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주)대단]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

  • 등록 2014.07.02 15:53:02
URL복사
[#강추 웨비나] 제조 산업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웨비나 시리즈 Autodesk 올인원 제조솔루션 Fusion 활용하기 - 1편: Fusion 소개 및 모델링 활용하기 (7/10)

[(주)대단]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

고가의 산업용 장비에 투자를 하고도 장비의 운전 상태, 고장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면?
(주)대단의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이런 문제를 말끔히 해결해 준다. 클라우드 웹서버 기술, 무선통신기술, 웹서버를 이용한 빌딩 통합 자동제어기술 등의 핵심 기술을 토대로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새로운 장을 연 (주)대단을 찾았다.

김혜숙 기자 (eltred@hellot.net)




미래 성장동력인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무선통신 기반으로 편리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비즈니스 데이터를 관리하는 솔루션과 신뢰도 높은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주)대단은 클라우드 기반의 자동제어 솔루션을 개발, 판매하는 사업 모델로 2010년에 설립한 회사다.
이 회사의 강상만 대표는 자동제어 전문회사에 입사해 근무하던 중 빌딩 내 설비제어, 전력제어, 조명제어, 냉동제어 등 초기투자비가 상당히 높다고 인식하고 ‘자동제어시스템이 공짜 일수는 없을까’라는 고민을 하게 됐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회사를 설립하기에 이른다.
이후 무선통신 통합제어시스템 개발과 RF 무선 중계기 개발, 다기능 전자제어기 개발, 클라우드 웹서버 개발, 클라우드 게이트웨이 개발로 영역을 넓혔다.
특히 이 회사는 클라우드 웹서버 기술, 무선통신기술, 웹서버를 이용한 빌딩 통합 자동제어기술 등의 핵심 기술을 토대로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새로운 국면을 열었다.
현재 회사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 FMS(Facility Management System), EMCS(Energy Management Control System), FMS(Facility Management System), HEMS(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BMS(Building Management System), BEMS(Building Energy &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EMM(Energy Monitoring & Management) 분야의 핵심 기술들을 개척하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

(주)대단의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은 각 빌딩/공장/홈내의 컴퓨터 서버 및 운영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언제 어디서나 클라우드 센터에서 에너지 사용량 추이, 자동제어 운전 상태 및 환경 요소 등을 모니터링하고, 운전 데이터를 수집·분석 처리하여, 각 요소별 에너지 낭비 요소를 찾아내는 서비스이다.



이 기술은 빌딩 내 초소형/경량형 임베디드 게이트웨이를 설치함으로써 설치가 간단하고 전 세계 모든 디바이스에 적용이 가능하다(RS-485 Modbus). EMS, HEMS, FEMS, BAS 등에 별도의 통합 서버 및 소프트웨어/컴퓨터 서버의 설치 없이 원격제어 및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것도 특징이다.



그 외에도 초기투자비를 50% 이상 절감할 수 있고 운영관리의 편리성 및 에너지 절감 효과를 높인다. 원격 조정이 가능한 빌딩, 주택, 공장 등의 관리 효율화로 에너지 및 비용 절감 실현은 물론 건물 에너지 수요 정책 개선에 기여하고 기기의 효율 및 수명 연장에도 기여한다. 또 여러 빌딩/공장/홈 등 관리자가 쉽게 통합관리 및 군관리가 가능하여 운영 효율화를 기할 수 있고 설비 운용 위주의 모니터링에서 벗어나 에너지 관점에서 데이터 분석을 표현할 수 있다.
다수의 에너지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소프트웨어 등의 인프라를 직접 소유하지 않아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적용해서 각 에너지 사용자에게 개인화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대단의 클라우드 플랫폼 에너지관리시스템 & 통합 관제 시스템

과거 메인 프레임에서 오픈 시스템으로의 이동과 웹, 가상화, HTML5 그리고 클라우드로의 변화와 함께 빌딩 에너지관리시스템은 또 하나의 IT 영역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클라우드 환경은 특화된 개발 노하우가 있을 때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시장의 니즈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주)대단의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은 이러한 노하우를 프레임워크로 집약했다.



(1) ‌Cloud BAS : 클라우드 빌딩 자동제어시스템
(CBAS, Cloud Building Automation System)
Cloud BAS는 로컬 서버 및 산업용 소프트웨어가 필요 없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타사의 BAS와 차별화되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빌딩 자동제어기술을 제공한다.
(2) ‌Cloud BEMS : 클라우드 빌딩 에너지관리시스템(CBEMS, Cloud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Cloud BEMS는 NOC(Network Operation Center) 기반으로 타사의 BEMS와 차별화되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에너지 절감 기술을 제공한다.
(3) ‌Cloud EMS : 클라우드 에너지관리시스템
(CEMS, Cloud Energy Management System)
Cloud EMS는 빌딩/가정/공장 등 설비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4) ‌Cloud 에너지 현황판클라우드 건물 에너지 전광판
시스템(DEMS, Daedan Energy Monitoring System)
Cloud DEMS는 빌딩의 에너지 사용량을 에너지 전광판에 현재 기준 전년 동기 대비하여 에너지 사용량, 누계량, 증감량, 실내온도 등을 표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5) 클라우드 빌딩 자동제어시스템
(C-BAS, Cloud Building Automation System)
클라우드 빌딩 자동제어, 즉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BAS란 건물 내의 설비, 기계, 전기, 조명, 쇼케이스, 저장고 등의 기타 설비를 클라우드 게이트웨이를 설치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용을 목적으로 하는 총괄적 건물 관리 종합제어 및 감시제어시스템을 말한다.
대부분의 건물에 적용이 가능한 통합 BAS는 최첨단의 제어 시스템으로 모든 제어 및 감시의 정보처리가 동일한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지며 건물 내 각종 설비의 중압집중식 제어로 최적의 환경 구축 및 에너지 절감의 극대화를 실현한다.
(6) 냉동, 냉장 자동제어시스템
(RCS, Refrigeration Control System)
로컬 프로그램 PC를 통해 각 매장의 온도 상태 및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저장되고 사용자는 저장된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나 열람할 수 있으며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7) 클라우드 온도관리시스템(CTMS, Cloud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Cloud TMS는 빌딩/공장 등 설비에 대한 온도/압력/습도를 언제 어디서나 모니터링이 가능하게끔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 전광판

에너지 전광판은 빌딩 운영관리에 있어서 건물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써 에너지 사용에 대한 경각심과 능동적인 관리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주)대단의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 전광판은 한전의 ismart를 연계하여 시스템 구성하고 무선통신시스템으로 인해 설치가 간단하다.



에너지 다소비 건물에 대한 과학적, 체계적인 관리를 강화해 건물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실현 및 그린 경영 실천을 지원하고 있다. 또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하는 생활 문화 조성 분위기 확산에도 일조하고 있다.
(주)대단은 2014년 4월 정보통신진흥원 주관 클라우드 기반 EMS(Energy Management Sytem) 설치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충북대학교에 제품을 설치 중에 있다. 이는 중견/중소기업들과 상당한 경쟁을 뚫고 선정된 것이어서 의미가 깊다. 또 지난달(2014년 6월)에는 2014년 글로벌 진출 지원 사업(청년창업사관학교)에 1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됨에 따라 다양한 나라에 클라우드 기반의 IoT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