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결정을 하루 앞둔 27일 소폭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0.5원 오른 1396.3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전날보다 0.3원 내린 1395.5원으로 출발한 뒤 종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보합권에 머물렀다. 금통위는 오는 28일 오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연다. 시장에서는 금리 동결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2030억 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18% 오른 98.394 수준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5.01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4.67원보다 0.34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31엔 오른 147.71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정책은 읽기 어렵고, 해석은 더 어렵습니다. 하지만 한 줄의 공고, 하나의 법 개정이 산업 현장과 기업의 방향을 바꿉니다. [알쓸정책]은 산업 종사자들이 꼭 알아야 할 주요 정책과 제도 변화, 공고 내용을 실무 관점에서 쉽게 풀어주는 주간 시리즈입니다. 기술개발 지원사업부터 인허가 제도, ESG·세제 변화, 규제 샌드박스까지. 산업인의 정책 내비게이션,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중소기업 AI 전환 우수사례 공모전’ 참가기업 모집 중소벤처기업부는 AI 기술을 도입 및 활용해 우수한 경영성과를 달성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사례를 발굴·전파함으로써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전환을 확산하기 위해 ‘2025년 중소기업 AI 전환 우수사례 공모전’ 참가 중소기업을 28일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AI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 매출액 증가 등 경영 혁신 성과를 달성한 중소기업은 13개 지방중소벤처기업청(이하 지방청)의 관할구역을 확인 후 해당 지방청 담당자 이메일로 공모신청서, 신청자격 자가진단, 우수사례, 서약서, 증빙자료 등을 9월 18일까지 접수하면 된다. 예선전은 지방청에서 서류심사를 통해 우수사례의 충실성, 혁신성, 도입성과, 확장 및 지속 가능성 등을 평가해 1급
중소벤처기업부는 AI 기술을 도입 및 활용해 우수한 경영성과를 달성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사례를 발굴·전파함으로써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전환을 확산하기 위해 ‘2025년 중소기업 AI 전환 우수사례 공모전’ 참가 중소기업을 28일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AI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 매출액 증가 등 경영 혁신 성과를 달성한 중소기업은 13개 지방중소벤처기업청(이하 지방청)의 관할구역을 확인 후 해당 지방청 담당자 이메일로 공모신청서, 신청자격 자가진단, 우수사례, 서약서, 증빙자료 등을 9월 18일까지 접수하면 된다. 예선전은 지방청에서 서류심사를 통해 우수사례의 충실성, 혁신성, 도입성과, 확장 및 지속 가능성 등을 평가해 1급 지방청은 3개 기업, 2급 지방청에서는 2개 기업을 본선에 추천한다. 본선 심사(는 발표평가를 통해 대상 1개, 최우수상 3개, 우수상 6개를 최종 선정하고, 11월 중 시상식(장관상 등) 및 우수사례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선정된 기업은 중기부 장관상 및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상 외에도, 중기부 R&D 지원사업에 참여 시 가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또한 우수사례집에 수록돼 AI 도입을 망설이거나 주저하는 기업에 벤치
세일즈포스가 27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털 서울 파르나스에서 지능형 데이터 분석 플랫폼 태블로의 연간 최대 규모 데이터 컨퍼런스인 ‘태블로 데이터 페스트 코리아 2025’를 개최했다. 태블로 데이터 페스트는 데이터 분석가, 업계 전문가, 파트너, 커뮤니티가 모여 데이터 활용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연례행사다. 올해는 ‘AI 시대 가장 적합한 데이터 분석’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1000명 이상의 데이터 전문가와 산업 관계자가 참석했다. 기조연설에서는 박세진 세일즈포스 코리아 대표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태블로의 차세대 기능 ‘태블로 넥스트(Tableau Next)’와 AI 에이전트 플랫폼 ‘에이전트포스(Agentforce)’를 연계한 데이터 분석 혁신 방안이 발표됐다. 김영균 태블로 코리아 사업 총괄은 “AI 시대 데이터는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자산”이라며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AI 기술 융합이 만들어낼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에 대해 강조했다. 이어 현대글로비스, 삼성물산, 현대모비스, 제일기획, 에코마케팅, 컴투스 등 국내 주요 기업이 태블로 기반 데이터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현대글로비스는 글로벌 물류 데이터 통합·분석으로 의사결정 속도와
퀄컴 테크날러지스는 세계 최초로 극초단파(UHF) RFID 기능이 완전 통합된 기업용 모바일 프로세서 ‘퀄컴 드래곤윙 Q-6690(Qualcomm Dragonwing Q-6690)’을 공개했다. 퀄컴 드래곤윙 Q-6690은 내장형 5G, 와이파이 7, 블루투스 6.0, 초광대역(UWB)을 탑재해 근접 인식 기반의 경험과 글로벌 연결성을 제공한다. 퀄컴 드래곤윙 Q-6690은 저가형 휴대기기부터 소매점 POS 시스템, 스마트 키오스크까지 다양한 폼팩터를 지원하도록 설계됐으며, OEM과 ODM은 소프트웨어 구성형 기능 팩을 통해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고 OTA(Over the air) 업그레이드로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 아트 밀러 퀄컴 부사장 겸 소매 부문 총괄은 “드래곤윙 Q-6690은 RFID, AI, 차세대 무선 연결을 하나의 확장 가능한 플랫폼에 통합해 소매, 물류, 제조 등 다양한 산업의 혁신을 가속화하도록 설계됐다”며 “스마트 키오스크와 휴대용 기기부터 실시간 재고 분석 및 비접촉 경험까지, 오늘날 소매 업체들은 강력하고 연결성을 갖추면서도 고객들의 변화하는 기대에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소매 업체들과의 협업이 특히 기대된다”고
씨이랩은 AI 네이티브 기업으로 전환을 선언하고 전사 혁신 로드맵을 27일 발표했다. AI 네이티브는 단순한 AI 기술 도입을 넘어 기업의 문화,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 AI를 내재화해 조직 혁신을 추구하는 전략이다. 씨이랩은 이번 로드맵을 통해 연구개발에서 제품, 운영, 고객 가치 창출까지 이어지는 전주기 혁신 계획을 밝혔다. 씨이랩은 상반기부터 ▲AI코딩 ▲AI 운영 혁신 ▲지식-업무 자동화 ▲AI 인프라 등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AI 네이티브 전략을 실행해 현장 데이터가 개발·검증·배포·운영으로 순환되는 체계를 구축했다. 개발 과정에서는 코드 작성, 테스트, 보안 점검 전 과정을 AI 코딩으로 자동화하고, 배포·복구 절차를 표준화했다. 이를 통해 코드 생산성이 도입 이전 대비 5배 이상 향상됐으며,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한 제품 출시 기반을 마련했다. 운영 단계에서는 사내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AI 기반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실현했다. 내부 지식베이스에 검색증강생성(RAG) 기술을 적용해 챗봇과 언어모델을 연동, 방대한 자료 속에서도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탐색하고 정교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체계를 갖췄다. 또한 고객 데이터와 시장 피드백을 통합 분석하는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가 늦여름 무더위로 인한 온열 질환 예방을 지원하는 데이터로거 ‘testo 174’ 및 ‘testo 175’ 시리즈를 선보였다. 6월부터 고용노동부의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가 권고에서 의무 사항으로 전환되면서 사업자는 작업 장소에 온습도 기록계를 상시 비치하고, 체감온도와 조치사항을 기록·보관해야 한다. 데이터로거는 설정된 측정 주기마다 온도와 습도 등 환경을 기록해 어느 시점에 문제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을 준다. 테스토코리아의 데이터로거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환경에 적합하다. 컴팩트한 미니 로거인 testo 174 시리즈는 1채널 온도 로거 testo 174T와 2채널 온습도 로거 testo 175H로 구성된다. testo 174T와 testo 175H는 각각 온도 측정값을 최대 16,000개, 8,000개 저장 가능하며, testo 175H는 습도 측정값을 최대 8000개 기록할 수 있다. testo 174T는 IP65 방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HACCP과 EN 12830 기준을 충족한다. 다목적 표준형 로거인 testo 175 시리즈는 1채널 온도 로거 testo 175T1, 2채
파블로항공이 26일 인천 송도 본사에서 쿠오핀과 ‘군집드론 및 초저지연 영상전송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파블로항공과 쿠오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드론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기술 협력을 추진한다. 양사는 국방 첨단전략산업 지원사업인 ‘방산혁신기업 100 프로젝트’ 2기 선정기업으로, 파블로항공은 드론 분야, 쿠오핀은 반도체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파블로항공은 정찰·자폭 임무 수행이 가능한 군집 드론 기술을 개발 중이며, 쿠오핀은 초저지연 영상전송 반도체에 엣지 AI와 보안 체계를 융합한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군집 정찰·자폭드론뿐 아니라 민간 시설물 검사 드론에도 초저지연 영상전송 및 엣지 AI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김영준 파블로항공 대표는 “이번 협약은 드론 산업의 기술 융합과 성장을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시장 성과로 이어지는 협력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파블로항공은 군집 전투체계 ‘파블로M 시리즈’를 개발해 육군 자폭드론 시연회에서 ‘살보 스트라이크’ 방식으로 목표를 타격하는 데 성공했다. 쿠오핀은 드론 영상을 무선 네트워크로 실시간 전송하는 초저지연 영상전송 기
벡터코리아가 2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벡터 테크데이 코리아 2025’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oftware Defined Vehicle, SDV) 구현을 위한 통합 개발 전략과 기술 솔루션을 공개했다. 행사에는 국내외 완성차 업체와 부품사,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500여 명이 참석해 SDV 전환에 대한 벡터의 기술 방향성과 지원 방안에 관심을 보였다. 올해 벡터가 강조한 핵심 주제는 ‘검증 구조의 고도화’였다. 벡터는 SDV 환경에 최적화된 테스트 체계로 가상제어기(Virtual ECU)를 활용한 SIL(Software-in-the-Loop) 전략을 소개했다. 물리적 ECU 없이 정밀한 시뮬레이션 테스트가 가능하고 HIL(Hardware-in-the-Loop) 단계로 자연스럽게 확장되는 이 구조는 기능 검증부터 시스템 통합까지 개발 효율과 품질을 높이는 Shift Left 전략의 실질적 구현으로 평가됐다. AI 기반 자동화 기술도 주목받았다. 벡터는 자연어로 입력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AI가 CAPL 스크립트로 자동 변환하는 기능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코딩 경험이 부족한 개발자도 신속하게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개발 전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26일 서울 aT센터에서 열린 오픈인프라 한국 사용자 모임 주최 연례 컨퍼런스 ‘오픈인프라데이즈코리아 2025’에서 카카오클라우드 기반의 가상머신(VM) 마이그레이션 전략과 머신러닝 자동화 방안을 발표했다. 오픈인프라데이즈는 오픈스택을 비롯한 다양한 오픈 인프라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최신 기술 트렌드와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VM 마이그레이션 전략 및 사례 분석’, ‘쿠브플로우 생태계에서 완성하는 머신러닝 워크플로우’ 등 두 개 세션을 통해 기술 역량을 소개했다. 국민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솔루션팀 매니저는 VM 마이그레이션 준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5R 전략 ▲재호스팅(Rehost) ▲재구성(Replatform) ▲재설계(Refactor) ▲재구축(Rebuild) ▲교체(Replace)를 소개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변경 없이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재호스팅과 일부 설정 최적화만을 적용하는 재구성 사례를 비교하며 상황별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국민기 매니저는 “VM 마이그레이션 준비 시 하이퍼바이저·가상 디스크 포맷 호환성, OS 및 애플리케이션 지원 여부를 점검하고, 데이터 마
한국산업단지공단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제1회 대한민국 수출박람회(KICEF 2025)’ 준비가 막바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1968년 구로공단에서 열린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의 전통을 잇는 행사로, 산업단지 기반 기업들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람회는 ▲전문·일반 산업전 ▲일대일 수출 상담회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MD 구매 상담 등으로 구성된다. 300여개 기업이 400개 부스를 운영하며, 19개국 91개 바이어와 사전 매칭 상담이 진행된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유럽 주요 기업들이 참여한다. 베트남 빈그룹의 전기차 제조사 빈패스트(VINFAST), 말레이시아 에너지 솔루션 기업 세마락그룹(Semarak Group), 독일 태양광 발전 시스템 기업, 튀르키예 PROKON-EKON 그룹, 이탈리아 스마트시티·IOT 전문기업 등이 포함됐다. 수출박람회 조직위는 초청 바이어와 참가기업 간 사전 매칭을 통한 맞춤형 일대일 상담회를 핵심 프로그램으로 내세운다. 국내외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협업을 지원하는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드레이퍼 하우스(미국), 심산 벤처스(영국
원/달러 환율은 27일 장 초반 소폭 하락하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0.6원 내린 1395.2원이다. 환율은 전날보다 0.3원 내린 1395.5원으로 출발한 뒤 보합권에 머무르고 있다. 간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에 달러가 약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택담보대출 사기 혐의를 이유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리사 쿡 이사를 해임했다. 이는 쿡 이사 후임이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 인사로 채워질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금리 인하 전망을 키웠다. 연준 독립성 훼손에 따른 달러 신뢰도 하락 우려도 함께 나왔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 장중 98.558까지 올랐다가 이날 98.152까지 밀렸다. 현재 98.265 수준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하루 앞두고 관망세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동결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6.99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4.67원보다 2.32원 상승했다. 엔/달러
캐디안이 웹 브라우저 기반 CAD 뷰어 ‘CADian ViewQ’를 출시했다. 캐디안은 이번 출시와 함께 동시 10만 건 이상의 API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로드 밸런싱 기반 서버 아키텍처를 구축해 웹 CAD 뷰어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강화했다. CADian ViewQ는 AEC(건축·토목·엔지니어링) 분야의 2D 도면 포맷인 DWG, DXF, DWF, DGN과 BIM(빌딩 정보 모델링) 기반 3D 포맷인 IFC, RVT, 3D 모델링 파일 OBJ, STL을 지원한다. 향후 추가 포맷 지원도 예정돼 있다. 별도의 설치 없이 주요 웹 브라우저(Chrome, Edge, Safari)에서 실행되며, 장소·디바이스 제약 없이 도면 접근성과 협업이 가능하다. 주요 기능은 ▲도면 확대·이동·회전 ▲도면층 관리 ▲객체 속성 확인 ▲거리·면적 측정 및 엑셀 내보내기 ▲이미지 변환(PNG/JPG) ▲텍스트 및 마크업 기능 ▲스크린 캡처 방지 ▲이메일 첨부 도면 미리보기 ▲데스크톱 CAD와 연동 편집 등이다. 캐디안은 로드 밸런싱 기술을 통해 서버 풀 분산 처리, 자동 확장, 세션 유지, 캐싱·큐 처리 기능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도 빠른 응답 속도와
에스앤피랩이 한국기술신용평가로부터 ‘2025 기술평가 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은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분야, 특히 모바일 앱 기반 마이데이터 플랫폼 개발 기술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평가 결과 에스앤피랩은 기술사업 역량과 기술 경쟁력이 우수한 기업으로 인정받았다. 기술평가 우수기업 인증은 기업의 기술력, 성장 가능성, 사업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여되는 공식 인증이다. 에스앤피랩의 마이데이터 플랫폼 ‘마이디(my:D)’는 개인 건강·생활 데이터를 수집·관리하고, 데이터 거래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한다. 건강검진 및 병원 진료 이력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해 맞춤형 헬스케어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마이디는 ‘데이터→가치화(리워드·서비스)→재활용(거래·AI 분석)’ 구조를 갖춰 개인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DID(탈중앙 신원인증) 기반의 신뢰성 확보로 개인과 기업 모두의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한다. 에스앤피랩 관계자는 “이번 인증은 당사가 개발한 마이데이터 기반 모바일 플랫폼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개인 데이터의 안전한 관리와 가치 창출을 위
로보링크 미국 법인이 자사의 코딩 드론(CoDrone EDU)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의 공학용 계산기 TI-Nspire CX II를 연동한 새로운 STEM 교육 모델을 구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TI의 글로벌 시장 지배력과 로보링크 드론의 미국 내 활용성을 결합해 STEM 융합 학습을 강화하는 교육 솔루션을 목표로 2년간 진행됐다. 양사 제품에 탑재된 Python 기능을 활용해 학생들이 직접 코드를 작성하고 드론을 비행시키며 수학·과학 개념을 실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함수, 좌표, 물리 법칙 등 추상적 개념을 드론 움직임으로 시각화할 수 있어 교실 수업의 STEM 학습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회사는 전했다. TI는 이전에도 LEGO SPIKE/EV3, Sphero와 연동해 코딩·로봇 교육을 확장해왔으며, 이번 협업으로 드론과 피지컬 AI 교육 영역까지 생태계를 확장했다. 홍한솔 로보링크 미국 법인 대표는 “미국 내 수백만 명의 중·고등학생들이 TI 공학 계산기를 사용하고 있다”며 “이번 연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드론 코딩과 로보틱스 학습 기회를 제공, 교육 효과와 시장 확산 모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로보링크는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