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북미 이어 아세안까지…LS일렉트릭,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공략

URL복사

 

DCWA 2025 참가…UL 인증 데이터센터용 배전반 공개

모듈러·HVDC 솔루션으로 데이터센터 미래 선도

 

LS일렉트릭이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회사는 10월 8일부터 9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 전시회 ‘데이터센터월드 아시아 2025(DCWA 2025)’에 참가해 차세대 전력 솔루션을 대거 선보인다.

 

LS일렉트릭은 이번 전시회에서 ‘데이터센터의 미래를 구현하다’라는 주제로 72㎡ 규모의 부스를 마련하고 △UL 인증 데이터센터용 배전반 △모듈러 파워 솔루션 △고전압 직류(HVDC) 배전 시스템 등 통합 전력 인프라 솔루션을 공개한다. 특히 글로벌 기준을 충족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무기로 북미와 아세안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데이터센터 운영의 핵심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다. LS일렉트릭의 배전반은 내진·내아크 구조를 포함해 안전성을 확보했으며, 까다로운 성능 검증과 PI(Primary Injection) 테스트를 거쳐 신뢰성을 높였다. UL 인증을 확보한 점은 북미 시장 공략의 중요한 기반으로 꼽힌다. 회사는 고압·저압 배전반에서 국제 기준을 충족하는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보유해 글로벌 고객의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모듈형 데이터센터 플랫폼도 주목된다. 기존 콘크리트 전기실을 대체하는 컨테이너형 구조물로, 전력 수·배전과 제어 설비를 사전 제작 방식으로 공급해 납기를 단축하고, 고객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 엔비디아가 주도하는 HVDC 전환 트렌드에 맞춰 반도체 변압기(SST), 반도체 차단기(SSCB), DC-DC 컨버터 등 직류 기반 전력 솔루션도 선보인다. 이는 전력 변환 단계를 줄이고 분산 전원 활용을 극대화하는 데 최적화된 기술이다.

 

글로벌 빅테크들의 동남아 투자 확대도 LS일렉트릭의 전략과 맞물린다. AWS는 아세안 데이터센터에 약 330억 달러(약 45조 원)를, 구글은 80억 달러 이상을, 마이크로소프트는 68억 달러 이상을 투입할 예정이다. LS일렉트릭은 이 지역을 글로벌 데이터센터 허브로 보고 적극 진출할 계획이다.

 

실제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다. 올해 북미 데이터센터 수주액은 4,000억 원에 육박하며, 복수의 글로벌 빅테크와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전력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AI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LS일렉트릭은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회사 관계자는 “국내 1위 데이터센터 배전 솔루션 기업으로서 축적된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며 “북미뿐 아니라 급성장하는 아세안 시장에서도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전력 솔루션 분야를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