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 비즈니스 위한 기업의 회복탄력성 연구 결과 발표 SAP 인사이트(SAP Insights)가 미래를 대비한 비즈니스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332개 기업을 포함한 총 4239개의 조직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이 주요 비즈니스 운영의 중대한 위기 상황에서 회복탄력성이 다른 국가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악천후, 지정학적 분쟁, 사이버 공격 등 예상치 못한 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대응 전략을 세운 국내 기업은 절반이 조금 넘는(54%) 반면 글로벌 응답자는 67%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국내 기업은 인재 부족, 예상치 못한 시장 상황, 공급망 문제에 대해 효과적인 계획을 세우며 보다 전략적인 과제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기업의 내년 성장 리스크 1위가 경제 변동성(49%)이라는 점에서 이 계획은 매우 중요하다. 주요 리스크로 고객 수요의 변화(42%), 경쟁 환경의 변화(38%), 공급망 중단(37%) 등이 뒤따랐다. 노동력과 기술 부족이 미래의 리스크로 인식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은 현재 인력 관리 역량에 대해 확신을 가지
SNE리서치, 2023년 상반기 Global EV용 배터리 업체별 판매 실적 발표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배터리 기업들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상반기 전기차용 배터리 업체별 판매 실적은 432GWh, 배터리 팩 기준 시장은 약 700억 달러 규모로 집계됐다. 중국 CATL이 매출액 기준 29%, 출하량 기준 33%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선두자리를 유지했고, 국내 3사는 매출액 기준 시장 점유율에서 각각 16%(LG에너지솔루션), 8%(SK온), 7%(삼성SDI)을 차지했다. 전기차 시장에서 고성장세를 보이는 BYD는 배터리 자체 공급 및 전기차 제조 등 수직 통합적 SCM을 통해 갖춘 가격 경쟁력으로 매출액 기준 9%, 출하량 기준 11%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3위에 올라 강세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전망이다. 일본 파나소닉의 경우 주요 핵심 고객사인 테슬라 향 배터리 공급 비중이 높은 구조를 갖고 있어 매출액 기준 4%, 출하량 기준 5%의 시장 점유율로 6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 Top 10 배터리 업체 중 국내 3사와 파나소닉을 제외한 나머지 업체들은 모두 중국업체로 전기차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내수 시장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배터리 3사의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는 것과 별개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대폭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2021년 30.4%에서 2023년 상반기23.8%로 하락했다. SNE리서치 김광주 대표는 2023 KABC 기조강연에서 중국 LFP 배터리의 저가 공세로 한국 배터리의 시장 점유율이 하락 추세에 있으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오히려 증가 추세에 있다고 발표했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올해 상반기 267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0.1%상승한 수치라는 설명이다. 김 대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현재 5~7%의 영업이익율을 기록 중이며, SK온도 손익을 대폭 개선해 내년에는 손익분기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대표는 가격 경쟁력을 내세운 중국의 LFP 배터리 공세에 국내 배터리 3사는 고품질, 손익 위주의 마케팅 전략으로 잘 대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미국의 IRA와 유럽의 CRMA 등 정책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향후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국내 배터리 3사가 향후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동시에…
올해 상반기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국 자동차 OEM 및 배터리 회사의 시장 점유율이 각각 11.8%, 32.9%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볼보, 폴스타를 보유한 Geely, 상해자동차, BYD등이 유럽 지역과 아시아 지역에서 전기차 판매량이 급증(2019년 9.0%에서 2023년 상반기11.8%)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그동안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을 기반으로 내수용 배터리 생산능력을 크게 늘려온 중국의 CATL, BYD 등 기업들이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빠른 속도로 확장하고 있는 형국이다.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그동안 세계 1위의 위치를 점유해온 LG에너지솔루션과 중국과의 점유율 격차는 올 상반기 기준 1.5%로 좁혀졌다. SNE리서치 김광주 대표는 국내 배터리 3사의 시장 점유율의 하락 추세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3사의 유럽, 미국, 동남아에서의 증설 시점이 중국보다 늦어진 점과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의 LFP 배터리의 시장 확장에 기인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한국 배터리의 점유율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NE리서치는 "현재까지 한국 업체들이 주도한 NCM 시장과 더불어 LFP시장에서도 2
1~7월 글로벌 수소차 시장 전년 동기 대비 9.6% 역성장 글로벌 수소차 시장에서 도요타가 업계 1위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와 점유율을 좁히며 맹추격하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7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수소연료전지차(이하 수소차)의 총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9.6% 감소한 9619대로 조사됐다. 현대차는 넥쏘(NEXO)와 일렉시티(ELEC CITY)를 3662대 판매, 시장 점유율 38.1%로 수소차 시장 선두 자리를 유지했으나, 넥쏘의 판매량 부진이 이어져 전년 동기 대비 40.0% 역성장했다. 반면, 부진했던 도요타 미라이(Mirai)의 판매량은 올해 5월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나타내 15.8% 성장률을 기록하며, 업계 1위 현대차와 시장 점유율 차이를 8.1%로 좁혔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현대차 넥쏘의 판매량 감소 여파로 전년 동기 대비 38.7% 감소했지만 35.2%의 시장 점유율로 수소차 시장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중국은 수소 상용차를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며 한국과 함께 3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미국은 최근 판매량 호조를 보이는 도요타 미라이가 가장 많이 팔리는 국가로 중국과 함께 성장
특허청 통계 발표...인공지능 기술이 출원량 1위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8개 기술의 특허출원이 10년간 연평균 14.7%씩 성장한 가운데, 인공지능(AI) 기술이 4차 산업혁명 기술 성장을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10일 특허청이 발표한 '최근 10년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 특허출원 통계'에 따르면 2013년 7057건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2만4341건이 출원돼 10년간 약 3.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가율은 10년간 14.7%로, 같은 기간 전체 특허출원이 연평균 1.2%씩 증가한 것에 비교하면 12배나 빠르게 증가한 셈이다. 4차 산업혁명 주요 8개 기술은 AI·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디지털헬스케어·바이오마커·지능형로봇·자율주행·3D 프린팅이다. 세부 기술 분야로는 AI 분야가 가장 높은 비율(27.2%)을 차지했고, 디지털헬스케어(23.0%), 자율주행(21.7%) 분야가 뒤를 이었다. AI 분야의 경우 2013년도 444건으로 8대 주요 기술 가운데 6번째에 불과했으나 2016년 이후 급격히 증가해 지난해에는 8960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2016년은 알파고의 등장으로 AI 시대의 도래를 대중에게 알린 해이기도 하다. 4차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서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가 약 304.2만 대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41.8% 상승한 수치다. SNE리서치가 발표한 2023년 1~7월 비(非)중국 시장의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테슬라는 올해 초부터 시행한 가격 인하 정책과 주력 차종인 모델3/Y에 대한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세제 혜택에 힘입어 전년 대비 64.1% 성장률로 1위 자리를 지켰다. 테슬라는 모델3의 페이스리프트 차량인 프로젝트 하이랜드(Project Highland)를 올해 9월부터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생산할 것으로 알려져 10월부터 고객에게 출고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폭스바겐, 아우디, 스코다 등이 속한 폭스바겐 그룹은 전년 대비 40.1% 성장률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해외브랜드 중 최초로 美정부의 보조금 지급 조건을 충족한 ID.4를 비롯해 아우디 E-Tron 라인업의 꾸준한 판매 호조가 폭스바겐 그룹의 성장세를 이끌었다. 3위는 스텔란티스 그룹으로 피아트 500e, 지프 랭글러 4xe 등 순수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두 견조한 판매량을 이어갔다. 현대자동차그룹은 E-G
2024년 전기자동차 출하량 총 1790만 대 예상…. 2030년 출시 차량 절반 이상 전기차 전기차 가격, 2027년까지 내연기관차와 동등한 수준으로 떨어져…기업 행보 변화 귀추 가트너(Gartner)가 올해 전 세계적으로 약 1500만 대의 전기차가 출하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4년에는 올해 대비 19% 증가한 총 1790만 대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다. 가트너는 2024년 승용차, 버스, 밴, 대형 트럭 등 모든 종류의 전기차(EV) 출하량이 총 185억 대에 달할 것이며, 그 중 승용차의 출하량은 전체의 97%를 차지할 것이라 전망했다. 전 세계 순수전기차(BEV) 출하량은 2022년 900만 대에서 2023년 말까지 1100만 대로 증가할 전망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는 2022년 300만 대에서 2023년 400만 대로 다소 완만한 성장이 예상된다. 조나단 데이븐포트(Jonathan Davenport) 가트너 시니어 디렉터 애널리스트는 “미국, 캐나다, 일본의 경우 소비자들이 BEV보다 PHEV를 선호함에 따라 전체 전기차 중 PHEV의 비율이 소폭 증가할 것”이라며, “순수 내연기관차(ICE)에서 EV로 전환하려는 미국 소비자
1~7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전년 대비 49.2%↑ 한국계 3사 점유율 23.5%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내수 시장을 넘어 유럽, 북미 등에서 세력을 넓히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준수한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점유율은 소폭 하락했다. 2023년 1~7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이 전년 동기 대비 49.2% 성장한 약 362.9GWh로 조사됐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23.5%로 전년 동기 대비 1.7%p 하락했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내 3사 모두 성장세를 나타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53.2%(51.4GWh) 성장하며 3위를 기록, SK on은 16.3%(19.0GWh), 삼성SDI는 32.0%(15.0GWh) 성장률과 함께 각각 5위와 7위를 기록했다. 국내 3사의 성장세는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삼성SDI는 리비안 R1T, BMW iX/4, 피아트 500e가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SK on은 현대 아이오닉 5, 기아 EV6, 포드 F-150의 견조한 판매량으로 인해 성장세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모델3/Y, 폭스바겐 ID
전체 랜섬웨어 피해사례 34%는 '클롭' 3분기 들어 랜섬웨어 공격이 증가 흐름을 보인 가운데, 암호화나 비주류 언어 등을 통해 탐지를 피하는 사례가 늘어 주의가 요구된다. 3일 보안업체 SK쉴더스에 따르면 7월 랜섬웨어 공격에 따른 피해 발생 건수는 전월 대비 약 10.9% 증가한 487건으로 집계됐다. 랜섬웨어 공격이란 사용자 PC에 있는 데이터를 인질로 삼아 몸값을 요구하는 사이버 보안 공격을 뜻한다. 7월에 가장 많이 발견된 랜섬웨어는 '클롭'(170건)으로 전체 피해 사례의 34%를 차지했다. 클롭은 시스템 파일의 확장자를 '.clop'으로 바꿔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SK쉴더스는 파일전송 관리 프로그램 '무브잇'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이용해 유출된 자료들이 다크웹 등에 속속 게시되고 있다는 점을 원인으로 꼽았다. 피해 기업 중에서는 미국 화장품 기업 에스티로더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락빗'(49건)과 '에잇베이스'(36건), '블랙캣'(29건) 등의 랜섬웨어가 그 뒤를 이었다. 피해 사례를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124건으로 가장 많았고, 정보기술(IT)·웹·통신업(66건)과 은행·금융업(4
국내 5만5555대, 해외 29만1822대 팔려...전년 대비 3.2% 증가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가 전달 글로벌 판매량 34만7377대 판매고를 올려, 지난해 동기 대비 3.2% 성장세를 나타냈다. 특히 국내에서 5만5555대를 팔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2.9% 상승 곡선을 그리며, 눈에 띄는 판매량을 기록했다. 세단 부문은 그랜저 8820대, 아반떼 4758대, 쏘나타 3001대 순으로 판매됐다. RV는 총 1만8260대를 팔았는데, 팰리세이드·싼타페·투싼·코나·캐스퍼 등이 판매량 성장세에 기여했다. 제네시스는 GV70·G80·GV80·G90 순으로 팔려나갔다. 특히 GV70과 G80은 3000대에 가까운 판매량을 기록했다. 한편 해외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총 29만1822대가 주인을 찾았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최근 출시된 디 올 뉴 싼타페 등 신차에 이어 아이오닉 6 글로벌 판매 본격화, 아이오닉 5 N·디 올 뉴 코나 일렉트릭 등 전기차 출시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전 세계 25만5481대 팔아...국내 4만2225대, 해외 21만2282대 등 스포티지·셀토스·쏘렌토 판매 순위 줄이어 기아가 올 8월 전 세계 완성차 판매량 25만5481대를 달성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5.2% 증가한 수치다. 국내에서는 지난달 총 4만2225대가 판매됐는데, 전년 동원 대비 2.4% 오른 수준이다. 국내 베스트셀러는 7176대가 팔린 쏘렌토가 차지했다. 세그먼트별 판매량은 경차 부문 레이 4402대·모닝 2910대며, 세단 K5 2613대·K8 2457대 등 순으로 판매됐다. RV 부문은 총 2만4279대가 주인을 찾았는데, 쏘렌토·스포티지·카니발·셀토스·니로 등이 RV 판매량 상위권을 차지했다. 해외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5.8% 오른 21만2882대 실적을 기록했다. 해외에서는 스포티지 인기가 가장 높았는데 총 3만6166대가 판매됐다. 뒤이어 셀토스·K3(현지명 포르테)가 각각 2만8135대·1만7702대 팔렸다. 기아 관계자는 “쏘렌토 상품성 개선 모델 출시를 시작으로, K5·카니발 등도 상품성을 개선해 출시됐다”면서 “앞으로 적극적인 EV 마케팅을 통해 판매 호조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기아 모델별 글로벌 판
최근 폭락한 리튬의 가격이 장기적으로 떨어져 안정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SNE리서치가 리튬의 가격이 공급 과잉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리튬은 전기차에 들어가는 리튬이온배터리의 핵심 광물이다. 2022년 초, 리튬 원재료의 공급 부족으로 리튬은 톤 당 58만 위안(한화 약 1.1억 원)으로 가격이 치솟았다가 2022년 말부터 중국의 전기차 보조금 종료 이슈 및 배터리 업체들의 배터리 재고 증가로 5개월 만에 톤 당 16만 위안(한화 약 3천만 원)까지 하락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리튬의 가격은 향후 2028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 안정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SNE리서치는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신규 리튬 광산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가동으로 인한 공급 물량 증가를 꼽았다. 공급 과잉으로 수요·공급 밸런스의 불균형이 발생해, 리튬 가격이 2027년 최대 하락폭을 경신하고 2028년 톤 당 13만 위안(한화 약 2800만 원)까지 떨어질 것이란 설명이다. SNE리서치는 “리튬 가격 하락은 수요 공급광산 채굴 및 정제련 업체들에게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마진이 상대적으로 높은 글로벌 채굴 업체들이 경쟁에서 살아남을 것”이
대만 언론, TSMC 3분기 매출 전 분기보다 증가한 약 175억 달러 예상 TSMC의 지난달 매출액이 전년 동기보다 4.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TSMC는 전날 매출 보고에서 지난달 연결기준 매출이 1776억1600만 대만달러(약 7조3000억 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동기보다 4.9% 줄어든 것이다. 다만 TSMC는 지난달 매출이 6월 매출과 비교하면 13.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6개월 동안 월별 매출로는 최고치다. 올해 1∼7월의 매출액은 1조1670억9000만 대만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3.7% 감소했다. 대만 언론들은 TSMC가 3분기 매출을 167억∼175억 달러로 직전분기 대비 6.5∼11.6%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예상은 TSMC의 3㎚ 공정 제품 수요의 강세로 전반적인 영업이 회복될 것이란 전망에 따른 것이다. 다만 대만 매체들은 고객사의 지속적인 반도체 재고 조정으로 인한 여파를 계속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도 대만 전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현대모비스가 국내 주요 자동차 부품 기업 가운데 올해 2분기 투자자 관심도 1위를 기록했다. 11일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국내 주요 자동차 부품기업 8곳의 정보량을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지난 9일 기준, 종가 1만 원을 넘는 상장 종목 중 8개사를 임의 선정했다. 정보량 순으로 현대모비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성우하이텍, 현대위아, 서연이화, HL만도, 세방전지, 일진하이솔루스 등이다. 조사 방식은 ‘기업명’으로 동일하게 검색했으며 스포츠 관련 키워드는 제외어로 설정했다. 분석 결과 현대모비스는 지난 2분기 총 5만 2597건의 정보량을 기록하며 국내 주요 자동차 부품기업 가운데 정보량 1위를 차지했다. 한편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4만 7369건의 포스팅 수로 2위에 올랐다. 성우하이텍은 2만 8338건의 정보량으로 3위를 차지했다. 4위는 1만 4222건의 정보량을 보인 현대위아가 차지했다. 서연이화는 1만 2538건의 포스팅 수로 5위에 랭크됐다. 6위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