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반 자동화 솔루션 강조...제조 전주기 혁신 방안 제시해 “DX 가속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촉진 위해 노력할 것”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이하 지멘스)가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자동화시스템 및 부품 전시회(이하 SPS 2024)’에 참가해 차세대 제조 자동화 방법론을 제시했다. SPS는 공작기계, 계측제어 시스템, 자동화 솔루션, 로봇 등 기술이 한데 펼쳐지는 글로벌 자동화·부품 전시회다. 지멘스는 이 자리에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반 자동화 솔루션을 통한 생산성 극대화 방안을 소개했다. 지멘스 부스에서는 설계부터 최적화까지 제조 전주기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는 각종 솔루션을 공개했다. 구체적으로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반 인간·기계 협업 툴 ‘지멘스 인더스트리얼 코파일럿(Siemens Industrial Copilot)’, 예지보전 솔루션 ‘지멘스 센서아이 유지보수 솔루션(Siemens Senseye Maintenance Solution)’ 등이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를 비롯해 데이터 기반 적응형 생산 시스템, 운영기술(OT)·정보기술(IT) 융합 트렌드, 전기자동차(EV)·배
‘FEOL·BEOL 공정 특화’ 6·8·12인치 웨이퍼 전용 다기능 챔버 데뷔 통합 계측부터 습식 식각, 세척까지 ‘올인원’ 기능 선사한다 웨이퍼 처리량 약 200개, 소형화 설계, 다종 웨이퍼 두께 처리 유연성 등 갖춰 넥스젠웨이퍼시스템(이하 넥스젠웨이퍼)의 반도체 공정 전용 챔버 플랫폼 ‘세레노(SERENO)’가 이달 6일 글로벌 시장에 본격 출시했다. 세레노는 습식 식각(Wet Etch) 및 클리닝 공정에 최적화된 다목적·다기능 챔버 시스템이다. 6·8·12인치 및 다양한 두께의 웨이퍼를 다루며, 표면 거칠기 정도를 뜻하는 ‘표면 조도’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 기능도 갖췄다. 여기에 화학물질 공급 시스템을 채택해 각종 공정에 특화된 소재를 소화한다. 이를 통해 공정 유연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번 최신 챔버 솔루션은 전공정(Front End Of Line, FEOL), 후공정(Back End Of Line, BEOL)에 이르는 공정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소형화 설계를 적용해 약 12m² 미만의 공간에도 설치 가능하고, 시간당 최대 200개의 웨이퍼 처리 성능을 보유했다. 크리스티안 클라인스트(Christian Kleindienst) 넥스젠웨
최첨단 스위칭 기술, LED 조광, 안전·스마트 통합 등 모빌리티 조명 영역에서 비용을 절감하고 설계 제약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탐구합니다. 아날로그디바이스(ADI)는 지난 20년 동안 EMI 솔루션을 공급했습니다. 시장 최초의 'Silent Switcher' 기술을 포함한 스위칭 기술이 이에 해당하는데요. ADI는 LED 드라이버에 대한 역량도 갖추고 있습니다. 높은 전력 변환 효율성, 소형·경량화가 특징인 이 솔루션은 다양한 현장 조건을 소화하는 지정 조광 성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최신 세대 제품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디밍에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조명 디자이너가 자동차 조명의 성능, 미학 및 기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약 10년 동안 ADI가 공급한 LED 드라이버는 5억 개 수준으로 집계됐는데요. 이 중 절반 이상이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배포됐습니다. 광학 검사, 엑스레이(X-Ray) 검사 등 높은 정밀도가 필요한 공정에 도입됐으며, 업계 표준을 상회하는 1ppm 이상의 고장률을 보장합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최근 제조 기업이 생산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하고, 데이터를 활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는데요. 여기에 ESG 경영을 위한 지속가능성 제고와 에너지 효율성 고도화 또한 화두입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 기술 발전에 대한 요구도 급증하는 양상입니다. 미라콤아이앤씨는 자체 개발 클라우드 기반 MES, AMHS(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그리고 디지털 트윈 기반 물류 관제 솔루션을 보유했습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이와 관련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ESG 대응 방안과 선도 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성공·실패 요인에 대해 다룹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마이크로칩사 아날로그 제품을 위한 시뮬레이션 도구 'MPLAB® Mindi™' 아날로그 시뮬레이터를 소개합니다. MPLAB Mindi는 SIMetrix, Simplis 등 두 가지 엔진으로 구성된 시뮬레이션 도구입니다. MPLAB Mindi를 사용하면 아날로그 회로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개발자가 하드웨어 시뮬레이션을 통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기 전에 회로의 동특성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번 웨비나는 이응제 마이크로칩 프린시펄 임베디드 솔루션 수석 엔지니어가 함께합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시간은 장비 산업에서 수익을 창출하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제조 업체는 매출을 높이기 위해서는 견적, 제작, 납품 속도 등을 높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복잡해지는 장비들의 설계 품질을 높이면서, 리드타임을 줄이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장비 설계에 대한 기본 지식과 Autodesk 제조 솔루션 적용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를 통한 제조 혁신 방안을 함께 덧붙여 소개합니다. 현업에서 사용하기 좋은 Inventor 2025 버전의 주요 신기능도 공개됩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로보월드, 재도전 성공패키지, 글로벌 이노베이터 페스타 등서 수상 이어져 “투자·연구개발 지속해 혁신 기어 기술 제공할 것” 이스턴기어가 다양한 산업 행사에서 연이어 수상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스턴기어는 창업 아이디어 축제 ‘글로벌 이노베이터 페스타(GIF)’, 재창업 비즈니스 행사 ‘재도전성공패키지’, 로봇 산업 박람회 ‘국제로봇산업대전(로보월드)’에서 각각 대상·우수상·장려상을 받았다. 이스턴기어는 소형·정밀화를 요구하는 각종 산업에 특화된 장구형 웜기어(Globoid Worm Gear)를 공급하고 있다. 이 기술은 각 기어가 꺾이는 구조로 맞물려 협소한 공간에도 유연한 구축을 지원한다. 특히 기어 표면을 동시에 접촉하는 설계를 채택해 진동·소음 등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 디자인됐다. 이러한 특징은 미국기어제조공업회(AGMA)의 표준에 기인한 설계점이다. 해당 기술은 현재 소형 전자기기, 로봇 등 제품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스턴기어는 이를 더욱 고도화해 휴머노이드 로봇의 손가락·무릎 등 관절부에 특화된 기어·감속기 개발을 목표하고 있다. 곽유현 이스턴기어 대표는 “투자·연구개발(R&D)를 지속해 혁신 기어 기
드론 무력화 ‘재밍 신호’ 차단...Pseudo-Random 기술 채택 시스레인의 GPS 신호 교란 장치가 특허에 등록됐다. ‘자체 재밍 상쇄 기술’이 이번 특허의 핵심이다. 자체 재밍 상쇄 기술은 타깃 무인항공기(드론)를 무력화하기 위해 방사하는 ‘재밍 신호(Jamming Signal)’를 상쇄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통신 기술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을 고도화한 ‘의사난수(Pseudo-Random)’ 기술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각종 재밍으로부터 운용 드론을 보호하면서 타깃 드론을 재밍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시스레인은 드론에 적용되는 재밍 기술을 지속 개발하며 치안·경호·대테러 등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특허는 재밍 상쇄 영역에서 새로운 차원의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받는다. 시스레인 관계자는 “이번 기술은 기간시설 대테러 분야에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적의 드론 공격으로부터 지역·시설을 보호하는 데 특화된 솔루션”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설치·운용 유연성 극대화에 초점...내구성 강화도 꾀해 “소형·정밀화 트렌드에 맞춤형 솔루션” 오토닉스가 포토 마이크로 센서 라인업 ‘BS5 시리즈’에 유연 케이블 제품을 추가했다. BS5 시리즈는 K·T·V·L·Y·F·R·TA 등 형태로 세분화돼 다양한 현장에 구축 가능한 포토 마이크로 센서 제품군이다. 접속 방식은 배선 인출형, 커넥터형 두 가지를 지원한다. 이번 신모델은 기존 라인업에 적용된 일반형 케이블을 대체하는 유연 케이블이 탑재돼 설치·운용 효율 극대화를 노렸다. 유연 케이블 모델은 입·차광 시 표시등이 점등하는 두 가지 모델로 구성됐다. 아울러 모든 방향에서 확인 가능한 동작 표시등도 탑재돼 동작 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 2000Hz까지의 진동을 견디며, 최대 1500G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내구성이 개선됐다. 오토닉스 관계자는 “이번 유연형 케이블 제품은 소형·정밀화 트렌드에 최적화된 포토 마이크로 센서”라고 소개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12개 액추에이터 기반 재활 웨어러블 로봇...소프트웨어 연동해 지능형 모션 구현해 “재활 분야 로봇 혁신 시발점 제시했다” ‘제58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가 개막을 앞둔 가운데, 휴먼인모션로보틱스가 로보틱스 부문 혁신상(Innovation Awards)을 수상했다. CES 혁신상은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매년 CES 개최를 목전에 두고 수여하는 혁신 기술상이다. 기술·디자인·혁신성 등 기준으로 제품·서비스·솔루션 등을 평가한다. 휴먼인모션로보틱스는 웨어러블 로봇 ‘엑소모션-R(XoMotion-R)’을 통해 이번 성과를 기록했다. 엑소모션 시리즈는 액추에이터 12개, 하이브리드 병렬 고관절 메커니즘 등 기술을 이식해 하체 장애 및 재활 환자에 특화된 보행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시리즈의 지능형 소프트웨어는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됐다.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제어해 로봇이 인간의 보행을 그대로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엑소모션-R은 연구긱관용으로 활용된 ‘엑소모션-I(XoMotion-I)’를 개선한 양산 모델이다. 핵심부품에 토크 센서 등을 추가해 액추에이터 성능을 고도화했다. 아울러 하드웨어·소프트웨
매출액 266억, 영업이익 43억, 순이익 23억 기록...올해 누적 매출액은 670억 엠플러스가 2024년 3분기 비즈니스 실적을 공개했다. 매출액 266억 원, 영업이익 43억 원, 순이익 23억 원 수준이다. 올해 전체로 보면 매출액 670억 원, 영업이익 56억 원, 순이익 62억 원으로, 엠플러스 측은 이차전지 캐즘(Chasm)에도 실적 하락 없이 영업이익률을 8%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부채율은 320%대를 기록했지만, 선수금이 전체 부채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약 선수금을 제외하면 부채 비율이 145%가 된다는 계산으로 이어진다. 엠플러스 관계자는 “캐즘 영향으로 납기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준수한 실적이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술 경쟁력을 지속 고도화해 성장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로봇 핵심부품, 로봇 플랫폼, 자동화 솔루션 등 비즈니스 모델로 ‘역대 최대 매출’ 기록 뉴로메카가 올 3분기 누적 매출 172억 원을 기록하며 비즈니스 순항을 알렸다. 뉴로메카가 달성한 이번 매출액 성과는 지난해 전체 매출액 137억 원 대비 126%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결과는 로봇 핵심부품, 로봇 플랫폼, 자동화 솔루션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한 것이 주효한 포인트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 6월 국내 조선 업체에 투입한 용접 전용 기체 ‘옵티(OPTi)’가 매출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로메카는 이번 성과에 이어 비즈니스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설립한 산업용 로봇 자회사를 통해 기존 협동로봇 제어 기술을 산업용 로봇에 녹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중이다. 산업용 로봇의 안전성·편의성을 극대화해 협동형 산업용 로봇을 개발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과정에서 약 50억 원을 투입해 내년 양팔 협동형 산업용 로봇을 론칭하고, 2028년까지 최대 300kg의 고하중 산업용 로봇을 양산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뉴로메카 관계자는 “내년 손익분기점(BEP) 달성을 목표로, 로봇 핵심부품 양산·로봇 플랫폼 확대·자동화 솔루션 고도화·인공지능(AI) 기술 혁신 등
니어스랩 ‘드론 스테이션’, 글로벌 AI 드론 분야 기술성 ‘인정’ 배터리 충전, 기체 냉각, 경찰 관제 시스템 연동 등 기능 갖춘 차세대 드론 운용 모델 니어스랩이 내년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 개막을 앞두고 최고 혁신상(Best of Innovation)을 기록했다. CES 최고 혁신상은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매년 CES 개최를 목전에 두고 수여하는 혁신 기술상이다. 기술·디자인·혁신성 등 기준으로 제품·서비스·솔루션 등을 평가한다. 니어스랩은 차세대 드론 솔루션 ‘드론 스테이션(Station for Drone First Responder)’을 통해 이번 쾌거를 달성했다. 이 솔루션은 드론이 임무에서 복귀하면 배터리 교체·충전, 기체 냉각 등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특히 경찰 관제 시스템 연동, 비행 허가 등 시스템을 통해 순찰·긴급출동 등 드론 임무 수행을 보조하는 역할도 한다. 수집한 현장 데이터를 지휘본부에 전달해 유연한 대응을 이끌어낸다. 최재혁 니어스랩 대표는 “이번 수상으로 드론 스테이션이 드론 운용을 위한 단순 ‘보조기기’에서 ‘필수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공공안전 산업에 어떤 가치를 더할 수 있을지
“빠른 고객 요구사항 적용이 키포인트...사람 중심 기술 개발 지속할 것” 위로보틱스가 내년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 혁신상을 두 부문에서 수상했다. 지난해 이어 2년 연속 이어진 성과다. CES 혁신상은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매년 CES 개최를 목전에 두고 수여하는 혁신 기술상이다. 위로보틱스 웨어러블 로봇 ‘윔(WIM)’은 로보틱스, 액세서빌리티 및 에이징테크 등 CES 혁신상 두 부문을 석권했다. 경량화에 성공한 1.6kg 무게와 높은 휴대성을 필두로 이번 쾌거를 달성했다. 윔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기능을 제공한다. 자세·효율·나이·근력 등 보행 데이터를 분석해 차별화된 보행 인사이트를 제시한다. 위로보틱스에 따르면 윔 착용 시 대사 에너지 20% 절감, 체감 무게 감소 등 보행 효율을 발휘한다. 시니어, 만성·재활환자, 등산객 등에게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지난 2월 ‘기업 간 거래(B2B)’ 모델 판매를 시작으로, 4월에는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제품을 론칭했다. 이연백 위로보틱스 공동대표는 “그동안 고객 경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윔을 지속 개선해왔다”며 “이러한 전략과 기
디지털 제조 혁신은 최근 인공지능(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특히 제조 공정의 자동화와 지능화가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 공장 구축과 예지보전 기술의 도입을 강조한다. 또한 탄소중립과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친환경 제조 기술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아울러 사이버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보안 강화가 필수 과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특집] 업계 전문가가 제안하는 맞춤형 디지털 제조 혁신 방안 [Net-Zero로 가는 가장 빠른 길] 트렌드 전환 ‘데드라인’ 직면한 산업…지속가능성 확보로 ‘승부’한다 [제조 통합 플랫폼 전략] 바야흐로 ‘SDx’ 시대…제조업이 바라보는 소프트웨어 기반 혁신은? [XR 솔루션과 도입 사례] XR 기술은 ‘3D 설계 새로운 표준’…품질검사 시간 90% 단축 EVENT & ISSUE ‘로보틱스 출사표’ 슈나이더 로봇 턴키 솔루션 업체로 ‘진화’ 신호탄 쐈다 로봇의 ‘뉴 제너레이션’에 답하다 어드밴텍, 로봇·AI 융합 파트너십 강조 TECH NOTE 노르딕 세미컨덕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