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SK시그넷, 美 NEVI 점유율 1위...충전소 부지 최다 확보

URL복사
[#강추 웨비나] 자동화 공정 최적화를 위한 유니버설로봇의 최신 기술 소개합니다...유니버설로봇과 모바일매니퓰레이 (6/18)

 

SK시그넷이 현재까지 발표된 미국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조금 정책(NEVI) 사업에서 충전기 공급사 중 점유율1위를 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SK시그넷은 현재까지 NEVI 프로그램 지급 대상으로 선정된 미국 537개의 부지 중 75개소의 사업을 확보해 약 14%의 점유율을 기록, 70개소를 확보한 테슬라를 제치고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 중 업계 선두로 등극했다.

 

NEVI 프로그램은 미국 정부 7만5000마일 이상의 주요 고속도로를 따라 전기차 충전소를 구축하기 위해 5년간 약 50억 달러의 예산을 투자하는 프로젝트이다. 공공과 민간 부문의 파트너십을 통해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해 전기차 보급을 가속화하고 탄소 배출 감소와 경제적 성장을 도모하는 정책으로, 오는 2030년까지 충전소 5만 곳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5월 20일 기준 22개 주에서 발표된 입찰(RFP) 결과, 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부지는 총 537개소이며 보조금 지급액 규모는 3억 달러(한화 약 4300억원) 수준이다.

 

SK시그넷은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로서 이 중 75개소의 사업을 확보해 약 14%의 점유율로 1위에 등극했다. SK시그넷과 독점공급 계약을 체결한 CPO(Charge Point Operater) 사업자 중 프란시스 에너지가 최근 발표된 오하이오 주의 입찰결과를 포함해 총 65개소에서 사업 승인을 받았다.

 

여기에 애플그린, 일렉트릭 에라 등 SK시그넷의 제품으로 사업에 참여한 다른 CPO 사업자들의 부지를 더한 75개소에 SK시그넷의 충전기가 공급될 예정이다.

 

NEVI 프로그램 보조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충전기의 커넥터 유형, 결제 방법, 개인정보 보호, 속도,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미국 연방도로청(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이 발표한 EV충전기로서의 표준을 충족해야 하며, 비용 기준 구성품의 55% 이상을 미국산 자재로 사용하고 모든 부품을 미국에서 조립해야 한다.

 

SK시그넷은 이러한 NEVI 요구 조건을 충족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SK시그넷의 텍사스 공장은 작년 7월부터 양산 체제에 돌입해 현재 연간 1만 기의 초급속 충전기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난 3월 프란시스 에너지와 협업해 오하이오 주 최초의 NEVI 충전소 부지에 18분 내에 완충이 가능한 400kW급 초급속 충전기를 공급했다.

 

박흥준 SK시그넷 본부장은 “SK시그넷은 미국 초급속 충전기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서 NEVI 프로그램을 통해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구축 및 인프라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앞으로도 NEVI 프로그램의 주요 파트너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이어나가 사업 부지를 확대하고 성장을 가속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