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최신뉴스

배너

[2022 에너지대전] SK에코플랜트가 제시하는 '탄소·폐기물 ZERO' 순환 경제 청사진

URL복사

 

2일부터 4일까지 일산 킨텍스서 개최하는 에너지대전 참가

 

SK에코플랜트가 2022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서 ‘순환경제 디자이너’의 비전과 함께 탄소 제로, 폐기물 제로를 실현하는 순환 경제 모델을 선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는 에너지대전은 국내 최대 규모 에너지 전시회다. 올해 41주년을 맞아 11월 2일부터 4일까지 총 사흘 동안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SK에코플랜트 부스는 그린에너지플러스, 넷제로타운, 그린테크, 에코서큘레이션 등 4개 존으로 구성됐다. 에너지 순환구조를 형상화해 동선을 배치해 해상풍력·태양광·수소연료전지 등 에너지 분야 전반에서 제조·사업개발·EPC(설계·조달·시공)·사업운영 등 SK에코플랜트가 완성한 에너지사업 밸류체인을 비롯해 환경·에너지 분야 기술과 솔루션을 한 눈에 만나볼 수 있도록 했다.

 

SK에코플랜트는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물에서 수소를 분리해내는 고체산화물 수전해기(SOEC: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를 선보였다. 회사는 지난 2월 SOEC를 활용한 친환경 수소 생산 실증을 국내 최초로 수행하고,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통합 솔루션도 구축한 바 있다.

 

전시 부스에서는 인공지능(AI), 디지털전환(DT) 등 혁신 기술을 적용한 SK에코플랜트의 환경산업 고도화 솔루션도 엿볼 수 있었다. SK에코플랜트는 현재 5개 소각시설에 AI 솔루션을 적용, 소각시설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얻고 있다. 5곳 소각시설에 적용한 결과 일산화탄소 배출량 평균은 약 50%, 질소산화물 배출량 평균은 약 12% 줄었다는 설명이다.

 

 

SK에코플랜트의 전기·전자 폐기물 리사이클링 솔루션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구현됐다. 관람객들은 컨베이어 벨트가 작동하는 것을 보며 전기·전자 폐기물이나 폐배터리가 새로운 자원이 되는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었다.

 

SK에코플랜트는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점을 위해 혁신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폐배터리에서 회수한 희소금속을 배터리 제조에 다시 투입하는 완결적 순환체계(Closed Loop)를 실현하는 것이 목표다. 이밖에 소각시설 소각재를 재활용한 보도블록, 폐페트병을 원료로 만든 철근 대체 건설자재 ‘케이에코바’도 순환경제의 사례로 함께 전시됐다.

 

SK에코플랜트의 환경·에너지 솔루션이 압축적으로 적용되는 순환경제 모델도 눈길을 끈다. 태양광,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해 에너지를 자급자족하고 발생하는 폐기물은 에너지화·자원화해 처리하는 탄소중립산업단지가 대표적이다. SK에코플랜트는 탄소 포집·활용(CCU) 기술을 통해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까지 자원화 함으로써 2040년에는 탄소중립이 실현된 산업단지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산업단지를 시작으로 도시에 이르기까지 폐기물을 에너지로 다시 사용하고, 이산화탄소는 다양한 자원으로 전환시켜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순환경제 디자이너로서 행보를 이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SK에코플랜트의 기술과 솔루션은 순환경제 실현이라는 하나의 청사진으로 연결돼 있다”며 “신재생에너지 전반의 밸류체인을 완성한 만큼 지속가능한 도시와 순환경제를 디자인하는 대표 환경기업으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