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퓨젼옵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정밀 검사용 광학 렌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FINE 시리즈는 고해상도와 높은 수치 조리개(N.A.)를 제공하는 정밀 검사용 광학 렌즈로, 최적의 검사 솔루션을 지원한다. 텔레센트릭 및 일반형 렌즈 옵션을 제공하며, 왜곡이 적고 균일한 MTF 성능을 갖추고 있어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또한, 외부 및 내부 동축 조명 지원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엘퓨젼옵틱스는 광학 기술과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산업용 정밀 계측 및 검사 광학 시스템을 연구·개발하는 기업이다. 고객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고성능 광학 제품을 제작하며, 광학 렌즈 및 광학 시스템의 설계부터 제작까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엘퓨젼 옵틱스는 산업용 렌즈 이외에도 인피니티 코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OTTO 100 자율주행로봇(AMR)을 선보였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의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산업용 자동화 장비 및 스마트 제조 기술을 제공하며 공장 운영 최적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제품군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통합 시스템을 포함하며 특히 제조업·에너지·자동차·물류 및 식음료 산업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본사를 두고 현재 2만 7천여 명의 직원이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고객을 위해 일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선보인 자율주행로봇 OTTO 100은 공장 자동화에서 생산 물류를 지원하는 소형 AMR 제품으로, 최대 페이로드 150kg까지의 화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자율주행로봇이다. 인공지능과 첨단 3D 카메라 센서를 탑재해 공장이나 물류센터 내에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여 운행한다. 좁은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연성을
스톰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3D LASER Marking System은 3D 스캐너 기반의 레이저 가공 시스템이다. 복잡한 형상의 레이저 가공이 가능하며, 3차원 데이터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 자동 소재탈피 및 자동 용접 시스템을 소개했다. 이 시스템은 에나멜 제거 및 피복 제거 가능하다. 또한 권선 제거 및 용접에 활용할 수 있다. 스톰은 국내 제작을 기반으로 고품질 레이저 마킹기를 개발·제조하는 기업이다. 자동차, 기계, 조선, 플랜트 등 다양한 산업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후 식품, 음료, 전자, 제약, 화학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산업별 맞춤형 레이저 마킹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하여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사용 환경을
풍림무약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새로운 컨셉의 전동형 렌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풍림무약이 소개한 Computar Lens Connect Series는 USB 연결을 통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동형 렌즈이다. 이 렌즈는 Focus, Iris, Zoom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품이다. 플로팅 시스템을 적용해 어떠한 위치에서도 고해상도를 유지하며, 장비 내부 또는 손이 닿지 않는 환경에서도 조정이 가능하다. 스테핑 모터를 활용한 미세 조정 기능으로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타사의 리퀴드 렌즈와 달리 중력과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우수한 반복성을 갖추고 있다. 풍림무약은 1974년 설립 이후 화상광학 제품, 의약품 원료, 화장품 원료, 화학 원료의 수출입 및 의약품 제조를 수행해왔다. Computar Lens는 40년
애니텍테크놀로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각종 산업용 단자대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애니텍테크놀로지는 Barrier type, Euro type, Din-rail type 등으로 구성된 단자대와 라운드 소켓(Round Socket)을 참관객에게 선보였다. 특히, 컨트롤러 등 현장 설비의 전선을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단자대 제품을 소개하며, 효율적인 배선 관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일반 표준 제품부터 고객 맞춤형 주문제작 제품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제공하고 있다. 애니텍테크놀로지는 전자부품 분야의 사출, 금형, 스탬핑 제품을 OEM·ODM 방식으로 공급하는 글로벌 제조업체로, 고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생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중국 심천과 상하이에 대규모 생산 공장을 가동하며 단자대를 비롯한 다양한 전자부품을
이위스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지능형 체인 모니터링 솔루션 CCM-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CCM-S는 체인의 마모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유지보수 담당자가 체인 교체 시점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솔루션이다. 이를 통해 생산 라인의 예상치 못한 가동 중단을 줄이고, 물류 체인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납기 지연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즉시 설치 가능한 플러그앤플레이 방식으로 설계되어 손쉬운 적용이 가능하다. 이위스코리아는 체인 및 드라이브 엔지니어링 경험을 바탕으로 산업 시스템 및 자동차 산업을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기계 공학, 플랜트 건설, 포장, 인쇄, 식품 산업 및 산업용 컨베이어 분야에서 지능형 시스템 솔루션을 개발하며, 응용 분야별
리스광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웨이퍼 검사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리스광시스템이 소개한 웨이퍼 검사 시스템은 시료에 따른 맞춤형 광학 구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비전 및 스테이지를 적용하여 검사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샘플을 테스트할 수 있는 장비이다 또한, LLC(Linear Lens Changer)를 활용해 광학 배율을 변경할 수 있으며, 고객 요구에 따라 자동또는 메뉴얼 스테이지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이 장비는 웨이퍼 셀 정보 비교 및 양불 판정, PCB 및 회로 기판 검사, 바코드·QR 코드 판독, Die 내부 PAD Marking 유무 검사, LED 및 OLED 칩 양불 검사 등 다양한 검사 공정에 활용된다. 리스광시스템은 검사 장비용 광학계를 국내 순수 기술력으로 자체 설계·제작하는 기업으로, 다양한
세팩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동화 분야에 적용 가능한 안전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세펙트(Safect)는 Safe와 Perfect의 합성어로, 자동화 사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안전제품을 개발·제조해 기계 사용자 환경 내 위험요인을 제거 및 감소시켜 최상의 안전한 환경을 제안하는 안전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세팩트는 안전 도어 락 스위치, 안전 키 스위치 등을 소개했다. 가드락 도어 인터락 스위치는 솔레노이드락 기능과 모니터 기능으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도어 상태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CLS시리즈는 일반 타입과 슬라이드 타입으로 구성돼 있으며, 조작키는 수평 설치형, 수직 설치형, 조정 가능형으로 구성됐다. 솔레노이드 내장 방식의 안전 도어 스위치로 LED로 솔레노이드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키 헤드 셔
SmartRay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해상도·초고속 3D 스캐닝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ECCO X 012는 고해상도·초고속 3D 스캐닝 솔루션이다. 최대 40 kHz의 스캔 속도와 최대 4096 포인트의 고해상도 3D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최적화된 디자인으로 개발되었으며, 정확하고 정밀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빠르고 유연한 스캐닝 성능을 갖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SmartRay는 고정밀 검사 및 계측을 위한 3D 센싱 기술을 제공하는 독일 기업이다. 3D 광삼각법 기반의 계측 등급 검사 기술을 중점적으로 개발하며, ECCO 센서를 통해 신뢰성과 반복성이 뛰어난 검사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타사 분석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을 지원하며, 고객과 협력하여 검사 및 측정의 새로운 솔루션을 개
웰콘시스템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서보 드라이브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웰콘 서보 드라이브는 기존 대량생산된 표준형 서보 드라이브(Servo Drive)에 다양한 고객사들이 알아서 맞춰 쓰는 제어기가 아니라, 고객사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완벽히 적용되는 맞춤형 서보 드라이브를 공급해 비용절감과 사용자의 편익 및 생산 효율성을 높여준다. 웰콘시스템즈는 스마트 팩토리에 적용되는 각종 첨단 제조장비와 로봇에 사용되는 고기능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전문 기업이다. 가치 있는 제어시스템을 공급해 중소기업이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고객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을 사명으로 선형/회전형 서보 전동기의 정밀한 힘/토크 제어가 기반이 된 고속·고정밀 제어 시스템을 공급한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
오즈레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적외선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오즈레이는 적외선 카메라를 설계 및 생산하는 기업이다. 적용분야로는 고저온 측정, 열화상 CCTV, 화재감지, 초분광, 머신비전 컴포넌트, 발열 측정, 안개투과 등이 있다. 오즈레이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단파장 적외선 카메라(SWIR)를 사용하면 반도체 웨이퍼, 일부 플라스틱 및 비닐, 안개 등을 투과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수분 검출, 이물질 검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인간의 시력으로는 보이지 않는 영역대의 영상을 획득해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가능하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으로 구성돼 있
다인큐브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모션제어기와 티치펜던트 제품군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다인큐브는 산업용 로봇 제어기의 3대 핵심 부품인 교시조작기(Teach Pendant)와 로봇 모션 제어기 그리고 Safety Controller(Safety PLC)를 공급하는 로봇 제어기 전문 기업이다. 다양한 로봇과 장비에 적용되어 연간 2000대 이상의 제품을 국내외 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티치 펜던트 ’DTP10-WL’는 와이파이(Wi-Fi) 기반으로 터치 패널과 키패드를 활용해 원거리에서도 로봇과 설비를 조작·제어할 수 있다. 현재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자동화 장비에 제어와 프로그래밍 영역에서 활약 중이다. 이 제품은 x86 기반 PC 호환 환경을 제공하고 MFC, LabVIEW, C/C++, 등
굿모닝계측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산업용 계측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1999년 설립된 굿모닝계측기는 산업용 계측기 전문 기업이다. 현재는 산업용 공정 시스템까지 공급하는 회사로 성장해 이슬점 측정기, 산소 분석기, 온도 및 습도 측정기, 유량계, 이산화탄소 측정기, 유중수 분석기, 통신 변환기, 원격 입출력 모듈, 이더넷 입출력 모듈, 컨트롤러 등 다양한 제품을 공급한다. 굿모닝계측기가 전시회에서 소개한 휴대용 노점계 ‘SADPmini 2’는 블루투스 프린터를 지원하며 압력하 노점 계산이 가능하다. ‘SADPmini’는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7가지 수분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자동보정 및 단일포인트보정 기능이 내장됐다. 두 제품 모두 센서 보관시 제습제를 사용해 빠른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
강유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각종 산업용 로봇 핵심 부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감속기는 회전 운동을 하는 모터에 기어를 연결해 원하는 힘과 속도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산업용 로봇의 관절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부품이다. 모터에서 발생하는 높은 에너지를 장기간 전달해도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하며, 이로 인해 모터보다 제작이 까다로운 부품으로 꼽힌다. 최근 감속기의 소형화 및 정밀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물류 자동화 설비, 의료 장비, 2차전지 생산 장비, 반도체 검사 장비 등 다양한 자동화 설비 및 반도체 공정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강유시스템은 자동화 컨설팅 및 정밀 부품 공급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지속적인 혁신과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과의 동반 성장(Win-Win)을 추구하며,
이달 12일 열린 AW 2025 부대행사 ‘한·중·베 로봇융합기술 컨퍼런스 2025’ 개막 한국·중국·베트남 로보틱스 혁신 관점 담아 “제조·물류·서비스 등 주요 분야 자율화 핵심은 로보틱스” 여러 빅테크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에 시선을 돌린 가운데, 이 로봇을 구현할 다양한 연계 기술이 지속 조명되고 있다. 이 차세대 로봇은 인간의 생각과 움직임을 그대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로봇 최종 진화형’으로 기대받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로봇의 인지를 담당하는 인공지능(AI)부터 구동부에 필요한 하드웨어 부분까지 수많은 기술을 아우르는 기술 총체로 인식된다. 그만큼 글로벌 로보틱스 업계가 하나의 관점에서 융화돼야 함을 시사한다. 이달 12일 ‘한·중·베 로봇융합기술 컨퍼런스 2025’가 열렸다. 해당 콘퍼런스는 올해 35회 개막을 맞은 산업 자동화 축제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부대행사로 진행됐다. 한국·중국·베트남 3개국의 로봇 전문가가 연사로 나서 로보틱스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이 자리에는 한국로봇산업협회·Bejagu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