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무릎인공관절수술, 뼈 손실 막기 위한 노력 중요”

URL복사

무릎에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인 퇴행성관절염은 무릎 관절의 골연골이 노화와 같은 원인들로 인해 닳아 없어지는 질환이다. 뼈를 보호해주는 골연골이 사라지면 뼈끼리 서로 충돌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다리의 모양은 점차 변형되고 통증 및 염증 등 각종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노화가 진행되는 중년 이후부터는 관절에 영양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증상이 가속될 가능성이 높다. 

 

퇴행성관절염은 초기에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상당 부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치료시기를 놓쳐 증상이 악화된 말기의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은 관절 및 주변 조직의 손상이 극심하여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이 쉽지 않다. 이런 경우 뼈끝에 남아있는 골연골을 모두 제거한 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무릎인공관절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무릎인공관절수술은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손상된 관절의 일부분만 대체하거나 전체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무릎 한쪽에만 손상이 한정되어 있는 환자는 조직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전치환술이 아닌 부분치환술을 적용할 수 있다”면서 “부분치환술은 전치환술에 비해 절개 부위가 작고 출혈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 무릎인공관절수술 후에는 무릎 관절 강직 및 근력 약화 방지를 위해 체계적인 재활치료 과정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 


김원장은 이어 “무릎인공관절수술 이후에는 초기 6주의 재활치료가 중요하다. 초기에는 보행 능력 회복을 위한 다리 근력 강화 운동에 집중하고, 유연성 및 균형감각을 높이기 위한 운동을 진행해야 한다”며 “관절가동 범위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한데 무릎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발목 및 허리 재활치료를 함께 하는 것도 호전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퇴행성관절염 초기에는 골연골을 재생시키는 미세친공술 및 카티스템과 같은 수술을 적용할 수 있지만 퇴행성관절염을 오래 방치하면 골연골 재생 수술도 적용이 어려워지며, 무릎 뼈 손실은 점차 늘어나게 된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