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7일 한국미래기술 교육연구원(대표 박희정)은 오는 5월 30일 ‘BESS 산업 확대를 위한 국내·외 시장 분석 및 사업 다각화 방안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정책 지원, 해외시장, 발전 용량 입찰제, 전기 저장 판매 사업, 시스템 개발/인증, 사업 사례 외’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는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원의 증가와 송전망 확충 지연으로 인한 전력 계통의 난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유연성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간헐적인 특성을 가진 재생에너지가 전력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BESS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에 따른 재난으로 인한 정전 위험을 줄이는 데도 기여하고 있다. 정부는 전력 수급 안정성과 재생에너지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BESS 보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제10차 전기본에서는 BESS 도입의 필요성과 계획을 반영했으며,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2026년부터 매년 500㎿ 규모의 장주기 BESS를 설치하여 2038년까지 총 21.5GW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장주기 BESS 중앙계약시장’을 열어 전력 계통 관련 문제를 해소할 예정이다. 글
산업부, 제조 혁신을 위한 ‘산업 AI 전략(M.A.P)’ 발표… 수요-공급 기업 협력 강조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7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조 혁신을 위한 ‘제1차 산업 AI 전략(M.A.P : Manufacturing AI Policy)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AI를 활용해 국내 산업의 난관을 극복하고 미래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을 강조했다. 산업부는 제조 현장의 문제 인식부터 AI 도입 및 공정 개선 설계까지 전 과정에서 제조 기업과 AI 솔루션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이번 세미나를 시작으로 5월 중 산업 AI 우수 사례 지역 순회를 통해 추가적인 수요-공급 기업 간 만남을 지원할 계획이다. 제조 현장 AI 도입 저조… 산업 특화 AI 전략 필요성 강조 이날 세미나에는 기업, 대학, 연구 기관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과 대한상공회의소 박일준 상근부회장의 인사말로 시작되었다. 이어진 발표에서는 KAIST 장영재 교수, 산업연구원 송단비 연구위원, 마키나락스 허영신 부사장, DN솔루션즈 엄재홍 상무 등이 연사로 나서 산업 AI의 중요성과 발전 방향,
한국전파진흥협회(RAPA)가 임베디드 및 자율주행 기반 지능형 차량 소프트웨어(SW)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Intelligent Vehicle School(IVS) 4기’ 교육생을 모집한다. 이번 교육 과정은 고용노동부의 ‘K-Digital Training(디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 사업의 일환으로 HL만도, HL클레무브, 현대엔지비와 공동으로 추진된다. 2023년 시작된 IVS는 현재 3기까지 운영 중이며, 오는 6월 3기 수료 후 우수 수료생을 대상으로 HL만도와 HL클레무브의 특별채용 전형이 진행될 예정이다. IVS 4기는 총 30명을 선발해 2025년 6월 23일부터 12월 16일까지 총 812시간에 걸쳐 한국전파진흥협회 DX캠퍼스 2센터에서 교육이 진행된다. HL인재개발원의 직무기술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HL만도, HL클레무브, 현대엔지비가 설계한 이 커리큘럼은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교육 내용은 차량 SW 개발에 필수적인 기초 프로그래밍 언어부터 임베디드 시스템, 제어 기술, 차량 통신 시스템, AUTOSAR, 검증 프로세스 등 핵심 기술을 포괄한다. 여기에 모델 기반 제어(MBD), 레이다·라이다, 첨단 운전자 지원
서울시여성가족재단(대표이사 박정숙)은 오는 4월 24일(목) 오후 7시 서울 가족 플라자 지하 1층 다목적홀에서 올해 첫 번째 ‘서울 우먼잇츠 네트워킹 데이(1회차)’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서울 우먼잇츠(IT’s)’는 서울시 거주 또는 서울 소재 직장·학교에 재직(재학) 중인 IT 분야에 관심 있는 여성을 위한 커뮤니티로, 현재 2,800여 명의 회원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 커뮤니티는 직무별 학습 네트워크 프로그램 ‘잇츠 스터디’, 세미나, 정기 네트워킹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올해는 새롭게 정기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총 3회를 운영하며, 구성원 간의 정기적인 교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기술 콘텐츠는 큐레이터 중심으로 기획해 정기 발행하며, 구성원들이 최신 기술 흐름과 정보를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기존의 잇츠 스터디와 세미나도 실질적인 학습 효과와 직무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 운영된다. 이번 행사는 국제 기념일인 ‘Girls in ICT Day (소녀의 날)’를 맞아 ‘포용적인 디지털 미래를 위한 우리의 역할’을 주제로 디지털 전환 시대 여성의 역할과 성장 가능성을 탐색
제조 산업이 더 복잡해지고 산업 내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중소규모 제조업체(SMB)는 제품 개발 과정에서 비용 절감과 설계 효율성 향상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 그러나 예산의 제약, 비효율적인 설계 변경 과정, CAD 간의 파일 호환 문제 등은 이러한 목표 달성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SMB 기업들을 위한 최적의 CAD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는 Solid Edge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오는 23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온라인으로 열린다. Solid Edge는 기계 및 전기 설계는 물론 시뮬레이션, 제조, 기술 문서, 데이터 관리, 클라우드 기반 협업까지 지원하는 CAD 솔루션이다. 특히 다양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SMB 기업이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도록 유연한 라이선스 정책을 제공하는 점에서 실용성과 경제성을 모두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Solid Edge가 실제 설계 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비용 절감과 시간 단축에 기여하는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례와 데모를 통해 설명될 예정이다. 특히, ㈜키미이에스의 정별 프로가 직접 SMB 기업을 위한 Solid Edge 솔루
제조 산업이 더 복잡해지고 산업 내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중소규모 제조업체(SMB)는 제품 개발 과정에서 비용 절감과 설계 효율성 향상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 그러나 예산의 제약, 비효율적인 설계 변경 과정, CAD 간의 파일 호환 문제 등은 이러한 목표 달성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SMB 기업들을 위한 최적의 CAD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는 Solid Edge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오는 23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온라인으로 열린다. Solid Edge는 기계 및 전기 설계는 물론 시뮬레이션, 제조, 기술 문서, 데이터 관리, 클라우드 기반 협업까지 지원하는 CAD 솔루션이다. 특히 다양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SMB 기업이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도록 유연한 라이선스 정책을 제공하는 점에서 실용성과 경제성을 모두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Solid Edge가 실제 설계 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비용 절감과 시간 단축에 기여하는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례와 데모를 통해 설명될 예정이다. 특히, ㈜키미이에스의 정별 프로가 직접 SMB 기업을 위한 Solid Edge 솔루
한국미래기술 교육연구원은 오는 2025년 5월 23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사파이어홀에서 '데이터 센터(DC) 냉각시스템 개발 및 구축 사례와 효율적 운영 방안 세미나'를 온오프라인으로 병행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공조/냉각 시스템, 액침 냉각/액침 냉각 유, UPS, 히트펌프, LNG 냉열/지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최근 인공지능 및 미디어의 발달로 생성되는 데이터의 급격한 증가는 효율적인 데이터센터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데이터센터에서 서버, 스토리지 및 기타 네트워킹 장비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냉각시스템은 바닥 설계, 에어컨 장치, 액체/액침 냉각 솔루션, LNG 기화 냉열 기술, 폐열 재활용을 위한 히트펌프 기술, 상승 및 외부 차가운 공기를 활용하는 프리쿨링 냉각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가동 중지 시간을 최소화하고 장비 수명을 연장하며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세계 시장조사 기관 Global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지난해 약 159억 달러에 그쳤던 전 세계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
국내 유일의 비영리 민간 인구정책 전문 기관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4월 3일 서울 포스코 센터에서 '비혼 출산의 사회적 수용성과 제도적 과제'를 주제로 2025년도 제1차 인구 2.1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2024년 합계 출산율이 0.75명으로 예측되는 초저출생 위기 속에서, 기존의 혼인 중심 정책을 넘어 다양한 가족 구성원이 차별 없이 출산과 양육을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중요성과 제도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정운찬 이사장은 환영사에서 “출산율이 높은 프랑스(1.8명)와 스웨덴(1.7명)의 비혼 출산율은 각각 62.2%, 55.2%에 달한다”라며 가족 형태의 다양성 포용을 강조했다. 김종훈 한미 글로벌 회장은 개회사에서 “선진국 출산의 30% 이상이 비혼 출산이며, 이것 없이는 어떤 국가도 1.6명 이상의 출산율을 달성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1부 주제 발표에서는 송효진 한국 여성정책 연구원 가족 저출생 연구본부장이 통계청의 2024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이 37.2%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혼인 외 출생아 비중은 4.7%로 OECD 26개국 평균 41.9%에 크게
온플릭스와 SCK가 ‘Autodesk PDMC로 구현하는 All-in-One 워크플로우: 설계부터 해석, 렌더링까지’를 주제로 공동 웨비나를 개최한다. 제품 설계 환경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가운데 설계자들은 기능 해석과 시각화 과정까지 아우르는 일체형 워크플로우를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개별 소프트웨어를 오가며 발생하는 비효율을 줄이고 통합된 플랫폼에서 설계부터 구조해석, 렌더링까지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이 주목받고 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Product Design & Manufacturing Collection(PDMC)을 중심으로, 설계에서 시뮬레이션, 시각화까지 이어지는 통합 프로세스를 소개한다. 특히 공정 장비 분야에서 PDMC의 활용 가능성과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단일 워크플로우의 실질적 장점을 살펴볼 예정이다. 먼저 온플릭스 황동순 온플릭스 팀장이 PDMC 패키지의 개요와 주요 기능을 소개하며 세미나의 문을 연다. 이어 SCK 황보원 매니저는 구조해석 도구인 Inventor Nastran을 통해 설계자들이 시뮬레이션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황동순 팀장이 3ds Max를 이용
온플릭스와 SCK가 ‘Autodesk PDMC로 구현하는 All-in-One 워크플로우: 설계부터 해석, 렌더링까지’를 주제로 공동 웨비나를 개최한다. 제품 설계 환경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가운데 설계자들은 기능 해석과 시각화 과정까지 아우르는 일체형 워크플로우를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개별 소프트웨어를 오가며 발생하는 비효율을 줄이고 통합된 플랫폼에서 설계부터 구조해석, 렌더링까지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이 주목받고 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Product Design & Manufacturing Collection(PDMC)을 중심으로, 설계에서 시뮬레이션, 시각화까지 이어지는 통합 프로세스를 소개한다. 특히 공정 장비 분야에서 PDMC의 활용 가능성과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단일 워크플로우의 실질적 장점을 살펴볼 예정이다. 먼저 온플릭스 황동순 온플릭스 팀장이 PDMC 패키지의 개요와 주요 기능을 소개하며 세미나의 문을 연다. 이어 SCK 황보원 매니저는 구조해석 도구인 Inventor Nastran을 통해 설계자들이 시뮬레이션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황동순 팀장이 3ds Max를 이용
AI와 로봇기술이 결합한 디지털 농업의 활성화를 모색하는 "2025 스마트팜 코리아"가 개최된다. 경남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5월 21일부터 23일까지 3일간 열리는 이번 행사는 경상남도와 창원시가 주최하고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사) 한국 스마트 판 협회, (재) 스마트팜 연구개발 사업단이 후원한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스마트팜 코리아는 미래 농업, 스마트 팩토리 설비 및 기기, 도시농업, 스마트 축산, 귀농·귀촌, 농축산 기자재, 농산물·농식품 등 다양한 품목이 전시되며, 아이 오크 롭스, 경농 등 국내 스마트 팜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대거 참가할 예정이다. 핵심 프로그램인 해외 바이어 1:1 수출 상담회는 2023년부터 국내 기업들이 해외 스마트 판 선도기업들과 기술 교류 협력 등의 MOU를 체결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2025년에는 네덜란드와 유럽 국가들, 북아메리카, 중동, 동남아 등 10개국 이상의 해외 바이어를 초청하여 수출 상담회 성과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120개사 국내 기업에 수출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참가업체를 대상으로 스마트팜 수출·수주 컨설팅 지원 사업도 함께 진행된다.
최근 스마트팩토리, IoT 디바이스, AMR(자율이동로봇), AGV(무인운반차)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ARM 기반 임베디드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전통적인 x86 아키텍처를 넘어 저전력·고효율이 요구되는 차세대 애플리케이션에서 ARM 기반 플랫폼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와 개발자들은 미래형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합한 솔루션을 찾기 위한 기술 검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어드밴텍케이알(이하 어드밴텍)이 4월 17일 온라인 플랫폼 매뉴팩처링티비(MTV)에서 ‘임베디드 전문가들이 ARM 기반 플랫폼도 검토하는 이유: x86을 넘어선 최적의 선택이 될 가능성’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한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어드밴텍의 주요 임베디드 제품 라인업과 함께 ARM 기반 솔루션이 산업 현장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로 소개된다. 특히 Windows IoT Enterprise on ARM64 운영체제를 활용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조명함으로써 ARM 시스템 기반에서도 강력한 성능과 유연한 확장성이 구현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어드밴텍은 먼저 자사의 임베디드 제품 설계 방식과 다양한 제품군을 소개하며 시작한다. 이어 자율주행 로봇,
최근 스마트팩토리, IoT 디바이스, AMR(자율이동로봇), AGV(무인운반차)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ARM 기반 임베디드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전통적인 x86 아키텍처를 넘어 저전력·고효율이 요구되는 차세대 애플리케이션에서 ARM 기반 플랫폼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와 개발자들은 미래형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합한 솔루션을 찾기 위한 기술 검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어드밴텍케이알(이하 어드밴텍)이 4월 17일 온라인 플랫폼 매뉴팩처링티비(MTV)에서 ‘임베디드 전문가들이 ARM 기반 플랫폼도 검토하는 이유: x86을 넘어선 최적의 선택이 될 가능성’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한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어드밴텍의 주요 임베디드 제품 라인업과 함께 ARM 기반 솔루션이 산업 현장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로 소개된다. 특히 Windows IoT Enterprise on ARM64 운영체제를 활용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조명함으로써 ARM 시스템 기반에서도 강력한 성능과 유연한 확장성이 구현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어드밴텍은 먼저 자사의 임베디드 제품 설계 방식과 다양한 제품군을 소개하며 시작한다. 이어 자율주행 로봇,
파고네트웍스가 오는 23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PAGO 시큐리티 서밋 2025’를 개최한다. 행사는 AI 기반 보안 기술, 최신 위협 탐지 및 대응 전략, 보안 회복탄력성 강화를 주제로 진행된다. 이번 서밋의 주제는 ‘Defining the Frontline’으로 센티넬원, 스텔라사이버, 스텔스몰, 버카다 등 글로벌 보안 솔루션 기업이 다수 참석해 기술과 사례를 공유한다. 각 세션에서는 AI 기반 보안 기술과 위협 탐지 대응 전략, 산업별 보안 융합 방안 등을 다루며, 참가자들은 부스 투어와 글로벌 보안 전문가와의 네트워킹으로 보안 기술 동향을 체험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주요 발표는 파고네트웍스 권영목 대표의 환영사로 시작된다. 이어 파고 딥엑트 MDR 센터는 AI 기반 탐지 전략을 발표하고 센티넬원은 AI와 머신러닝 기반 자율 보안 기술을 소개한다. 이어 스텔라사이버는 XDR과 보안 운영 융합 전략을 전할 예정이다. 버카다는 물리 보안과 사이버 보안의 통합 전략을 소개하고 스텔스몰은 다크웹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를 발표하면서 실제 위협 헌팅 데모도 진행할 예정이다. 행사에 앞서 CISO를 위한 조찬 세션도 마련된다. AI 시대
S2W가 산업용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 전략을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는 오는 9일 오후 2시 ‘우리 회사에 꼭 맞는 생성형 AI, 성공적으로 도입하려면?’을 주제로, 기업들이 생성형 AI 구축 과정에서 직면하는 도전과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 고려 요소를 소개한다. 특히 데이터, 인프라, 업무환경 등 각 기업의 환경을 반영한 맞춤형 생성형 AI 적용 방안과 기존 AI 모델의 한계를 보완할 전략도 공유한다. 또한, 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SAIP(S2W AI Platform)’의 적용 사례를 통해 도입 효과와 시사점을 분석할 예정이다. SAIP는 멀티도메인 교차분석 기술에 정보 보호 기능을 결합한 플랫폼으로 현대제철의 ‘HIP(Hyundai-steel Intelligence Platform)’, 롯데멤버스의 ‘세그먼트 랩(Segment Lab)’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돼 성과를 내고 있다. 발표자로 나서는 정진우 S2W AI총괄이사는 단순 도입을 넘어 실질적인 성과 창출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웨비나가 최적화된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이라 밝혔다. 본 행사는 기업용 생성형 AI 도입을 고려 중인 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