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I Mic 3, Osmo 360 등 신제품 대거 공개...자사 전방위 기술 포트폴리오 출격한다 “고품질 콘텐츠 제작 노하우 제공...소비자 접점 확대” DJI가 이달 9일(현지시간) 닷새간 독일에서 열리는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 2025(IFA 2025)’에서 자사 제품 포트폴리오를 대거 선보인다. IFA는 글로벌 가전 및 기술 박람회로, 전 세계 가전 기업들이 최신 제품과 기술을 공개하는 글로벌 축제다. 특히 소비자 전자제품 분야의 주요 트렌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행사로 알려져 있다. DJI는 이번 전시회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부터 기업·농업 종사자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솔루션을 공개한다. 창작자를 위한 최신 카메라·사운드·드론 기술을 대거 내놓는다. 이 중 자사 첫 360° 카메라 ‘오스모 360(Osmo 360)’은 1인치 360° 이미징과 8K 360° 영상 촬영 기능으로 갖췄다. 여기에 최신 초경량 무선 마이크 ‘DJI 마이크 3(DJI Mic 3)’도 전시된다. 4개의 송신기(TX)와 8개의 수신기(RX)를 탑재했고, 타임코드, 듀얼 밴드 간섭 방지 등 녹음 작업을 간소화하는 기능이 내재화됐다. 이 밖에도 360° 회전 짐벌을 탑재한 라인업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의 자회사이자 열화상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 OEM이 일본의 선도적 드론 제조사인 ACSL과 'Thermal by FLIR' 프로그램 협력을 발표했다. 이 협력을 통해 ACSL의 NDAA 준수 드론인 소텐(SOTEN)에 사용될 듀얼 열화상 탑재체인 '사모(SAMO)'를 공동 개발하게 된다. 'Thermal by FLIR'는 텔레다인 플리어 OEM의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혁신적인 제품의 시장 출시를 돕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개발되는 사모(SAMO) 열화상 탑재체는 Hadron™ 640R 듀얼 열화상 및 실화상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다. 이 모듈은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64MP 실화상 카메라와 640x512 해상도의 Boson® 방사측정 열화상 카메라 모듈이 통합되어 있다. 또 플리어의 특허 기술인 MSX®(Multi-Spectral Dynamic Imaging)가 도입되어 열화상에 실화상 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더 선명하고 상세한 열화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일 오는 10월 23일로 변경 법원 가처분 결정 지연에 따른 투자자 요청 반영해 아이로보틱스가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일을 기존 9월 1일에서 10월 23일로 변경했다. 이 조치는 신주 발행 관련 법원의 가처분 결정이 납입일 직전까지 도출되지 않아 결정된 사안이다. 사측은 일부 투자자들의 요청을 반영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유상증자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던 기관을 포함한 투자자들로부터 법원 결정 이후로 납입일을 변경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며 “법원의 결정이 내려지는 즉시 대금 납입이 이뤄지도록 준비를 마칠 것”이라고 전했다. 덧붙여 “무분별하게 제기되는 소송으로 인해 신사업 추진 일정이 불가피하게 지연되고 있다”며 “새로운 사업의 비전과 발전 방향에 대해 다수의 주주와 신규 투자자로부터 전폭적인 신뢰를 얻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이로보틱스는 향후 지속적인 기업가치 제고를 통해 주주 이익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또한 가까운 시일 내에 주주·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회사 상황과 신사업 추진 방향을 공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테크니콘, 유니버설로봇 솔루션 파트너사(CSP)로 낙점...제약 맞춤형 협동 로봇 솔루션 제공한다 충전, 포장, 품질 관리 등 생명과학 가치 사슬 혁신 ‘정조준’ 덴마크 로봇·자동화 솔루션 업체 테라다인로보틱스의 협동 로봇(코봇) 자회사 유니버설로봇이 자동화 기술 업체 테크니콘과 글로벌 공인 솔루션 파트너사(CSP) 계약을 맺었다. 테크니콘은 자동화 솔루션 설계·개발·생산 업체로, 사용자 친화적이고 유연한 코봇을 제약 산업용 자동화 솔루션에 통합해왔다. 특히 충전·완성 라인 최적화, 실험실 품질 관리 개선, 포장·조립 공정 강화 등에 이르는 생명과학 가치 사슬(Value Chain) 전반에 효율성·안정성을 고도화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제약 산업에 특화된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성사됐다. 지난 2019년부터 덴마크 내 유니버설로봇의 유통 및 시스템통합(SI) 업체로 활동한 테크니콘은 본 CSP 계약을 통해 유니버설로봇과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하게 됐다. 테크니콘은 글로벌 제약 CSP 역할 외에도, 덴마크 소재 기업들의 복잡한 생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니버설로봇 통합형 코봇을 계속 공급할 예정이다. 캐스퍼 한센(Casper Hansen) 테크니콘 최고경
더로보틱스가 지난 29일 주선양 총영사관 주최로 열린 선양 한중 로봇기업 로드쇼에서 자사의 농업용 운반 로봇 ‘봇박스(botbox)’를 선보이며 중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번 로드쇼에는 더로보틱스를 포함한 국내 로봇 기업 5개사와 중국 금융기관 및 유관 기업 15곳이 참석했다. 특히 선양은 중국의 대표적인 농공업 특화 단지로, 농촌 인구 감소로 인한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한 지역이다. 더로보틱스는 이를 기회로 보고 현지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더로보틱스는 이미 중국 안후이성으로 봇박스를 수출한 경험이 있으며, 이번 로드쇼를 계기로 랴오닝성과 선양시를 중심으로 중국 북부 시장 개척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중국 시장은 지역별 수요와 공급망 특성이 달라 연간 약 15만 대의 로봇 수요가 예상되는 만큼, 현지 파트너십 확대와 각 지역별 협력 기업들과의 공급망 구축을 통해 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주선양 총영사관은 매월 한국 기업과 중국 바이어를 연결하는 로드쇼를 개최하며 한국 기업들의 중국 수출 과정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로봇을 비롯해 화장품,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의 우수한 한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밝혔다.
AI 순찰로봇 전문 기업 도구공간이 로봇 플랫폼 전문 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와 '사족보행 AI 자율주행 순찰로봇'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지난달 29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도구공간의 AI 자율주행 및 보안 기술과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첨단 로봇 플랫폼 기술을 결합, 미래 무인·지능형 순찰 서비스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추진됐다. 양사는 플랜트, 공공기관 등 24시간 무인 감시가 필요한 현장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공동 개발에서 도구공간은 AI 자율주행 기술, 보안 AI를 활용한 객체 인식 및 이상 상황 탐지, 순찰 시나리오 기획 및 통합 관제 플랫폼 개발을 총괄한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고성능 4족보행 로봇 플랫폼 제공, 로봇 제어 기술 및 센서 연동 설계, 솔루션 실증 및 양산 체계 구축을 주관하며 사업화의 중추 역할을 수행한다. 양사는 2025년 하반기까지 솔루션 통합 개발 및 연동을 완료하고 2026년부터 본격적인 양산 체계를 구축해 플랜트, 항만, 군사시설 등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도구공간의 김진효 대표는 "당사의 AI 로봇 순찰 솔루션이 세계 최고 수준의 사족보행 로봇 기술과 만나 시너
‘발롱도르 6회 레전드’ 루카 모드리치(Luka Modrić), 모바 글로벌 앰배서더 위촉 축구 지능 상징 모드리치의 플레이 스타일에서 영감...‘창의성·효율성’ 모바 인공지능(AI) 기술 강조 “혁신 기술력으로 삶의 질 향상과 미래 비전 제시” 모바가 세계 최고의 미드필더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크로아티아 축구선수 루카 모드리치(Luka Modrić)를 청소기 및 잔디 깎기 부문 글로벌 브랜드 앰배서더로 임명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모바의 브랜드 슬로건인 ‘모든 것을 쓸어 담다(Sweep It All)’를 바탕으로 한다. 혁신 기술과 지능성을 결합해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브랜드 전략으로 풀이된다. 루카 모드리치는 뛰어난 지능, 왕성한 활동 반경, 수준 높은 예측 능력으로 경기를 지배하는 전천후 미드필더로 평가받는다. 그는 지난 2003년 자국 프로 리그 팀 ‘GNK 디나모 자그레브(GNK Dinamo Zagreb)’에서 데뷔했다. 이어 '토트넘 홋스퍼 FC(Tottenham Hotspur FC)', '레알 마드리드 CF(Real Madrid CF)' 등 잉글랜드·스페인 클럽에서 18년 동안 명성을 쌓았다. 특히 레알 마드리드에서 라리가(LaLiga) 4회,
어드밴텍이 NVIDIA Jetson Thor 모듈과 NVIDIA Holoscan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로보틱스 개발 키트 ‘MIC-742-AT’를 발표했다. 이번 신제품은 차세대 로보틱스 및 물리적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돼 고성능 연산과 초저지연 센서 처리를 통해 로봇이 실시간으로 인지·이해·행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MIC-742-AT는 NVIDIA Jetson Thor 모듈을 탑재해 최대 2070 FP4 TFLOPS의 AI 성능과 128GB LPDDR5X 고대역폭 메모리를 지원한다. 산업용 등급으로 설계돼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며 전력 소비는 150W로 효율성을 확보했다. -10°C에서 60°C까지의 넓은 동작 온도 범위와 소형 폼팩터를 갖춰 공간 제약이 큰 산업 현장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플랫폼은 8채널 GMSL 2.0을 지원해 초고속·저지연 센서 연결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이동로봇(AMR), 수술용 로보틱스 등 고성능 엣지 AI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어드밴텍은 산업계의 센서 표준화 및 이더넷 패킷 기반 전송 트렌드에 맞춰 NVIDIA GPUDirect RDMA를 활용한 Holoscan 플랫폼을
하모닉 드라이브 공동 개발 ‘뜻모아’...로봇 감속기 사업 박차 韓·日 시장 독점권 확보 도모 “고정밀 모션제어 기술 노하우 선점” 아이로보틱스가 중국 소재 자동차 베어링 기술 업체 ‘ZHEJIANG SLING AUTOMOBILE BEARING(이하 SLING)’과 새로운 협력체계를 마련했다. 양사는 하모닉 드라이브(Harmonic Drive) 공동 개발 및 상용화에 힘을 모을 예정이다. 사측은 이에 대해 로봇의 정밀한 움직임을 구현하는 핵심 부품인 로봇 감속기 사업을 강화하는 전략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는 데 주효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두 개사는 앞으로 하모닉 드라이브 기술 개발을 비롯해, 마케팅·영업 등 활동으로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계약은 시장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명문화한 전략적 행보다. 아이로보틱스는 한국·일본 시장 내 전속권 갖고, SLING은 중국 시장을 독점적으로 개척한다는 게 양측 비전이다. 그 외 글로벌 시장은 공동 또는 개별적으로 공략한다. 이 과정에서 아이로보틱스는 하모닉 드라이브의 설계와 품질 관리 기술을 제공하고, SLING은 제품 제조 및 공급을 담당하는 역할 분담을 명확히 했다. 김
인력 이슈 직면한 글로벌 외식업계, 미래형 주방 구축에 눈 돌리다 현재 글로벌 외식 산업은 심각한 인력난, 높은 인건비, 비효율적인 생산성이라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이끄는 젊은 세대를 일컫는 이른바 ‘MZ세대’를 중심으로 육체 노동을 기피하는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지난 2020년 팬데믹 이후 더욱 가속화되는 추세다. 식당 주방은 뜨거운 열기와 습기, 반복적인 업무 등으로 인해 기피 직업군으로 분류된 지 오래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며 주방 내 노동 가능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미국 또한 막대한 인구에도 불구하고 외식업 인력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 배경은 글로벌 외식업계에 새로운 필수 전략으로 ‘로봇 기반 주방 자동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실제로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이전 국내 외식업계에서 주방 로봇 활용은 서빙 로봇에 국한되거나 아예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때 서빙 로봇은 약 1만여 대가 현장에서 활동했다고 추산된다. 반면 당시 주방용 협동 로봇(Collaborative Robot 이하 코봇)이 일부
산업통상자원부 선정 ‘AI 팩토리 전문 기업’ 등극 로봇 AI 비전 기술력 공식 인정...반도체·자동차 등 주요 산업 공급 실적 반영돼 피지컬 AI(Physical AI) 등 차세대 기술 개발 박차 예고 한화로보틱스가 로봇 인공지능(AI) 비전 기술력을 인정받아 ‘AI 팩토리 전문 기업’으로 활동하게 됐다. AI 팩토리 사업은 지난해 제조 AI 사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출범한 ‘AI 자율제조(AI Autonomous Manufacturing)’의 개편 전략 프로젝트다.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주관하는 이 사업은 제조 현장에 AI 자율제조 기술을 도입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제조 생태계를 확산하는 것이 목표다. 올해 전문 기업 모집에는 신청 기업 180개 사 중 23개사가 선발됐다. 이번에 인증을 획득한 한화로보틱스 로봇 AI 비전 기술은 협동 로봇(코봇)에 적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로봇이 주변 환경을 인식해 지능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자동차·반도체·조선 등 주요 산업현장으로의 공급 실적과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 영상 인식 특허 취득이 이번 선정에 주효했다. 한화로
씨메스 인공지능(AI) 기반 인식·판단 소프트웨어, 로보티즈 액추에이터 기반 하드웨어 결합 ‘현장형 AI 휴머노이드 로봇’ 공동 개발 신호탄 씨메스와 로보티즈가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솔루션 공동 개발에 뜻을 모았다. 양사의 이번 협력은 씨메스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역량과 로보티즈 정밀 하드웨어 기술을 결합한 프로젝트다. 산업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상용 로봇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로봇의 ‘눈’과 ‘뇌’ 역할을 하는 지능형 소프트웨어와 로봇의 ‘신체’를 이루는 하드웨어가 만나 시너지를 창출하는 신모델이다. 씨메스는 3차원(3D) 비전과 AI 기반 기술을 적용한 물류·제조 특화 지능형 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공급해왔다. 특히 AI 기반 인식·판단 기술과 고차원 모션 제어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AI 기술을 고도화하는 중이다. 이는 에이전틱 AI(Agentic AI)를 활용해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을 로봇에 구현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로봇은 사람처럼 판단하고 생각하며 정교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성호 씨메스 대표는 “양사의 역량을 융합해 ‘현장형 AI 로봇’을 다양
아나로그디바이스(ADI) 정밀 센싱·제어 기술, 엔비디아 인공지능(AI) 연산 플랫폼 ‘젯슨 토르(Jetson Thor)’ 협력 가시화 현실·시뮬레이션 간 격차 해소 도모...로봇 개발 일정 단축 기대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가 엔비디아의 고성능 인공지능(AI) 연산 플랫폼 ‘젯슨 토르(Jetson Thor)’ 플랫폼을 활용한다. 이로써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주행로봇(AMR) 등 차세대 로봇의 상용화를 노린다. 젯슨 토르가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고성능 연산을 담당한다면, ADI는 정밀 센싱, 모션 제어, 전력, 연결성 등 ‘신경계’를 제공한다. ADI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시뮬레이션에서 실제 배치까지 로봇 개발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젯슨 토르는 엔비디아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블랙웰(NVIDIA Blackwell)을 탑재한 기술이다. 모바일 전력 범위에서 2070 FP4 테라플롭스(TFLOPS)의 서버급 AI 연산 성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이는 1초에 2070조 번의 연산을 처리한다는 뜻이다. 이를 통해 로봇은 복잡한 추론과 지능적인 행동을 실행할 수 있다. ADI는 이러한 젯슨 토르의 추론 능력에 실제 물리적 환경에 반응하는 정
로보티즈가 지난 28일 씨메스와 피지컬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기술 협력 차원을 넘어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로봇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한다. 양사는 물류·제조 라인에 적용할 수 있는 상업용 로봇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양팔형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로보티즈는 자사의 원천기술인 액추에이터 다이나믹셀(Dynamixel)을 기반으로 정밀 하드웨어 및 구동 시스템 개발을 맡는다. 또한 ROS 기반 통합 플랫폼과 물류·제조 현장 최적화를 위한 로봇 손, 배터리, 엣지보드 등 핵심 하드웨어 기술을 제공한다. 여기에 Isaac Sim, 원격제어, 로봇 제어 등 소프트웨어 지원도 병행해 산업 맞춤형 플랫폼을 구현한다. 씨메스는 AI 기반 인식·판단 기술과 고차원 모션 제어 원천기술을 제공해 로봇이 사람처럼 판단하고 정교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현장 요구사항을 반영한 ‘현장형 AI 로봇’을 개발하고 물류와 제조라인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산업 자동화 수준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
아파트 단지·공항 등 대규모 현장 적용 목표로 공동 사업 추진 아이비스 iFMS와 유니코어 자율주행 기술 결합으로 시너지 차량용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기업 아이비스가 로봇 모빌리티 전문기업 유니코어 로보틱스와 ‘자율주행 퍼스널 모빌리티 통합 관제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술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 확산과 더불어 자율주행 및 관제 기술 수요가 커지는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퍼스널 모빌리티 연계 자율주행 및 관제 기술 개발 △모빌리티–관제 연동 인터페이스 구축 △기술 교류 및 공동 협력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단순 이동 수단을 넘어 서비스·운영까지 아우르는 차세대 모빌리티 솔루션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다. 아이비스는 차량용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기반으로 현대자동차, LG전자, 현대모비스 등에 소프트웨어와 차량 데이터 플랫폼 ‘알톤(Alton)’을 공급해왔다. 최근에는 자율주행 스토어 실증 사업과 통합 관제 솔루션 ‘iFMS’를 통해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iFMS는 이기종 로봇과 모빌리티 장비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 제어할 수 있어, 호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