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최신뉴스

배너

ETRI “국내 개발 드론 통신규격, 국제표준으로 제정”

URL복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달 22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표준화기구 회의에서 '무인기 통신 네트워크' 관련 4건의 기고서가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제정된 국제표준은 비행하는 드론 간 충돌위험을 방지하고 수백대를 동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무인기 통신모델 및 요구사항, 공유통신, 제어통신, 영상통신 등 총 4개 세부 기술이다.

 

이들 표준의 인식 서비스 통신 거리는 약 5km로, 드론은 물론 헬기도 서로 인식할 수 있어 유인기와 무인기의 비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ETRI 연구진은 특히 드론 인식 레이더가 무겁고 고가인 반면 통신 모뎀은 수만원대로 저렴하고 가벼워 드론 인식 서비스에 매우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표준기술들을 활용하면 드론 제어와 드론 영상 전송은 물론 드론 간 상호인식, 자율 충돌 회피, 불법 드론 검출, 이동 장애물 인식, 이착륙장과의 통신 등 드론 관련 서비스들을 하나의 통합 통신 플랫폼으로 제공할 수 있다.

 

드론 택시 이착륙장인 버티포트(Vertiport)와 직접 통신, 교각 유지 보수나 건축물 측량 때 비행 우선권 제공 등 서비스도 지원한다. 국방 드론에 적용될 경우 북한의 전파방해도 극복할 수 있다.

 

지상과 달리 공중에서는 이동통신망 끊김이 매우 빈번한데, 도심항공모빌리티(UAM)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통신 이중화'를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다. ETRI 연구진은 이 같은 드론 분산 통신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확정됨에 따라 앞으로 개발되는 기술들이 대량 국제표준특허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채덕 에어모빌리티연구본부장은 "이들 국제표준이 빠르고 편리한 미래 에어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집·가전·차량 제어, 실내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키오스크 연결, 등하굣길 어린이 보호, 대포차 검거, 실종자 수색 등 수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일 통신 플랫폼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