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장마철 심해지는 무릎 통증...실내 온도·습도 조절 필요

URL복사

장마철이 되면 관절염이나 근.골격계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들의 수심이 깊어진다. 평소보다 불쾌하고 심한 통증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단순히 기분 탓으로 여기기도 하지만, 이미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 기온, 습도에 따라 관절이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알려졌다. 그러므로 이를 결코 무시해선 안 된다.


흐린 날이나 장마철에는 평소보다 기압이 낮아지고 습도는 높아진다. 기압이 낮아지면 관절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면서 활액막 신경을 압박하게 된다. 높은 습도는 무릎 관절 주변 근육 조직 및 신경을 자극해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건강한 사람들은 별다른 차이를 느끼지 못할 수 있으나 평소 무릎 건강이 좋지 않은 환자나 중장년층 이상은 장마철 기온과 습도의 영향을 뚜렷하게 느끼곤 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관절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장마철 무릎 관절 질환 예방을 위해선 실내 적정 온도 및 습도 유지에 신경을 써야 한다. 실내 습도는 되도록 50% 이하로 낮춰주는 것이 좋다. 실내 습도가 지나치게 높다면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에어컨의 제습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단 더위나 습기 때문에 냉방기기를 활용할 때는 관절에 직접 바람을 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바람을 직접적으로 쐴 경우 근육이 위축되고 관절액이 굳어 오히려 통증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부득이 할 경우에는 긴 바지를 입어 찬 기운을 막아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아울러 실내와 실외 온도 차이는 5도 이상 벌어지지 않아야 좋다.


하루에 한 번 40~45도 온수로 15분 동안 온욕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온욕 시 무릎 관절 주변 근육의 긴장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관절 주변 혈액순환 개선에도 도움된다. 만약 이러한 관리에도 무릎 통증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병원을 찾아 정밀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도일병원의 고도일 병원장은 “정상적인 관절 구조라면 외부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으나 염증으로 조직이 예민해져 있는 상태일 경우 자그마한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특징”이라며 “따라서 비가 내리는 날이나 장마 기간 동안 무릎 통증이 나타난다면 병원에 내원해 무릎 관절 정밀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