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위에서 태어난 마음 : 차가운 실리콘과 지브리 감성 사이'이라는 주제로 발표 진행 75만 명의 구독자를 가진 딥테크 채널 '에스오디(SOD)'로 알려진 하이젠버그 권순용 대표가 오는 5월 15일 개최되는 ‘AI 융합 비즈니스 개발 컨퍼런스 2025(AI Tech 2025)’에 기조연사로 참가한다. AI Tech 2025는 ‘Your Fine-Tuning Roadmap’을 주제로, 파인튜닝 이후 기업 현장에서 AI를 어떻게 실질적으로 활용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춘다. 생성형 AI의 확산 속에서 많은 기업이 겪는 운영상의 고민과 실무자의 현장 요구에 대응하도록 최신 기술 트렌드와 구체적인 적용 사례가 공유된다. 권순용 대표는 AI Tech 2025에서 '알고리즘 위에서 태어난 마음 : 차가운 실리콘과 지브리 감성 사이'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권 대표는 "AI에 필수적인 반도체 공급 경쟁이 심화되고, 트럼프 2.0 시대와 함께 시장의 변동성이 극대로 커지며 유례없는 기술 패권 전쟁이 개막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대중의 마음을 이끈 것은 ‘기술’보다 ‘지브리풍’의 이미지였다. 차가운 실리콘과 간결한 알고리즘 사이에서 유튜
'알고리즘 위에서 태어난 마음 : 차가운 실리콘과 지브리 감성 사이'이라는 주제로 발표 진행 75만 명의 구독자를 가진 딥테크 채널 '에스오디(SOD)'로 알려진 하이젠버그 권순용 대표가 오는 5월 15일 개최되는 ‘AI 융합 비즈니스 개발 컨퍼런스 2025(AI Tech 2025)’에 기조연사로 참가한다. AI Tech 2025는 ‘Your Fine-Tuning Roadmap’을 주제로, 파인튜닝 이후 기업 현장에서 AI를 어떻게 실질적으로 활용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춘다. 생성형 AI의 확산 속에서 많은 기업이 겪는 운영상의 고민과 실무자의 현장 요구에 대응하도록 최신 기술 트렌드와 구체적인 적용 사례가 공유된다. 권순용 대표는 AI Tech 2025에서 '알고리즘 위에서 태어난 마음 : 차가운 실리콘과 지브리 감성 사이'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권 대표는 "AI에 필수적인 반도체 공급 경쟁이 심화되고, 트럼프 2.0 시대와 함께 시장의 변동성이 극대로 커지며 유례없는 기술 패권 전쟁이 개막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대중의 마음을 이끈 것은 ‘기술’보다 ‘지브리풍’의 이미지였다. 차가운 실리콘과 간결한 알고리즘 사이에서 유튜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효과에 힘입어 올해 1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747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38.2%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영업손실 2255억 원을 기록한 전 분기와 비교하면 흑자로 전환했다. 1분기 영업이익에서 AMPC 금액이 전 분기보다 21% 증가한 4577억 원으로, AMPC를 제외하면 830억 원의 적자를 냈다. 작년 4분기에는 AMPC 금액을 제외한 적자가 6028억 원이었다. 물량 감소에 따른 고정비 부담에도 주요 고객사용 물량 출하가 예상보다 견조했고, 환율 상승 효과도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또 재료비 감축, 비용 효율화를 통한 원가 절감 노력 더해 전 분기에 반영된 일회성 요인이 제거되면서 흑자를 달성했다. 매출은 6조2650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2% 늘고, 전 분기보다 2.9% 줄었다. 북미 및 전기차 신모델향 출하는 견조했으나, 완성차 업체들의 전반적인 보수적 재고 정책 기조 지속으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소폭 감소했다. 올해 1분기에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캐즘
MDS테크는 오는 5월 26일 서울 구로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호텔에서 플리어 보안 세미나(Seeing Beyond: FLIR Thermal Imaging Seminar)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플리어 아시아 담당자가 직접 연사로 나서는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보안 기술 트렌드와 제품 전략을 국내 산업계와 공유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플리어는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 산하 기업으로 열화상 기술 기반의 보안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다. 플리어 제품은 어둠, 연기, 악천후 등 극한 환경에서도 높은 감지 정확도를 제공하고 국경 감시, 산업 시설 보호, 공공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플리어 보안 솔루션의 핵심 제품군인 열화상 카메라, 멀티센서 시스템, AI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등을 중심으로 글로벌 실제 구축 사례와 통합 관제 연동 전략까지 폭넓은 내용이 다뤄질 예정이다. MDS테크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플리어의 글로벌 핵심 인력이 직접 참여하는 자리로 국내 보안 시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와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보안 기술의 진화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
듀폰은 30일 자사 전자 사업 부문(Electronics business)의 분사를 통해 설립될 예정인 독립 상장회사의 명칭을 ‘큐니티 일렉트로닉스’(Qnity Electronics)로 정했다고 발표했다. 큐니티는 반도체 및 전자 산업을 위한 소재를 전문적으로 공급하는 순수 전자소재 전문 기업으로, 고성능 컴퓨팅(Advanced Computing), 스마트 기술(Smart Technologies), 연결성 (Connectivity)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핵심 솔루션을 폭넓게 제공하는 업계 최대 규모의 기업 중 하나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듀폰은 강조했다. 전자사업 부문 존 켐프 CEO 예정자는 “큐니티라는 사명은 전하(Electrical Charge)를 뜻하는 물리학 기호인 Q와 협력을 뜻하는 ‘Unity'에서 영감을 받았다”며 “이 이름은 고객과의 협력 방식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며 큐니티는 집단적 전문성을 활용해 에너지(Energy), 호기심(Curiosity), 품질(Quality)을 바탕으로 미래의 기술을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함께 발표된 인사에서 듀폰은 매튜 하보를 오는 5월 1일부로 큐니티의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영입한다고 밝혔다. 하보는 재
텔레픽스가 한국기술신용평가의 투자용 기술신용평가(TCB, Tech Credit Bureau)에서 최고 등급인 ‘TI-1’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텔레픽스는 AI 기반 위성 하드웨어 및 위성영상 활용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과 시장경쟁력을 종합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강조했다. 투자용 기술신용평가는 투자기관의 관점에서 투자대상 기업 선별을 위해 기업의 성장가능성을 심층적으로 평가하는 제도다. 기업의 경영역량, 시장성, 기술성, 사업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10단계의 등급으로 분류한다. 텔레픽스가 획득한 TI-1은 투자용 기술신용평가의 10단계 등급 중 최상위 평가등급으로 매우 우수한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시장을 바탕으로 기업의 미래 성장가능성이 최상위 수준임을 의미한다. 이번 평가에서 텔레픽스는 평가항목 전반에 걸쳐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세부 평가항목 중 특히 경영진의 전문성과 팀워크, 기술개발현황 및 기술개발능력 등에서 A 등급을 받아 뛰어난 리더십과 기술역량을 인정받았다. 또한 텔레픽스는 기술 혁신성과 확장성 면에서 우수하며 제품경쟁력 면에서 시장의 선두그룹에 속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받았다.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는 “텔레픽스의 기술력과 성
산업을 움직이는 단어 하나, 그 안에 숨은 거대한 흐름을 짚습니다. ‘키워드픽’은 산업 현장에서 주목받는 핵심 용어를 중심으로, 그 정의와 배경, 기술 흐름, 기업 전략,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차분히 짚어봅니다. 빠르게 변하는 산업 기술의 흐름 속에서, 키워드 하나에 집중해 그 안에 담긴 구조와 방향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소비자들의 즉시성 요구가 물류시장의 판을 다시 흔들고 있다. 쿠팡, 네이버, SSG닷컴 등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이 ‘주 7일 배송’을 전면 도입하거나 준비하면서 물류업계에서는 최근 주 7일 배송, 365일 배송이 새로운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물류업계는 AI 수요 예측, 마이크로풀필먼트(MFC), 자동화 기술을 동원해 주말·공휴일 없는 운영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주말 노동 부담과 같은 새로운 과제에도 직면하고 있다. 주 7일 배송이 핫 아이템으로 떠오른 배경은? 사실 물류업계에서 ‘주 7일 배송’이라는 키워드 자체가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일찍이 쿠팡은 일부 지역에서 로켓배송을 중심으로 한 주말 배송을 운영해왔고 몇몇 신선식품 배송 업체들도 새벽배송을 통해 주말 수요를 일부 충족시켜 왔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 들어 변화는 눈에 띄게 커졌다
머신비전 분야의 글로벌 리더 Basler(바슬러)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기반 전처리 기술을 통해 산업용 비전 시스템의 고질적인 문제인 데이터 처리 병목 현상을 해결하며 고속 비전 검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 제조 환경은 고해상도 카메라의 보편화로 매초 수 기가바이트에 달하는 방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기존의 CPU 및 GPU 중심 아키텍처는 이러한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에 한계를 보이며 이는 생산성 저하와 시스템 비용 급증의 원인이 되어왔다. Basler는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FPGA 기반 전처리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 솔루션의 핵심은 이미지 데이터를 호스트 시스템(PC)으로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 획득 단계인 프레임 그래버에서 직접 전처리하는 것이다. FPGA는 하드웨어 수준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하기 때문에 CPU나 GPU에서 발생하는 처리 지연 및 병목 현상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정밀한 검사 타이밍을 맞출 수 있으며 호스트 시스템의 부하를 크게 줄여 전체 시스템
CJ대한통운이 금호타이어와 손잡고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타이어를 교체해주는 '방문장착 서비스'의 물류 운영을 전담하며 모빌리티 서비스 영역 확장에 나선다. 이번 협력으로 금호타이어 고객들은 일요일 등 휴일을 포함해 주 7일, 전국 어디서나(일부 도서산간 제외) 전문 서비스센터 수준의 편리한 타이어 교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CJ대한통운은 금호타이어와 타이어 방문장착을 포함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CJ대한통운이 금호타이어의 '또로로로 방문장착 서비스'에 필요한 물류 전반을 책임지고 운영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는 고객이 온라인 또는 전화로 타이어 교체를 신청하면 전문 장비가 탑재된 이동형 방문 교체 차량이 고객이 지정한 장소와 시간에 맞춰 찾아가는 방식이다. 현장에서는 차량 리프트 작업, 기존 휠·타이어 탈거, 새 타이어 장착, 휠 밸런스 점검, 타이어 공기압 주입 및 체결 등 정비소와 동일한 수준의 전문적인 교체 작업이 이루어진다. CJ대한통운은 종합 물류기업으로서 보유한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 인프라와 운영 노하우를 이번 서비스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풀필먼트 서비스 '품고(Poomgo)' 운영사 두핸즈(대표 박찬재)가 전자상거래 수출 통관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대교관세사무소(대표 최홍석)와 손잡고 해외 역직구(직접판매) 고객 지원 강화에 나선다. 두핸즈는 대교관세사무소와 전자상거래 수출 통관 업무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풀필먼트 서비스 '품고'는 일본을 포함한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는 고객사들에게 더욱 강화된 통관 및 세무 관련 지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수출 통관 신고 ▲상품 입출항 신고 ▲보세운송 신고 ▲관세 환급 등 해외 역직구 사업에 필수적인 복잡한 업무 전반에 걸쳐 대교관세사무소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밀착 지원이 가능해진 것이다. 특히, 품고가 지난해 야심차게 론칭하여 운영 중인 '일본 5일 도착보장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속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교관세사무소의 풍부한 일본 전자상거래 통관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예기치 못한 통관 이슈 발생 시에도 빠르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져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협력 파트너인 대교관세사무소는 2017년 설립 이후 전자상거래 수출신고 분야에 특화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해
종합물류기업 태웅로직스(대표이사 한재동·조용준)가 최근 발생한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에 성금 1000만 원을 기탁하며 따뜻한 나눔 실천에 동참했다. 태웅로직스는 30일 서울 서초구 본사에서 성금 전달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전달식에는 태웅로직스 최홍식 부사장과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 허혜숙 사무처장이 참석하여 성금을 전달하고 산불 피해 지역의 신속한 복구와 이재민 지원을 위한 긴급 구호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에 전달된 성금 1000만원은 산불 피해가 심각한 지역의 실질적인 복구 활동과 이재민 보호를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긴급 구호품 지원 ▲임시 대피소 운영 ▲주택 등 피해 시설 복구 활동 ▲정신적 고통을 겪는 이재민들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 운영 ▲현장 구조 및 구호 활동 요원 지원 등에 투입된다. 대한적십자사는 지원의 시급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지역부터 인력과 구호 물자를 집중 투입, 피해 이재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하고 생활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태웅로직스 최홍식 부사장은 전달식에서 "기업이 가진 역량을 필요한 시점에 사회에 환원하는 것은 책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George Mason University Korea)가 디지털 창업 및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을 지원하는 국제 협력 플랫폼 '글로벌 디지털 혁신 네트워크(Global Digital Innovation Network, GDIN)'와 손잡고 창업 분야 글로벌 인재 양성의 허브 역할을 본격화한다. 양측은 지난 30일, 창업 분야의 글로벌 교육·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미국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조지메이슨대학교 코스텔로 경영대학(Costello College of Business)과 페어팩스시 경제개발청(Fairfax City EDA)의 주요 인사들이 대거 방한한 가운데 진행되어 의미를 더했다. 트리샤나 E. 바우든 부총장, 로렌 버드 부총장, 제이케이 아이어 코스텔로 경영대학 수석 부학장, 패트릭 솔레이마니 부학장(페어팩스시 EDA 커미셔너 겸임), 크리스 브루노 페어팩스시 EDA 청장 등으로 구성된 방문단은 4월 28일부터 5월 2일까지 한국에 머물며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서울핀테크랩, 인천스타트업파크 등 주요 기관과 협력 관계를 다지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는
엘앤에프 "2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약 70% 수준의 출하량 증가 예상" 엘앤에프가 NCMA95 신제품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2025년 연간 출하량 목표를 기존 대비 40% 상향 조정했다. 이는 올해 초 제시했던 30% 증가 목표를 뛰어넘는 수치로, 북미 고객사의 전기차 신모델 판매 호조가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회사는 30일 진행된 컨퍼런스콜을 통해 “2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약 70% 수준의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며, 하반기에도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신규 제품 중심의 공급 확대가 본격화하면서 출하량과 가동률 모두 개선 국면에 진입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엘앤에프의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3648억 원, 영업손실은 1403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영업손실은 전분기 대비 29% 감소했으며, 원가와 판가 간 스프레드 축소, 탄산리튬 가격 안정화, 개발품 관련 일회성 재고평가손실 해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회사는 “2분기부터는 추가적인 원재료 가격 하락이 없다면 재고평가손실 부담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며 하반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엘앤에프는 최근 각광받는 LFP(리튬인산철) 소재 분야에서도 발 빠
코오롱베니트가 최근 개최한 ‘AI 얼라이언스 고객 인큐베이팅’ 세미나에서 자사 AI 얼라이언스 참여사의 AI 기술과 업무 활용 전략을 공개했다. 이 세미나는 ‘코오롱베니트 AI 얼라이언스’ 참여사의 사업 활성화를 위해 코오롱베니트가 마련한 지원 정책으로 각 회사가 가진 기술력을 시장에 소개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AI 얼라이언스 고객 인큐베이팅 세미나에서는 제조·건설·이커머스 분야 업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AI 활용 노하우가 공개됐다. 행사에는 생성형 AI 기반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개발 기업 미소정보기술과 AI 에이전트 솔루션 전문 기업 달파가 참여했다. 두 회사는 AI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자사 AI 솔루션을 소개하면서 성공적인 도입 사례도 공유했다. 미소정보기술은 ‘업무 속 숨겨진 데이터로 찾는 AI 활용 전략’을 주제로 진행된 첫 세션에서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 데이터 분석 ▲건설 현장 위험성 평가 ▲문서 분류 자동화 솔루션 ‘스마트TA’ 활용법을 소개했다. 이어 채갑병 전무는 도메인 AI 에이전트와 온톨로지 기반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검색증강생성) 기술로 흩어진 데이
SES AI가 29일 오전 11시(미국 현지시간)에 진행된 온라인 라이브 데모에서 ‘분자 우주 MU-0(Molecular Universe MU-0)’ 플랫폼을 일반에 최초로 공개했다. 분자 우주 MU-0는 SES AI의 최신 배터리 소재 발견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플랫폼이다. 리튬메탈, 리튬이온, 나트륨을 포함한 모든 배터리의 화학과 관련해 가능한 모든 소분자 영역을 매핑하는 고급 툴킷으로 설계됐다. AI로 강화된 이 소재 발견 솔루션은 분자 특성 지도, 자연어 기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분자를 추천함으로써 연구개발을 가속화한다. 라이브 데모에서 설명한 분자 우주 MU-0의 핵심 기능 4가지는 ▲지도(Map) ▲질문(Ask) ▲검색(Search) ▲필터(Filter)다. 지도는 UMAP 알고리즘을 활용해 512차원의 소분자 우주를 2D로 시각화했다. 분자들은 구조적 유사성에 따라 클러스터로 그룹화돼 있으며, 사용자는 지도에서 분자를 탐색하고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연어로 질문하면 현존하는 배터리 관련 논문과 교과서 및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대규모 추론 모델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