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고질병 중 하나가 허리디스크이다. 학교나 직장에서 잘못된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있거나 바쁜 스케줄로 인한 운동부족 등이 허리디스크의 원인이 된다. 최근에는 장시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도 허리디스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허리디스크는 척추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장기간 부담이 쌓이게 되면 발병하기 쉽다. 척추 뼈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고 있는 추간판이 탈출하면서 신경을 누르기 때문이다.
허리디스크가 발생하면 허리통증뿐만 아니라 콕콕 찔리는 듯한 느낌, 저림 증상 등이 나타난다. 경미하게 발생하는 허리디스크 증상은 안정 및 스트레칭, 마사지, 바른 자세 유지 등의 관리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끼칠 정도의 심각한 허리통증이나 허벅지부터 시작해서 종아리까지 당기고 저리는 증상 등이 나타난다면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약물복용 및 도수치료에도 반응이 없을 시 신경성형술과 같은 주사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통증개선에 효과를 보이는 신경성형술은 허리시술의 대표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주사바늘을 통해 특수 카테터를 신경 가까이에 위치시키고 약물을 주입하여 염증 및 부종을 감소시킨다. 신경성형술 및 풍선확장술 등과 같은 허리시술 후에는 충분히 안정을 취하고 전문적인 재활치료 및 생활습관 개선으로 재발을 방지하는 게 중요하다.
잠실 선수촌병원 신용철 원장은 “허리수술이 필요할 정도로 증상이 극심한 환자들은 많지 않지만 신경압박으로 인해 마비 증세까지 나타났다면 허리수술을 고려해봐야 한다”면서 “허리디스크의 수술치료에는 추간판 제거술, 척추 유합술 등의 여러 방식이 있으며 허리수술 전 꼼꼼한 검사를 통해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 원장은 또한 “허리디스크는 재발률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허리디스크 발생 후에 증상이 나아졌다고 해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허리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이 중요하므로 전문 운동 치료사를 통해 환자 본인에는 맞는 운동법을 찾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