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차전지 전문 기업 CATL이 매출과 수익성 모두에서 K-배터리를 크게 앞질렀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의 구조적 격차가 확실히 드러났다는 평가다.
지난 27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발간한 중국 선두 제조사 경쟁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CATL의 연간 매출은 3620억 위안(약 69조 원)으로,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평균(약 16조 원)의 4배를 웃돌았다.
같은 기간 국내 배터리 3사는 평균 1883억 원의 적자를 봤지만, CATL은 507억 위안(약 10조 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10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미래 경쟁력의 핵심인 연구개발(R&D) 투자에서도 한중간 격차는 뚜렷했다. 작년 기준 CATL의 R&D 인력은 2만346명으로, 국내 3사 평균(3087명)의 약 7배 수준이었다. CATL은 전체 인력의 15% 이상을 연구개발에 배치하고 있으며, 연 매출의 5∼7%를 지속해 R&D에 재투자하고 있다.
SNE리서치는 한국과 중국 간 배터리 산업 구조의 차이로 이 같은 격차가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중국 기업들은 정부의 산업 정책과 내수 기반을 바탕으로 대규모 설비투자(캐펙스·CAPEX)를 단행하고 완성차업체(OEM) 네트워크 확장을 지속해 왔다. 특히 CATL은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을 완성해 원가와 리드타임(소요 시간)을 최소화했다.
반면 한국은 핵심 소재 단계의 중국 의존도가 높고 OEM 중심의 외부 수요에 의존해 수익성과 투자 여력에서 한계가 있다고 평가된다.
SNE리서치는 "한국이 향후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핵심 소재의 내재화, 지역별 차별화, 정책 일관성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이러한 경쟁력의 부재가 현재 기술 수준은 비슷하지만 속도와 양적 확장성, 비용 효율성에서 중국이 압도적인 결과를 보이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