게는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성을 높이는 신소재 및 설계 기술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재활용 가능한 재료 사용과 CO₂ 배출 저감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삼진브릿지는 액체포장의 스마트 솔루션을 중심으로 부스를 구성했다. 제품군에는 IBC(Intermediate Bulk Cont
플라스틱 제설적재함으로 제설 및 수거 작업 효율성과 환경성 동시에 강화 오토코리아가 SCM FAIR 2025에서 플라스틱 제설적재함 솔루션을 선보였다. SCM FAIR 2025가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오토코리아는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수거 용기 개발에 특화된 기업으로 2002년 독일 OTTO사로부터 독립한 이래 국내 자본으로 사업을 이어오고 있으며 대형 분리수거 용기 생산에서 쌓은 노하우가 풍부하다. 스마트팩토리 3단계 자동화 설비 도입 및 사출기와 독일 KUKA사의 대형 로봇을 활용한 설비 투자를 통해 품질과 생산 효율을 높여왔다. 이번 전시에서 오토코리아는 특히 플라스틱 제설적재함을 중심으로 전시 부스를 마련했다. 이 제품은 제설 작업 시 적설된 눈을 담아 옮기는 용도로 설계되었으며 가벼운 플라
브라이센코리아가 SCM FAIR 2025에서 클라우드형 창고 관리 시스템 ‘COOOLa’를 소개했다. SCM FAIR 2025는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IT 서비스),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2017년 설립된 브라이센코리아는 다양한 비전 처리 기술과 AI 솔루션을 제공하며 커스터마이징을 통한 기업별 맞춤 형태의 DX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디지털카메라 서비스 부문에서 디지털카메라, 스마트폰, 카메라 제어용 IP 등 화질 개선 관련 파이트라인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전환 부문에서 사용자들과 원활한 소통을 통해 고품질의 제품과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COOOLa는 고객의 창고 운영 프로세스에 맞춘 커스터마이징과 다국어를 지원한다. 구성품의 조합과 수량 관리는 자동화해 출하 미스를 방지하고 클
이타코리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이동식 로봇 랩핑기로 포장 자동화의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SCM FAIR 2025가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IT 서비스),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타코리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이동식 로봇 랩핑기(Robot Wrapping Machine)를 선보였다. 이 장비는 제품의 크기, 형태, 중량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품질로 랩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동식 바퀴가 장착되어 실내외 어디서든 작업이 가능하며, 초보자도 간단한 컨트롤 패널 조작만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세계 유일의 MAST(랩핑기둥) 접힘 기능을 갖추고 있어 보관과 이동이 편리하다. 한편, 이번 행사 기간에는 SCM FAIR와 함께 국내 유일의 특화망 기술 산업전인 PNT FAIR 2025가 동시 개최되며 ‘Rebuild the Ne
이패키징이 친환경 포장 혁신 솔루션 3종, ‘BoxLatch·AirBack·FasFil’을 선보였다. SCM FAIR 2025가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IT 서비스),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패키징은 이번 전시회에서 친환경 포장 혁신 솔루션을 공개했다. 먼저 BoxLatch는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자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클립형 포장 잠금 장치로, 포장재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인 재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AirBack은 공기를 주입해 사용하는 충전식 완충재로, 가볍고 공간 효율성이 뛰어나 운송 과정에서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FasFil은 친환경 종이 완충재 시스템으로, 비닐 대신 종이를 사용해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재활용이 가능해 지속가능한 포장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패키징은 이러한 제품들을 통해 친환경과 경제성을 동
한국물류시스템이 SCM FAIR 2025에서 지게차, 파렛트트럭 등 다양한 물류장비를 전시해 눈길을 끌었다. SCM FAIR 2025는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IT 서비스),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한국물류시스템은 제조부터 유통, 서비스, 부품까지 취급하는 종합물류장비 전문업체로 고객사의 요구사양에 맞는 특수형(주문제작형) 제품을 설계하고 제조한다. 2004년 설립돼 현재까지 삼성, 현대, LG, 한화, 롯데, 농협, 나라장터 등 국내외 대기업 및 중소기업 1만여 개사와 협력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물류시스템은 디젤/LPG 지게차, 전동 지게차, 입식 지게차, 전동 파렛트트럭 등 다양한 품목을 전시했다. 아울러 현장에선 ‘2025년 지게차 정부지원 사업’도 안내했다. 해당 사업은 산업 현장의 안전사고를 줄이고 노후
이노그리드는 SDT와 ‘하이브리드 양자 클라우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협약식은 이노그리드 본사에서 진행됐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고전 컴퓨팅과 양자 컴퓨팅을 융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고, 잠재적 사업 기회를 발굴해 산업 생태계를 확장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R&D, 사업화, 정부 과제 연계 등 전방위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핵심은 이노그리드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과 SDT의 양자 하드웨어·소프트웨어(HW/SW) 인프라 융합이다. 양사는 ▲양자컴퓨팅용 고성능 양자 미들웨어 기술 연구 ▲고전-양자 혼합 연산 구조 기반 공동 개발 ▲양자 시뮬레이터 연계 하이브리드 테스트베드 운영 등을 추진한다. 기술 개발뿐 아니라 사업화와 시장 확산에도 힘을 모은다. 하이브리드 양자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산업별 개념증명(PoC)을 진행하고, 공동 브랜딩, 국내외 전시회 참여, 적극적 세일즈 활동을 전개한다. 또한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MSP)와 SaaS 형태의 서비스 모델을 공동 기획해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정부 과제 연계도 추진한다. 양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R&D 과제에 공동 참
원/달러 환율은 11일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경계감에 소폭 상승 출발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이날 오전 9시 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1.8원 오른 1388.4원이었다. 환율은 전날보다 2.5원 오른 1389.1원에서 출발해 1387.6원∼1389.1원에서 거래되고 있다. 간밤 미국 노동부는 8월 미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0.3% 상승을 예상한 시장 전망을 깬 수치로, 4개월 만의 하락 전환이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16∼17일 여는 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다만 시장은 이날 밤 발표될 예정인 미 소비자물가지수(CPI)까지 확인하려는 분위기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07% 오른 97.803을 나타냈다. 전날 코스피가 역대 최고치를 찍은 가운데 외국인은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총 1조3800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지난해 6월 13일(1조5500억 원) 이후 최대치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엠비젼이 SCM FAIR 2025에서 브레이크 디스크 외관검사 실시간 모니터링을 시연해 눈길을 끌었다. SCM FAIR 2025는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IT 서비스),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엠비젼은 산업용 LED 일루미네이션 시스템과 머신비전 토탈 시스템 전문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자동화 검사 및 측정 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브레이크 디스크 외관검사 실시간 모니터링은 전체 검사를 위해 다수의 카메라로 광학계를 구성했다. 이 시스템은 장비와 연동 공정 중 유기적으로 검사를 수행하며 가공무늬 등 변수 영향을 최소화해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다. 일일 불량 발생 통계와 히스토리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원본, 오버레이 이미지를 각각 별도 저장해 불량위치 확인이 용이하다. 한편, 이번 행사 기간에는 SC
벡터코리아는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Software-Defined Systems) 개발과 커넥티드 서비스(Connected Services)의 통합 개발과 운영을 지원하는 확장형 플랫폼 ‘SDx 클라우드(SDx Cloud)’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복잡해지는 시스템 아키텍처를 지원하고 ECU(전자제어장치)부터 클라우드까지 끊김 없는 개발과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벡터는 SDx 클라우드를 통해 오랜 기간 축적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전문성을 클라우드로 확장, 자동차 산업은 물론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Dx 클라우드는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s)과 같은 물리적 시스템을 클라우드 인프라와 매끄럽게 연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벡터의 검증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ECU와 백엔드 간 통합을 단순화한다. 개발자는 벡터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사 커넥트(MICROSAR Connect)’와의 긴밀한 통합을 통해 복잡성을 줄이고, 범용 IoT 플랫폼보다 차별화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OEM(완성차 제조사)은 자체 커넥티드 서비스를 내부적으로 개발하거나 파트너와 협력해 구축할 수 있다. 자동차 산업
국토교통부는 현대자동차,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디앤에이모터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스텔란티스 코리아가 제작·수입·판매한 16개 차종 4만 380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간다고 11일 밝혔다. 주요 리콜 대상 현대자동차: 팰리세이드 등 2개 차종 2만 7,656대. 보닛 잠금장치 강건성 부족으로 오는 9월 16일부터 리콜이 시작된다. 포드: 익스플로러 등 2개 차종 5,984대. 안전벨트 버클 고정 볼트 조립 불량으로 이미 9월 5일부터 리콜이 진행 중이다. 디앤에이모터스: UHR125 오토바이 5,512대. 동력장치 내 교류발전기 홀센서 제조 불량으로 9월 10일부터 리콜 조치가 이뤄진다. 메르세데스-벤츠: GLC 300, 4MATIC 등 10개 차종 904대. 조향장치 부품 체결 불량이 발견돼 9월 12일부터 리콜된다. 스텔란티스: 짚 랭글러 324대. 원격 시동 안테나 케이블 조립 불량으로 9월 5일부터 리콜이 진행 중이다. 소유주는 자동차 리콜센터 홈페이지나 모바일에서 차량번호 또는 차대번호를 입력해 자신의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의는 자동차 리콜센터에서 가능하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
한국이엠이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에 참여해 경량화 소재 개발 시스템을 소개했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로봇·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경량화 소재 개발 시스템은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경량 소재를 구현한다. 다양한 방식으로의 조형과 생산이 가능하며 비용 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 한국이엠은 압출성형기를 기반으로 한 합성수지 가공기계 전문 기업으로 출범해 제약, 식품, 환경, 에너지, 자동차, 건축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압출성형설비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또 오랜 제작 경험과 축적된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보다 차별화되고 진보된 압출성형시스템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한편, 이번 KICEF 2025 기간에는 ‘산업단지의 날’ 기념식과 더불어 국내외 수요기
이피아이티(EPiT)가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에 참여해 EPiT 주름백을 적용한 여과집진기를 소개한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피아이티는 2000년에 설립 되어 대기환경분야 설비인 전기집진기 및 여과집진기를 설계부터 시공까지 수행하는 대기환경 전문기업이다. 다양한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기술 축적 및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전기집진기의 핵심 부품인 방전극 및 집진극, 추타장치를 국산화하여 자체 생산하고 있으며, 여과집진기 내부 부품인 필터백을 자체 개발하여 기존 필터백 대비 2~3배 확장할 수 있는 EPiT 주름백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주력제품인 EPiT 주름백을 적용한 여과집진기는 여과 면적의 극대화, 탈진 효율의
에이비에이치(ABH)가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에 참여해 자체 개발 기술인 HDH(Honeycomb Data Hive) 솔루션을 소개했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HDH는 제조, 에너지, 환경 관리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데이터 수집장치로, 설비와 센서데이터를 통합하고 실시간으로 분석해 생산성과 운영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ESG 및 규제 대응 등 지속 가능한 산업 운영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산업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운영과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가능케 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에이비에이치는 제조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기업이다. 대규모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